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사상은 우주와 인생을 융합하는 원리의 확립을 주요 과제로 삼는다. 유교의 학술 체계는 크게 형이상학·인식론·실천론으로 나뉜다. 유교가 이 세 주제를 끄집어낸 이유는 보편타당한 도덕률을 건립하는 것에 있다. 전통의 유교는 줄곧 인도의 정립을 통해 대동 사회의 건설을 목표로 삼았던 것이다. 홍범사상에는 존재와 생성, 가치 문제와 정치 철학 및 수학 법칙이 두루 담겨 있다.
Contents
1. 프롤로그……………………………………………………… 8
2. 홍범의 유래와 고대 동북아시아의 문화와 정세…………17
1) 홍산문화와 단군조선……………………………………………17
2) 은말주초의 시대 배경… ………………………………………25
3) 기자동래설의 허구………………………………………………31
3. 주나라 건국과 홍범구주……………………………………43
1) 알기 쉬운 홍범구주… …………………………………………43
2) 문왕과 기자………………………………………………………58
3) 기자와 무왕………………………………………………………61
충남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철학박사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주자의 역학사상에 관한 연구- 河洛象數論을 중심으로』(박사논 문)과 「왕선산의 형이상학」, 「무극대도 출현의 당위성」, 「후천개 벽의 필연성」 등이 있다. 저서로 『주역과 만나다』(1,2,3,4,5)와 『김일부의 생애와 사상』과 『단군왕검의 국가통치법- 洪範思想』이 있다. 역주본으로는 『정역주의』와 『정역도서』가 있다.
충남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남대학교 철학박사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주요 논문으로 『주자의 역학사상에 관한 연구- 河洛象數論을 중심으로』(박사논 문)과 「왕선산의 형이상학」, 「무극대도 출현의 당위성」, 「후천개 벽의 필연성」 등이 있다. 저서로 『주역과 만나다』(1,2,3,4,5)와 『김일부의 생애와 사상』과 『단군왕검의 국가통치법- 洪範思想』이 있다. 역주본으로는 『정역주의』와 『정역도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