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강유감(南江有感)

The Reminiscence of the Namgang River, 이덕환 사진집
$48.60
SKU
97911897738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7/25
Pages/Weight/Size 297*240*20mm
ISBN 9791189773861
Categories 예술
Description
덕유산, 지리산에서 시작하여 진주에서 만나 낙동강에 이르는 남강의 기록!
암호처럼 숨어있는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힘!
대상을 바라보는 섬세하면서 따뜻한 시선!
흑백 사진으로 소환하는 남강의 추억!
개인의 기록이자 공유하는 이의 기록!
남강유감(南江有感), 이덕환 사진집

사진 한 장의 영향력이 수만 마디 말보다 클 때가 있습니다. 역사의 현장을 찍은 사진은 말할 것도 없고, 개인의 유년기 시절을 소환하는 흑백 사진 한 장이 그렇지요.

필름카메라가 구현해주는 깊이 있는 감각이 그리워지기는 시절입니다. 이덕환 사진집에는 필름카메라로 찍었던 사진부터 근래에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까지, 72컷의 흑백 사진이 저마다의 남강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작가의 사유가 담겨있는 해설 부분을 함께 넣어서 보는 이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원로사진작가 리영달은 남강을 담은 이덕환 사진집 발간을 축하하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세계는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작품 저변에 암호처럼 숨어있는 그 무언가 우리의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이는 아마 그의 사진 본질에 대한 천착(穿鑿)과 인문적인 소양, 대상을 바라보는 섬세하면서 따뜻한 시선, 타고난 품성이 그의 작품에 녹아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그동안 작가의 열정이 느껴지는 대단한 노작(勞作)임이 분명합니다. 지금까지 있는 듯 없는 듯 모두의 무관심 속에서도, 묵묵히 우리의 곁을 지켜준 남강과 그 주변의 정취를 이 사진집을 통해서 느껴보시기를 바랍니다.” (리영달 축사 중에서)
Contents
4 축사(Congratulatory Message)·리영달
6 머리말(Preface)·이덕환

작품(Plates)

