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음식문화사

프랑스 음식은 어떻게 세계 최고가 되었나?
$34.56
SKU
979118972288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13 - Mon 05/1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Mon 05/1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1/25
Pages/Weight/Size 140*215*35mm
ISBN 979118972288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프랑스 요리가 세계를 지배하게 된 것은 단지 음식의 질이 뛰어났기 때문은 아니다. 그건 프랑스인들이 전하는 프랑스 음식에 관한 이야기 때문이기도 하다. 더구나 프랑스인들은 탁월한 이야기꾼들이다!”

프랑스는 어떻게 미식의 나라가 되었나
음식을 먹고, 음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음식을 신화로 만들어온 역사


미식의 원조이자 정수로 알려진 프랑스 요리. 그런데 정작 그 맛이 명성에 부합하는지를 두고는 이견도 있다. 프랑스 요리는 어떻게 세계 최고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을까? 이 책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 고대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프랑스 땅에서 살아온 사람들이 먹고 마시며 이야기한 음식을 꼼꼼하게 살핌으로써 그 답에 접근한다. 돼지고기를 날것으로 먹던 야만적인 프랑크족, 그리스도교가 식생활에 미친 영향, 빵을 둘러싼 무수한 제도와 규정, 요리책의 등장과 궁정 요리라는 모범, 혁명 이후 부르주아 요리의 유행을 비롯해 식민지의 테루아르 문제, 오늘날 프랑스와 해외 영토의 식문화에 이르기까지 이 책에서 다루는 스펙트럼은 다채롭다. 역사적 기록 외에 문학작품과 영화라는 허구적 장르에서 음식이 재현되는 양상도 조명하는데, 소설 『보바리 부인』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영화 〈엘리제궁의 요리사〉 등에서 당대의 식생활 관습을 드러내는 다양한 묘사는 그동안의 연구에서 간과된 층을 탐색하게 해준다.

매사추세츠주 바드 칼리지의 프랑스문학 교수이자 음식문화사연구소 소장이기도 한 저자 마리안 테벤은 다수의 음식 관련 저작을 펴내 프랑스 음식과 국가 정체성의 관계를 탐구했으며 프랑스 요리가 지닌 상징을 연구해왔다. 광범위한 역사적 자료를 탐색하며 저자는 프랑스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키워드로 ‘사부아르페르savoir-faire’를 택했다. 이 책의 원제인 사부아르페르는 프랑스어로 수완이나 기량을 나타내는데, 음식문화와 관련해서는 훌륭한 먹거리를 키우고 요리하고 감상하는 노하우와, 그것을 프랑스적인 것으로 홍보하는 노하우로 나타난다. 천혜의 자연이 조성한 테루아르에서 난 양질의 음식을 뛰어난 솜씨로 요리해 최고의 가스트로노미를 즐긴다는 믿음, 식생활을 실제 현실 너머 상상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는 신화와 상징에 의존해 프랑스의 고유한 것으로 만든 자신감이 바로 이 한 단어에 녹아 있는 것이다.
Contents
1장 프랑스 음식문화의 기원, 갈리아
문학 속 음식 | 데키무스 마그누스 아우소니우스, 〈모셀라〉

2장 중세와 르네상스: 빵의 시대
문학 속 음식 | 프랑수아 라블레, 『가르강튀아』

3장 프랑스가 이룬 혁신: 요리책, 샴페인, 통조림, 치즈
문학 속 음식 | 몰리에르, 『서민귀족』

4장 프랑스대혁명과 그 결과: 와인, 제빵, 정육
문학 속 음식 | 루이세바스티앵 메르시에, 『서기 2440년』

5장 19세기와 카렘: 프랑스 음식이 세계를 정복하다
문학 속 음식 | 델핀 드 지라르댕, 『파리의 우체부』 / 조르주 상드, 『마의 늪』

6장 문학적 시금석

7장 ‘육각형’의 바깥쪽: 바다 건너의 테루아르
문학 속 음식 | 마리즈 콩데, 『요리와 경이』

8장 현대: 농민은 영원히
문학 속 음식 | 뮈리엘 바르베리, 『맛』

맺는 글
부록 | 역사 속의 요리법
주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사진 출처
Author
마리안 테벤,전경훈
미국 노터데임 대학교에서 불문학과 행정학을 공부하고,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부터 매사추세츠 사이먼 록스 바드 칼리지에서 불문과 교수이자 음식문화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프랑스 근현대 문학과 여성 및 살롱 문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문화사가로서 프랑스 음식이 지닌 상징을 연구하며 프랑스 음식과 국가 정체성 간의 관계를 오랜 기간 탐구해왔다. 저서로 『프랑스의 음식문화사Savoir-Faire: A History of Food in France』『소스 - 글로벌 히스토리Sauces: A Global History』가 있고, 〈‘몬 칼라루’ - 마리즈 콩데, 여성 요리사로서 자전적 글쓰기‘Mon callalou’: Maryse Conde Writing Herself as Female Cook〉〈소스의 기호학 - 국가 정체성과 파스타 소스의 명칭Semiotics of Sauce: National Identity and Naming of Pasta Sauces〉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
미국 노터데임 대학교에서 불문학과 행정학을 공부하고,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불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0년부터 매사추세츠 사이먼 록스 바드 칼리지에서 불문과 교수이자 음식문화사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프랑스 근현대 문학과 여성 및 살롱 문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문화사가로서 프랑스 음식이 지닌 상징을 연구하며 프랑스 음식과 국가 정체성 간의 관계를 오랜 기간 탐구해왔다. 저서로 『프랑스의 음식문화사Savoir-Faire: A History of Food in France』『소스 - 글로벌 히스토리Sauces: A Global History』가 있고, 〈‘몬 칼라루’ - 마리즈 콩데, 여성 요리사로서 자전적 글쓰기‘Mon callalou’: Maryse Conde Writing Herself as Female Cook〉〈소스의 기호학 - 국가 정체성과 파스타 소스의 명칭Semiotics of Sauce: National Identity and Naming of Pasta Sauces〉 등 다수의 논문을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