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 국어 공부 : 조사·어미편

$18.36
SKU
979118994379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30
Pages/Weight/Size 145*205*30mm
ISBN 9791189943790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국어학자,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 남영신의

시로 국어 공부, 조사·어미편

한국어에서 조사와 어미는 다른 언어와 구별되는 중요한 특성이다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시 총수록

초등에서 중고등·수능까지, 국어 문법 총정리



정호승·안도현 시인 추천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아름다운 시를 통해

다시 시작하는 개인을 위한 국어 공부




‘한국의 근현대를 장식하는 시인들의 대표적인 시를 통해 국어의 기본을 다시 공부해보자!’ 평생 우리 말글 바르게 쓰기 운동을 펼쳐온 국어학자이자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을 쓴 남영신의 개인을 위한 국어 공부 두 번째 편이 발간되었다. 시 감상과 국어 공부를 동시에 해보자는 야심찬 계획으로 시작된 『시로 국어 공부: 조사·어미편』이다.



『시로 국어 공부』에는 김소월, 윤동주, 백석, 김수영, 정호승, 안도현, 류시화, 나태주 등 한국 근현대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시가 총수록되어 있다. 아름다운 시들을 감상하면서 국어의 기초 문법인 품사에서 문장 성분, 격조사와 보조사, 접속사, 연결어미와 평서법·의문법·명령법·청유법·감탄법 등의 종결어미, 전성어미, ‘-시-, -겠-’ 등의 선어말어미 등을 배운다. 긋다, 깨벗다 등의 시어와 수사법, 즉 비유법, 강조법, 변화법에 대한 공부도 한다.



『시로 국어 공부』는 총 3권으로 구성된다. 1권은 ‘문법’편으로, 문법의 기본 개념을 개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형태소, 단어, 구, 절, 품사, 문장 성분, 문장 종류 등을 설명한다. 2권은 ‘조사·어미’편으로, 문법의 가장 기본인 조사와 어미의 종류, 기능 등을 설명하고 개별 조사와 어미의 사용법을 제시한다. 3권은 ‘표현’편으로, 유익한 단어나 시인들이 많이 사용해 주기를 바라는 단어, 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문법적 관용구, 시에 많이 쓰이는 수사법 등을 실었다.



『시로 국어 공부』에서 다루는 문법은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배우는 초등학교 3학년에서 중학교 2학년까지의 문법을 총정리한 것이다. 그러니까 초등 국어에서 중고등·수능까지, 국어 문법을 다 담았다. 국어 문법을 기초부터 체계적으로 다시 공부하고 싶은 분, 국어 공부를 총정리하고 싶은 분, 한국 근현대 대표 시를 감상하고 싶은 분 모두에게 추천한다.



Contents
머리말 「조사·어미편」 들어가기

1장 시와 조사

시에서 조사가 중요한 것은
〈봄 2〉 이병기
조사의 기능
·자리 기능
〈물 이야기〉 이규리
·의미 부가 기능
| 생략할 수 있는 조사와 생략하면 안 되는 조사
〈단풍〉 김강호

2장 격조사

격조사란
·격조사와 보조사
〈봄에 부는 바람〉 박용철 ·〈목련꽃〉 최봄샘
주어와 주격조사
·주어의 성격
·주격조사의 형태
·주격조사의 특징: 현장감과 사실감
〈낙화〉 조지훈
·주격조사의 높임
〈임께서 부르시면〉 신석정
·주격조사의 특별한 사용법
〈그대가 보고 싶을 땐〉 최춘자
보어와 보격조사
〈꽃〉 김춘수
목적어와 목적격조사
〈광야〉 이육사
관형어와 관형격조사
〈산〉 이형기
부사어와 부사격조사
·부사격조사의 종류
·‘에’
〈거리의 봄〉 심훈
·‘에’와 ‘에서’
| ‘에’ 살 것인가, ‘에서’ 살 것인가!
〈산유화〉 김소월
·‘로’
〈빛〉 이광수 ·〈우리가 물이 되어〉 강은교
| ‘에’와 ‘로/으로’의 용법 차이
〈맑은 소리〉 김사인
·‘에게’
〈바람과 노래〉 김명순 ·〈목욕탕〉 권환
| ‘에게’의 높임말 ‘께’
| 높이는 명사
| 높이는 동사
〈코스모스〉 김사인
·‘더러’
〈내 가슴에 장미를〉 노천명
·만큼
〈마려운 사람들〉 신동엽
서술어와 서술격조사 ‘이다’
〈촛불〉 황금찬 ·〈자유〉 김남주
| “여보, 쌀은 전라북도래요.”
독립어와 호격조사 ‘야/아’, ‘여/이여’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빈집〉 기형도
| 보조사로도 쓰이는 ‘야’
〈떠나가는 배〉 박용철