15 조각구름(片雲, nubecula), 2004 함안
16 놀이터(playground), 2005 진주
17 무제(無題, no title), 2009 진양호
18 보호자(保護者, protector), 2009 진양호
19 빙옥(氷玉, jewelry ice), 2009 진양호
20 한가로움(閑暇, spare time), 2009 진양호
21 가을의 한가운데(仲秋, in the middle of autumn), 2010 함안
22 겨울소경(冬, winter), 2010 진양호
23 경비행기(輕飛行機, light aircraft), 2010 함안
24 고고(孤高, a proud loneliness), 2010 함안
25 나목(裸木, the naked tree), 2010 함안
26 남강 솟대 Ⅰ(Namgang Sotdae Ⅰ), 2010 함안
28 농무(濃霧, dense fog), 2010 진양호
29 대결(對決, confrontation), 2010 함안
30 둔치(高水敷地, the water’s edge), 2010 함안
31 박빙(薄氷, thin ice), 2010 진양호
32 백조(白鳥, swan), 2010 함안
33 살얼음 무늬(氷紋, ice pattern), 2010 진양호
34 새벽(曉天, dawning), 2010 함안
35 새벽 비행(飛行, flight at dawn), 2010 함안
36 수묵화(水墨?, ink wash painting), 2010 진양호
37 습지 Ⅰ(濕地 Ⅰ, wetland Ⅰ), 2010 진주
38 습지 Ⅱ(濕地 Ⅱ, wetland Ⅱ), 2010 진주
39 습지 Ⅲ(濕地 Ⅲ, wetland Ⅲ), 2010 진주
40 안개 속으로(霧, going to the fog), 2010 함안
41 안개 속의 저편(the other side of fog), 2010 함안
42 진양호 점경(晉陽湖點景, at the Jinyangho Lake dotted scenery), 2010 진양호
43 허상 Ⅰ(虛像 Ⅰ, virtual imageⅠ), 2010 함안
44 허상 Ⅱ(虛像 Ⅱ, virtual image Ⅱ), 2010 함안
45 형상(形狀, shape), 2010 진양호
46 혼돈 Ⅰ(混沌 Ⅰ, chaos Ⅰ), 2010 진양호
47 혼돈 Ⅱ(混沌 Ⅱ, chaos Ⅱ), 2010 진양호
48 흔적 Ⅰ(痕迹 Ⅰ, traces Ⅰ), 2010 진양호
49 흔적 Ⅱ(痕迹 Ⅱ, traces Ⅱ), 2010 진양호
50 가뭄(天旱, drought), 2011 진양호
51 까치집(喜鵲巢, magpie nest), 2011 함안
52 남강 솟대 Ⅱ(Namgang Sotdae Ⅱ), 함안
53 별천지(別天地, Byeolcheonji, another world), 2011 진양호
54 봄을 꿈꾸며(夢春, dream of spring), 2011 함안
55 악양루(岳陽樓, Akyang-ru Pavilion), 2011 함안
56 악양루가 보이는 설경 Ⅰ(snowy landscape with a view of Akyang-ru Pavilion Ⅰ), 2011 함안
57 악양루가 보이는 설경 Ⅱ(snowy landscape with a view of Akyang-ru Pavilion Ⅱ), 2011 함안
58 양립(兩立, coexistence), 2011 함안
60 자연 방풍림(防風林, windbreak), 2011 함안
62 정적(靜寂, silence), 2011 함안
63 함박눈(鵝毛雪, large snowflakes), 2011 함안
64 해맞이(日出, sunrise), 2011 함안
65 환영(歡迎, welcome) 2011 함안
66 휴무(休務, closed), 2011 함안
67 남강여경(南江餘景, the Namgang River scenery), 2012 함안
68 대숲(竹林, bamboo), 2012 진주
70 대숲 바람(風竹, wind from bamboo), 2012 진주
72 대칭(對稱, symmetry), 2012 함안
74 서설 Ⅰ(瑞雪 Ⅰ, the snow of fortune Ⅰ), 2012 진주
77 서설 Ⅱ(瑞雪 Ⅱ, the snow of fortune Ⅱ), 2012 진주
78 섬(島, mini island), 2012 함안
81 절규(絶叫, scream), 2012 진양호
82 진양호 결빙(晉陽湖結氷, iced the Jinyangho Lake), 2012 진양호
84 진양호 여명(晉陽湖黎明, dawn at the Jinyangho Lake), 2012 진양호
86 진양호 일출(晉陽湖日出, sunrise at the Jinyangho Lake), 2012 진양호
87 촉석루 원경(矗石樓遠景, distant scenery at Chokseok-ru Pavilion), 2012 진주
88 쓸쓸함도 낭만이다(Loneliness is also romantic), 2013 함안
89 진양호 반영(晉陽湖反影, the shadow of the Jinyangho Lake), 2013 진양호
90 진양호(晉陽湖, the Jinyangho Lake), 2013 진양호
91 휴식처(休息處, a resting place), 2013 함안
92 귀소(歸巢, homecoming), 2014 진양호
93 여우눈(狐雪, foxy snow), 2014 진양호
94 춘설(春雪, spring snow), 2014 진양호
95 감나무(?木, persimmon), 2015 진양호
96 강아지풀(foxtail), 2015 함안
97 경배(敬拜, bowing respectfully), 2015 함안
98 군무(群舞, group dancing), 2015 함안
99 외출(外出, going out), 2015 진주
100 의연(毅然, resolute), 2015 진주
101 파종(播種, seeding), 2015 함안
102 강바람(江風, river wind), 2016 진주
103 고요(quiet), 2016 진주
104 물 먹으러 내려오는 용(龍, dragon, coming down to drink water), 2016 함안
105 희롱(?弄, flirting), 2016 진주
106 노룡(老龍, old dragon), 2017 진주
107 석별(惜別, farewell), 2018 의령
109 솥바위(鼎巖, Sotbawi, the pot rock), 2018 의령
110 대평 코스모스(cosmos at Daepyeong), 2021 진양호
112 강 건너 벚꽃(櫻花, cherry blossom across the river), 2021 진주
113 군상(群像, a group of tree), 2021 의령
115 남강유감(南江有感, the Reminiscence of the Namgang River), 2021 함안
116 너무 멀리 가지 마(Don’t go far away), 2021 진주
117 물안개(水霧, watery fog), 2021 진주
119 이른 봄(早春, in the early spring), 2021 함안
120 박무(薄霧, light fog), 2022 진주
122 초여름(孟夏, in the early summer), 2022 진주
123 남강변(南江邊, riverside), 2023 의령
124 대화(對話, a dialogue), 2023 진주
125 바람 불어 좋은 날(狂風, On a very windy day), 2023 진주
126 본능(本能, instinct), 2023 진주
127 봄소식 전하러 간다(on the way to deliver the news of spring), 2023 진주
129 송백 둔치(Songbaek dune), 2023 진주

132 작품 설명(Title and Commentary)
144 저자 약력(Profile)
Author
이덕환
1950년 경남 함안 출생. 전, 경상국립대학교 평생교육원 “좋은 사진 창작 아카데미” 강사, 전, 진주 삼현여중 자유학기활동 사진 강사, 현,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진주지부 회원, 현, 진주사진사랑 고문
1950년 경남 함안 출생. 전, 경상국립대학교 평생교육원 “좋은 사진 창작 아카데미” 강사, 전, 진주 삼현여중 자유학기활동 사진 강사, 현,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진주지부 회원, 현, 진주사진사랑 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