우언(寓言)이란 줄거리를 갖춘 짤막한 고사에 우의(寓意)를 기탁하는 방법으로 모종의 도리를 표현하여 권계, 풍유, 교훈 작용을 하는 일종의 문학 형식이다. 명청 시기는 봉건전제 통치가 사람들의 사상과 언론에 대해 보다 엄격한 통제를 가함으로써, 문인들이 어두운 현실에 대해 직설적으로 비난하지 못하고 필화(筆禍)를 피해 가급적 우언의 형식을 이용하여 심각한 사상을 에둘러 표현하는 이른바 해학(諧謔) 우언이 출현했다. 『중국명청우언』은 중국과 대만의 각종 우언 선집에서 180여 편을 선정하여, 매 작품을 ‘원문 및 주석’ ‘번역문’ ‘해설’ 세 부분으로 나누어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였으며, 특히 주석 부분은 인명·지명이나 전고(典故)는 물론 허사 및 일반 단어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Contents
중국명청우언(상)
차례
서문
일러두기
명대(明代) 우언
《송렴전집(宋濂全集)》 우언
1. 오아여촉계(烏鴉與蜀鷄) - 까마귀와 촉계(蜀鷄)
2. 월인익서(越人溺鼠) - 월(越) 지방 사람이 쥐를 물에 빠져 죽게 하다
3. 인모저심(人貌狙心) - 사람 모습으로 분장한 원숭이의 본심
4. 정인애어(鄭人愛魚) - 정(鄭)나라 사람이 물고기를 사랑하다
5. 차제구화(借梯救火) - 사다리를 빌려와 불을 끄려 하다
6. 속씨이성(束氏狸?) - 속씨(束氏)가 기르는 살쾡이
7. 진인호리(晉人好利) - 진(晉)나라 사람이 이익을 탐하다
8. 완고장주(?股藏珠) - 허벅지를 후벼 파서 구슬을 숨기다
9. 무가지보(無價之寶) - 무가지보(無價之寶)
10. 분려멸서(焚廬滅鼠) - 집을 태워 쥐를 박멸하다
11. 권귀변정(權貴辨鼎) - 권세 있는 귀족이 정(鼎)을 변별하다
12. 동해왕유(東海王?) - 동해(東海)의 왕유(王?)
《성의백문집(誠意伯文集)》 우언
13. 매감자언(賣柑者言) - 감귤 파는 사람의 말
14. 헌금조거(獻琴遭拒) - 거문고를 바쳐 거절당하다
15. 헌마고화(獻馬賈禍) - 말을 바쳐 화를 자초(自招)하다
16. 촉고삼인(蜀賈三人) - 세 사람의 촉(蜀)지방 상인
17. 구욕조호(???虎) - 구관조가 호랑이를 향해 우짖어대다
18. 상호우박(象虎遇?) - 가짜 호랑이가 박(?)을 만나다
19. 섬여여하파(蟾?與??) - 섬여(蟾?)와 하파(??)
20. 도사구호(道士救虎) - 도사(道士)가 호랑이를 구출하다
21. 도인식사(島人食蛇) - 섬 사람이 뱀 고기를 먹다
22. 주호연자(走虎捐子) - 호랑이를 피해 달아나며 아들을 버리다
23. 제음지고인(濟陰之賈人) - 제음(濟陰)의 상인
24. 위의공호저우(衛懿公好?牛) - 위의공(衛懿公)이 싸움소를 좋아하다
25. 송왕언오초위왕(宋王偃惡楚威王) - 송왕(宋王) 언(偃)이 초위왕(楚威王)을 증오하다
26. 저공실저(狙公失狙) - 저공(狙公)이 원숭이를 잃어버리다
27. 호식몽인(虎食蒙人) - 호랑이가 몽(蒙) 사람을 잡아먹다
28. 능리위룡(?鯉爲龍) - 천산갑(穿山甲)이 용(龍)으로 변하다
29. 식균득선(食菌得仙) - 버섯을 먹고 신선(神仙)이 되다
30. 조인환서(趙人患鼠) - 조(趙)나라 사람이 쥐를 고민하다
31. 상양학사(常羊學射) - 상양(常羊)이 활쏘기를 배우다
32. 호사철비(虎死撤備) - 호랑이가 죽자 방비하던 시설을 철거하다
