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뢰즈와 재현의 발생]은 조 휴즈(Joe Hughes)의 Deleuze and the Genesis of Representation (2008)을 옮긴 것이다. 조 휴즈는 한국에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입문](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A Reader’s Guide)이 번역되면서 소개된 바가 있는 영미권 철학자다. 휴즈는 특히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을 연구한 학자로서 후설의 발생 이론을 들뢰즈의 거의 모든 저서에 적용하며 들뢰즈의 발생 이론을 명쾌하게 설명하면서 학문적 성과에 대한 평가를 받고 있다.
들뢰즈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처음부터, 들뢰즈와 현상학의 관계를 추적하는 많은 훌륭한 저작들을 출판해왔다. 이들 중 대부분은 들뢰즈와 메를로-퐁티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일부는 들뢰즈와 하이데거의 관계에 주목해왔다. 이러한 점에 대해 저자는 “하지만 내가 아는 한 아무도 들뢰즈가 후설에게, 특히 후설이 그의 후기 저작들에서 엄밀하게 전개한 발생의 기획에 상당한 정도 빚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오지는 않았다. 이 책에서 나는 들뢰즈 저작에는 암암리에 후설한테서 받은 영감이 깃들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하고 있다.
Contents
일러두기 4
약호 9
감사의 말 11
서문 15
제1부 후설과 들뢰즈
제1장 후설, 환원, 구성 17
환원 18
발생적 구성 26
들뢰즈와 칸트 40
결론 43
제2장 『의미의 논리』 45
소급 46
발생 56
들뢰즈와 정신분석학 84
결론 87
제2부 『안티-오이디푸스』
제3장 물질적 환원과 분열발생 91
서론 91
오이디푸스 비판과 물질적 환원 93
물질적 장 102
제4장 욕망적 생산 109
부분대상들과 미세지각 109
수동적 종합 116
결론 135
제5장 사회적 생산 139
사회적 생산 139
대상체들 145
영토 기계 146
전제군주 기계 150
양식과 공통감 156
자본주의 163
결론: 들뢰즈와 과타리 167
제7장 동적 발생: 시간의 생산 211
불연속성의 규칙과 시원적 주체성 215
상상력의 종합: 습관 220
기억의 종합: 므네모시네 227
사유의 종합: 타나토스 235
강도의 발생 236
잠재적인 것의 발생 241
타자 249
결론 254
결론 257
참고문헌 263
미주 279
옮긴이 후기 305
찾아보기 311
Author
조 휴즈,박인성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주 멜버른대학교 영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들뢰즈 이후의 철학(Philosophy After Deleuze)』 등이 있고, 공역서로 『들뢰즈의 페리클레스와 베르디(Deleuze’s Pericles and Verdi)』가 있다.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주 멜버른대학교 영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들뢰즈 이후의 철학(Philosophy After Deleuze)』 등이 있고, 공역서로 『들뢰즈의 페리클레스와 베르디(Deleuze’s Pericles and Verdi)』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