3장 접속조사

접속조사란
·접속조사 와/과
〈자유〉 조병화 ·〈하늘〉 오세철
| 중의적 표현

4장 보조사

보조사의 언어, 한국어
‘은/는’
·주제어 제시 기능
〈이별은 미의 창조〉 한용운
| ‘은/는’의 신기한 기능
·주격조사 대체 기능
〈모닥불〉 안도현 ·〈대추 한 알〉 장석주
·대조, 강조 기능
〈청포도〉 이육사
·목적격조사 대체 기능
〈강우降雨〉 김춘수
·조사 뒤에서 의미를 덧붙이는 기능
〈작은 부엌 노래〉 문정희
·어미 뒤에서 의미를 덧붙이는 기능
〈보리수 밑을 그냥 지나치다〉 한혜영
보조사 ‘도’
〈풀꽃〉 나태주 ·〈까치밥〉 송수권
보조사 ‘만’
〈껍데기는 가라〉 신동엽 ·〈들국〉 김용택
| 보조사 ‘마는’의 준말인 ‘만’
| 의존명사로 쓰이는 ‘만’
‘까지’와 ‘마저’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직녀織女에게〉 문병란
‘조차’
〈바라춤〉 신석초 ·〈병원〉 윤동주 ·〈밤〉 김소월
‘나/이나’
〈연보〉 이육사 ·〈정치〉 최병두
| 보조사 ‘나’와 접속조사 ‘나’
보조사 ‘들’
〈파장罷場〉 신경림 ·〈꽃〉 유치환
〈새벽이 올 때까지〉 윤동주
| ‘들’의 여러 용법

5장 시와 어미

시에서 어미가 중요한 것은
〈보리피리〉 한하운 ·〈향수〉 김상용
어미의 분류
·연결어미
·종결어미
·전성어미
·선어말어미
·어미 익히기
〈그리움〉 한숙자 ·〈창〉 이병기

6장 연결어미의 쓰임새

연결어미의 분류
대등적 연결어미
·‘-고’
〈새로운 길〉 윤동주
·‘-며’, ‘-면서’
〈나의 집〉 김소월 ·〈나룻배와 행인〉 한용운
·‘-나’
〈이제 오느냐〉 문태준
| ‘-나’의 특별한 용법
종속적 연결어미
·‘-면’
〈상한 영혼을 위하여〉 고정희
·‘-니’
〈집을 나간 아내에게〉 황규관
| ‘-니’와 ‘-니까’
·‘-므로’
〈당신을 보았습니다〉 한용운
·‘-어/-아’, ‘-어서/-아서’
〈대숲에 서서〉 신석정 ·〈나의 꿈〉 한용운
·‘-어도/-아도’
〈산〉 함석헌
·‘-도록’
〈님의 노래〉 김소월 ·〈너에게 무엇을 주랴〉 심훈
| ‘-도록’의 문법적 성격
| ‘-도록 하다’와 ‘-게 하다’의 차이
| ‘-도록 하다’의 잘못 사용
보조적 연결어미
·-아/-어
〈북청 물장수〉 김동환
| ‘-어보다/-아보다’
| ‘-어주다/-아주다’
| ‘-어하다/-아하다’와 ‘-어지다/-아지다’
·-고
〈그리움〉 현미정
·-게
〈봄이 그냥 지나요〉 김용택
·‘-지’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나희덕

