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아야 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모든 것

$21.60
SKU
979118989513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5/24
Pages/Weight/Size 145*220*30mm
ISBN 9791189895136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2023년 10월,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기습 공격으로 전 세계가 또 한 번 충격에 빠졌다. 이스라엘은 즉각 보복 공격을 단행했고, 단기간에 종료될 것으로 예상했던 이번 분쟁은 2024년 4월, 지금도 진행 중이다. 폭격과 파괴가 계속되면서 분쟁은 우리의 관심에서 조금씩 잊히고 있지만,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현 상황은 처참하기 이를 데 없다. 세계 최대의 감옥이라 불리는 가자지구는 어떤 곳일까. 그리고 100년째 이어져 온 이 분쟁은 도대체 왜 끝나지 않는 것일까?
Contents
한국어판 서문
서문
지도

1장 기본 정보

분쟁의 주체는 누구인가?
이스라엘인은 누구인가?
이스라엘인과 유대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팔레스타인인은 누구인가?
팔레스타인인과 아랍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이 싸우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분쟁에서 종교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영토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가?
누가 먼저 그 지역에 거주했는가?

2장 분쟁의 시작

분쟁은 언제 시작되었는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럽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으로 이주한 이유는 무엇인가?
시온주의란 무엇인가?
시온주의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테오도르 헤르츨은 누구인가?
시온주의는 식민주의의 한 형태였는가?
영국은 분쟁 초기에 어떤 역할을 했는가?
하지 아민 알 후세이니는 누구인가?
이스라엘이 탄생한 것은 홀로코스트 때문이었나?
팔레스타인에 대한 유엔 분할 계획은 무엇인가?

3장 아랍-이스라엘 전쟁

아랍과 이스라엘은 몇 차례나 전쟁을 벌였고, 얼마나 많은 사람이 사망했는가?
1948년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에 맞서 전쟁을 벌인 이유는 무엇인가?
1947~1949년 전쟁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초래한 결과는 무엇인가?
1948년 많은 팔레스타인인이 난민이 된 이유는 무엇이며,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1956년 시나이 전쟁이란?
1967년 전쟁은 왜 일어났는가?
1967년 전쟁은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1973년 전쟁의 의미는 무엇인가?
1982년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침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1차 레바논 전쟁의 결과는 어떠했나?

4장 평화 프로세스

평화를 위한 첫 번째 시도는 언제였나?
캠프 데이비드 협정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졌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 회담은 언제 시작되었나?
오슬로 협정이란 무엇인가?
이스라엘과 PLO는 왜 오슬로 협정에 서명했는가?
이츠하크 라빈의 암살은 오슬로 평화 프로세스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오슬로 평화 프로세스는 무너진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협정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
미국은 평화 프로세스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5장 점령지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점령지’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의 군사 통치는 서안지구 팔레스타인 주민들에게 어떤 제약을 가하고 있는가?
이스라엘이 서안지구에 긴 장벽을 건설한 이유는 무엇인가?
서안지구에 이스라엘 정착촌이 있는 이유는 무엇이며, 이스라엘인들은 왜 그곳에 살기로 선택했을까?
이스라엘 정착촌이 논란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철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마스는 어떻게 가자지구에서 정권을 잡았나?
하마스의 통치와 이스라엘의 봉쇄는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나?
지난 10년 동안 가자지구가 하마스와 이스라엘의 전쟁터가 된 이유는 무엇인가?

결론: 평화를 향한 긴 여정
두 국가 해법, 가능할까?
한 국가 해법은 가능한가?
두 가지 해결책이 모두 불가능하다면, 어떻게 해야 갈등을 해결하거나 줄일 수 있을까?

색인
Author
도브 왁스만,장정문
영국 런던 출신의 작가이자 학자, 비평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정치학, 철학, 경제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이스턴대학교의 홀로코스트 및 대량 학살 인식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이스라엘 연구협회,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인 전략 국제문제연구소에서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 로잘린드 & 아서 길버트 재단의 이스라엘 연구 석좌교수이자 정치학 교수이며, 나자리안 이스라엘 연구 센터를 이끌고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의 유대인-아랍 관계, 이스라엘 정치 및 외교 정책, 이스라엘-미국 관계, 미국 유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 현대 반유대주의 분야 등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전문가이다.
수많은 논문과 네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로스엔젤레스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가디언〉, 〈애틀랜틱 먼슬리〉 등 다수의 언론 매체에 논평을 게재하였다.
영국 런던 출신의 작가이자 학자, 비평가.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정치학, 철학, 경제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존스홉킨스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이스턴대학교의 홀로코스트 및 대량 학살 인식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이스라엘 연구협회, 워싱턴 D.C.에 본부를 둔 싱크탱크인 전략 국제문제연구소에서도 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 로잘린드 & 아서 길버트 재단의 이스라엘 연구 석좌교수이자 정치학 교수이며, 나자리안 이스라엘 연구 센터를 이끌고 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이스라엘의 유대인-아랍 관계, 이스라엘 정치 및 외교 정책, 이스라엘-미국 관계, 미국 유대인과 이스라엘의 관계, 현대 반유대주의 분야 등에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전문가이다.
수많은 논문과 네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로스엔젤레스 타임스〉, 〈워싱턴 포스트〉, 〈가디언〉, 〈애틀랜틱 먼슬리〉 등 다수의 언론 매체에 논평을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