33. 현석호주(玄石好酒) - 현석(玄石)이 술을 좋아하다
34. 이석위옥(以石爲玉) - 돌을 옥으로 여기다
35. 농양지원(籠養之猿) - 장에 가두어 기른 원숭이
《손지재집(遜志齋集)》 우언
36. 종부지거(終不知車) - 끝내 수레를 알지 못하다
《동전집(東田集)》 우언
37. 중산랑전(中山狼傳) - 중산랑전(中山狼傳)
《권자(權子)》 우언
38. 오족실용(吾足失容) - 내가 걷는 자세를 잃어버리다
39. 일여가인(?與假人) - 가마우지와 허수아비
40. 고미불고신(顧尾不顧身) - 꼬리를 돌보고 몸을 돌보지 않다
《숙저자(叔?子)》 우언
41. 구욕효언(??效言) - 구관조가 사람의 말을 흉내 내다
42. 자출기저(自出機?) - 자신이 몸소 베틀에서 짜내다
43. 희획현주(喜獲玄珠) - 현주(玄珠)를 얻었다고 좋아하다
《해어(諧語)》 우언
44. 심로일졸(心勞日拙) - 온갖 계략을 다 써도 날이 갈수록 더욱 궁지에 빠지다
《지월록(指月錄)》 우언
45. 해령계령(解鈴繫鈴) - 방울을 맨 사람이 방울을 풀어야 한다
《오잡조(五雜俎)》 우언
46. 이기치부(二技致富) - 두 가지 재주로 부자가 되다
《설도각집(雪濤閣集)》 우언
47. 착벽이통(鑿壁移痛) - 벽을 뚫어 아픈 통증을 이웃으로 옮기다
48. 외과의생(外科醫生) - 외과 의사
49. 의인치타(醫人治駝) - 의사가 곱사등이를 치료하다
50. 교생몽금(狡生夢金) - 교활한 학생이 황금 꿈을 꾸다
51. 망상(妄想) - 망상(妄想)
52. 초인불식강자(楚人不識薑者) - 생강을 모르는 초(楚)나라 사람
53. 지주여잠(蜘蛛與蠶) - 거미와 누에
54. 망본축말(忘本逐末) - 근본을 잊고 말리(末利)를 추구하다
55. 체미졸세(剃眉卒歲) - 눈썹을 깎아 설을 쇠다
《현혁편(賢奕編)》 우언
56. 인추위미(認醜爲美) - 추한 것을 아름답다고 여기다
57. 노소호양(?搔虎?) - 노(?)라는 원숭이가 호랑이의 가려운 곳을 긁다
58. 회상여진부(繪像與眞父) - 초상화와 진짜 아버지
59. 승고재시(僧故在是) - 중은 여전히 여기에 있다
60. 형제쟁안(兄弟爭雁) - 형제가 기러기를 다투다
61. 맹자타교(盲子墮橋) - 맹인(盲人)이 다리에서 떨어지다
62. 소양(搔?) - 가려운 곳을 긁다
63. 위묘취호(爲?取號) - 고양이에게 호(號)를 지어주다
64. 성급(性急) - 급한 성격
65. 양고상후(兩?相?) - 두 맹인(盲人)이 서로 욕을 하다
《소찬(笑贊)》 우언
66. 삼성소상(三聖塑像) - 세 성인(聖人)의 소상(塑像)
67. 서월대전모(暑月戴氈帽) - 무더운 여름에 전모(氈帽)를 쓰다
68. 수재매시(秀才買柴) - 수재(秀才)가 땔감을 사다
69. 중소역소(衆笑亦笑) - 여러 사람이 웃자 덩달아 웃다
70. 작투승수(雀投僧袖) - 참새가 승려의 소매 속으로 들어가다
《소부(笑府)》 우언
71. 「일」 자대료허다(「一」 字大了許多) - 「일자(一字)」가 많이 자라다
72. 합본주주(合本做酒) - 공동으로 출자(出資)하여 술을 담그다
73. 호토편의(好討便宜) - 자기 잇속 차리기를 좋아하다
74. 용견이행(聳肩而行) - 어깨를 으쓱대며 걷다
75. 고문백리(鼓聞百里) - 북소리가 백 리까지 들리다
76. 불금불수(不禽不獸) - 날짐승도 아니고 길짐승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