7장 종결어미의 쓰임새

종결어미란
평서법의 종결어미: ‘-다’, ‘-소’, ‘-ㅂ니다’
〈산길〉 양주동 ·〈조선은 술을 먹인다〉 심훈
〈바다의 마음〉 이육사 ·〈봄이 오는 소리〉 김설하
| 평서법 종결어미와 높임법 그리고 시제
의문법의 종결어미: ‘-냐/-니’, ‘-ㅂ니까’
〈이 밤이 너무나 길지 않습니까?〉 신석정
〈그네들의 비밀을 누가 압니까〉 황석우
〈너에게 묻는다〉 안도현
| 의문법 종결어미와 높임법 그리고 시제
명령법의 종결어미: ‘-어라/-아라’, ‘-세요’
〈변방으로 가라!〉 김칠선 ·〈여자의 사막〉 신달자
〈이런 사람과 사랑하세요〉 김남조
〈가을의 기도〉 김현승
| 명령법 종결어미와 높임법
| 병원, 은행 사람들의 ‘-ㄹ게요’ 사용과 용어 문제
청유법의 종결어미: ‘-자’, ‘-세’, ‘-ㅂ시다’
〈엄마야 누나야〉 김소월 ·〈파초〉 이육사
〈만들 수만 있다면〉 도종환
| 청유법 종결어미와 높임법
감탄법의 종결어미: ‘-구나’, ‘-도다’, ‘-로다’
〈밤〉 김수영 ·〈백자부白磁賦〉 김상옥
〈슬픈 구도〉 신석정
| 감탄법 종결어미와 높임법

8장 전성어미의 쓰임새

관형사형 전성어미
〈낙화〉 이형기
부사형 전성어미
〈조용한 이웃〉 황인숙
명사형 전성어미
〈당신은〉 한용운 ·〈완화삼玩花衫_목월에게〉 조지훈
9장 선어말어미의 쓰임새
주체높임법에 쓰이는 선어말어미 ‘-시-’
〈세상을 만드신 당신께〉 박경리
과거 선어말어미 ‘-었-/-았-’
〈꿈〉 김수향
대과거 ‘-았었-/-었었-’
〈배꽃 강江〉 김명인 ·〈늙음에 대하여〉 신달자
추측, 의지 선어말어미 ‘-겠-’
〈잎사귀 질 때〉 황규관
선어말어미의 순서
〈기다림〉 조지훈
·수록 시 및 출처
Author
남영신
우리 말글을 존중하고 바르게 쓰는 운동을 펼쳐 왔다. 한자어와 외래어에 짓눌려 있던 토박이말을 살려 쓰기 위한 『우리말 분류 사전』(1987년)을 펴냄으로써 많은 토박이말이 국어사전에 오르도록 하는 데 이바지했다. 법률 용어와 행정 용어 같은 공공언어를 쉽게 쓰는 운동을 벌인 끝에 국어기본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얻었다. 공무원과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공언어 바로 쓰기 교육,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우리말 바로 쓰기 교육을 했고, 이제 학생을 포함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시를 이용한 국어 교육을 시작하려 한다.

사단법인 국어문화운동본부 대표, 세종국어문화원 원장을 역임했다. 펴낸 사전으로 『우리말 분류 사전』, 『국어 용례 사전』, 『새로운 우리말 분류대사전』,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이 있다. 저술한 단행본으로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나의 한국어 바로쓰기 노트』, 『4주간의 국어 여행』, 『국어 한무릎공부』, 『기자를 위한 신문 언어 길잡이』, 『글쓰기는 주제다』 등이 있다.
우리 말글을 존중하고 바르게 쓰는 운동을 펼쳐 왔다. 한자어와 외래어에 짓눌려 있던 토박이말을 살려 쓰기 위한 『우리말 분류 사전』(1987년)을 펴냄으로써 많은 토박이말이 국어사전에 오르도록 하는 데 이바지했다. 법률 용어와 행정 용어 같은 공공언어를 쉽게 쓰는 운동을 벌인 끝에 국어기본법을 제정하는 성과를 얻었다. 공무원과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공언어 바로 쓰기 교육,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우리말 바로 쓰기 교육을 했고, 이제 학생을 포함한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시를 이용한 국어 교육을 시작하려 한다.

사단법인 국어문화운동본부 대표, 세종국어문화원 원장을 역임했다. 펴낸 사전으로 『우리말 분류 사전』, 『국어 용례 사전』, 『새로운 우리말 분류대사전』, 『보리 국어 바로쓰기 사전』이 있다. 저술한 단행본으로 『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나의 한국어 바로쓰기 노트』, 『4주간의 국어 여행』, 『국어 한무릎공부』, 『기자를 위한 신문 언어 길잡이』, 『글쓰기는 주제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