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육의 개론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쓰기란 무엇이고, 쓰기를 잘한다는 것은 과연 무엇을 말하는가, 우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해 어떠한 관점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가, 쓰기를 교육하고자 할 때에 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쓰기를 가르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법과 쓰기 활동에는 무엇이 있는가, 학습자가 생산한 글에 대해 어떻게 피드백을 줄 수 있는가, 쓰기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등 체계적인 쓰기 교육을 위해 고민해야 할 질문들을 중심으로 책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온라인을 통한 소통의 장이 넓어지면서 표현의 한 방법으로서의 쓰기 능력의 중요성은 이전에 비해 높아지고 있다. 한국어 쓰기 능력이 장기간 차근차근히 쌓아 나가지 않으면 성취하기 힘든 것임을 감안하면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민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이 책이 그러한 고민을 해결하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Contents
서문
1장. 쓰기의 개념과 쓰기 지식
1. 쓰기의 개념과 범위
1.1. 쓰기의 개념
1.2. 쓰기의 범위
1.3. 쓰기의 유형
2. 쓰기의 특성과 중요성
2.1. 쓰기의 특성
2.2. 쓰기 교육의 중요성
3. 쓰기와 쓰기 지식
3.1. 내용 지식
3.2. 맥락 지식
3.3. 언어 구조 지식
3.4. 쓰기 과정 지식
2장. 작문 이론과 쓰기 교육 접근 방법
1. 작문 이론
1.1. 형식주의 작문 이론
1.2. 인지적 구성주의 작문 이론
1.3. 사회적 구성주의 작문 이론
2. 쓰기 교육 접근 방법
2.1. 형식 중심 접근 방법
2.2. 과정 중심 접근 방법
2.3. 전략 중심 접근 방법
2.4. 협력적 접근 방법
2.5. 장르 중심 접근 방법
2.6. 내용 중심 접근 방법
3장. 쓰기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1. 쓰기 교육의 등급별 목표
2. 쓰기 교육과정
2.1. 쓰기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2.2. 쓰기 교육과정의 운영 절차
3. 쓰기 교수요목의 유형
3.1. 주제 중심 교수요목
3.2. 기능 중심 교수요목
3.3. 장르 중심 교수요목
3.4. 과제 중심 교수요목
3.5. 절차 중심 교수요목
3.6. 혼합형 교수요목
4장. 쓰기 교육의 원리와 쓰기 수업 모형
1. 쓰기 교육의 원리
1.1. 독자와의 의사소통으로서의 쓰기 교육
1.2. 담화 차원의 쓰기 교육
1.3. 실제성 있는 쓰기 교육
1.4. 과정 및 전략 중심의 쓰기 교육
1.5. 한국어 담화 공동체의 글쓰기 관습에 대한 교육
1.6. 상호 협력적 쓰기 교육
1.7. 타 언어 기능과의 통합적 쓰기 교육
2. 쓰기 수업 모형
2.1. 과정 중심 쓰기 수업 모형
2.2. 변형된 과정 중심 쓰기 수업 모형
2.3. 장르 중심 쓰기 수업 모형
2.4. 담화 통합 쓰기 수업 모형
5장. 쓰기 활동과 피드백
1. 쓰기 활동의 유형
1.1. 통제된 쓰기 활동
1.2. 유도된 쓰기 활동
1.3. 실제적 쓰기 활동
2. 쓰기 피드백의 유형
2.1. 피드백의 주체에 따른 유형
2.2. 피드백의 제시 방법에 따른 유형
2.3. 피드백의 경로 및 방식에 따른 유형
2.4. 피드백의 내용에 따른 유형
2.5. 피드백의 단계에 따른 유형
6장. 쓰기 평가
1. 쓰기 평가의 구인
1.1. 내용 지식의 측면
1.2. 맥락 지식의 측면
1.3. 언어 구조 지식의 측면
1.4. 쓰기 과정 지식의 측면
2. 쓰기 평가의 유형
2.1. 직접 평가
2.2. 간접 평가
2.3. 대안적 평가
3. 쓰기 평가의 수행 절차
3.1. 평가의 계획
3.2. 평가의 개발
3.3. 평가의 시행 및 피드백
참고 문헌
Author
최은지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대학원 졸업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강사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졸업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대학원 졸업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강사
원광디지털대학교 한국어문화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