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양과 호모 사케르

$23.81
SKU
979118946899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11/25
Pages/Weight/Size 153*224*30mm
ISBN 9791189468996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이 책은 인류 역사와 문화에 깊이 내재되어 반복해서 재생산되고 있는 희생야 메커니즘을 역사적으로 개괄하여 살펴보면서 희생양들을 공동체에서 배제시켜 ‘벌거벗은 자’로 만드는 폭력의 문제점을 기독교 윤리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사회가 지닌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제시함과 동시에 현실적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을 고찰하면서 성서가 제시하는 관점을 통해 폭력이 지닌 윤리적인 문제점을 폭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조르조 아감벤을 통해 우리 시대의 ‘호모 사케르’들이 처한 현실을 살펴보았으며, 아감벤이 강조한 호모 사케르는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메커니즘을 보완하는 개념으로서 차별과 배제의 대상으로서 벌거벗은 생명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임마누엘 레비나스와 자크 데리다가 제시한 환대의 윤리를 통하여 위험사회를 치유하고 회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호모 엠파티쿠스와 호모 이그노센스에 대한 고찰을 통해 공감과 용서, 그리고 환대의 미덕을 조명하였다.
Contents
머리말 04

1부 희생양과 폭력의 역사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14

1) 연구의 목적과 내용|14
2) 선행연구 분석|19

2. 문화와 폭력의 상관관계 21

1) 문화와 폭력|21
2) 현대사회와 폭력|23

3. 신화와 종교 속에서의 희생양 24

1) 희생양 메커니즘|25
2) 종교제의|26
3) 파르마코스|27
4) 아폴로니우스의 기적|30
5) 폭력과 성스러움|32

4. 희생양이 만들어지는 과정 34

1) 인과관계의 전복|34
2) 집단적 폭력의 비대칭성|35
3) 심리적 방어기제|36

5. 희생양의 역사 37

1) 희생양이 된 기독교인|38
2) 반유대주의|44
3) 중세의 마녀사냥|63
4) 현대의 희생양들|81

2부 희생양과 폭력의 윤리적 문제

1. 폭력론 138

1) 폭력의 파괴력|138
2) 메를로퐁티의 폭력론|140
3) 발터 벤야민의 폭력론|141
4) 소렐과 파농의 폭력론|142
5) 지젝의 폭력론|143

2. 르네 지라르의 희생양 이론 145

1) 모방 욕망과 폭력|147
2) 초석적 폭력과 희생제의|152
3) 희생양 메커니즘|158

3. 성서의 폭력론 163

1) 신화와 성서의 차이|164
2) 구약성서의 희생양|166
3) 신약성서의 희생양|176

3부 호모 사케르와 상생의 윤리

1. 조르조 아감벤 186

1) 조에와 비오스|187
2) 호모 사케르|189
3) 예외상태|192
4) 벌거벗음과 은총의 자각|197

2. 임마누엘 레비나스 199

1) 레비나스의 사상적 배경|199
2) 타자를 위한 윤리|205
3) 타자의 얼굴|208
4) 타자에 대한 책임|218

3. 우리 시대의 호모 사케르 226

1) 난민|226
2) 환경 난민|245
3) 탈북자|249

4. 공존과 상생의 윤리 262

1) 호모 엠파티쿠스|262
2) 호모 이그노센스|280
3) 환대의 실천|319

5. 종합적 결론 331

1) 위험사회의 징후들|331
2) 희생양과 호모 사케르|332
3) 케노시스의 영성과 환대의 실천|334

참고문헌 343
색인 353
Author
이종원
숭실대학교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기독교 윤리학 전공) 학위를 받았다.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교수, 한일장신대학교 신학부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계명대학교 타불라라사대학 교수로서 기독교의 이해, 섬김의 리더십과 기독교윤리, 글로벌 시티즌십 등을 강의하면서 교목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윤리로 보는 현대사회』(북코리아, 2011), 『기독교 생명윤리』(북코리아, 2013), 『희생양과 호모 사케르』(계명대학교출판부, 2019)가 있으며, 공저로는 『성서다시보기』(숭실대학교출판부, 2009),『장애인신학』(한국장로교출판사, 2015),『현대인과 성서』(SSU Press, 2018), 『기독교와 대화하기』(계명대학교출판부, 2018)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히포크라테스와 생명윤리』(이종원·류은숙, 북코리아, 2013)가 있다. 그 외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윤리, 환경윤리, 경제윤리, 의료윤리 등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
숭실대학교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에서 수학한 후 숭실대학교 대학원에서 철학박사(기독교 윤리학 전공) 학위를 받았다. 숭실대학교 베어드학부대학 교수, 한일장신대학교 신학부 교수를 역임하였고, 현재 계명대학교 타불라라사대학 교수로서 기독교의 이해, 섬김의 리더십과 기독교윤리, 글로벌 시티즌십 등을 강의하면서 교목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윤리로 보는 현대사회』(북코리아, 2011), 『기독교 생명윤리』(북코리아, 2013), 『희생양과 호모 사케르』(계명대학교출판부, 2019)가 있으며, 공저로는 『성서다시보기』(숭실대학교출판부, 2009),『장애인신학』(한국장로교출판사, 2015),『현대인과 성서』(SSU Press, 2018), 『기독교와 대화하기』(계명대학교출판부, 2018)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히포크라테스와 생명윤리』(이종원·류은숙, 북코리아, 2013)가 있다. 그 외 기독교 윤리적 관점에서 생명윤리, 환경윤리, 경제윤리, 의료윤리 등과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