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와 율곡의 공부법

$19.44
SKU
979118944105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4/14 - Fri 04/1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9 - Fri 04/1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2/26
Pages/Weight/Size 125*200*9mm
ISBN 979118944105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현대교육의 문제점을 짚어주고 이를 극복하고 넘어서는 담론을 퇴계과 율곡의 심학에서 찾는다. 현대교육은 지식과 태도 그리고 기능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축한 뒤 이를 가르치고 배우는 방식이다. 이렇다 보니 인간의 본성을 배양하고 닦는 심학의 지평이 현대교육에는 원천적으로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 성리학의 두 거장인 퇴계와 율곡을 이런 문제를 공부법이라는 패러다임 안에서 정교하게 구축해 놓았다. 퇴계는 경공부법으로 이를 보여주었고, 율곡은 교기질법으로 설파해 주었다. 이 책이 이런 두 공부법을 집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1장 현대교육의 비판과 심학의 소환

0. 인트로
1. 현대교육담론의 점검
2. 퇴계의 심학담론
3. 율곡의 심학담론
4. 물학과 심학의 대대적 통합

2장 퇴계의 경공부법

0. 인트로
1. 경의 위상과 좌표
2. 이발과 기발의 해석
3. 경공부법의 응용
4. 심학의 재발견

3장 율곡의 교기질법

0. 인트로
1. 기발이승일도설의 판독
2.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의 접속과 단절
3. 기질지성의 해석과 교기질
4. 율곡 삼학의 응용
5. 율곡공부의 재음미

찾아보기

부록
Author
서명석
현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육학과 교수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했고 철학박사이다. 주로 연구하며 실제 가르치는 분야는 교육철학(Philosophy of Education),교육과정철학(Philosophy of Curriculum),동양고전학(Classical Studies of East-Asia) 이다.
요즈음 두 가지 일에 전념하고 있다. 그 하나로 전통교육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재화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동양고전을 가공하여 그 속에 들어있는 동양의 밈(meme)을 길어 올리는 일이다. 이런 일의 소산으로 주역점 워크북인 『주역상담&주역치료: 길을 잃다 묻다 답을 얻다』를 펴냈다.

현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철학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졸업했다.
동양고전을 현대적으로 읽어 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책도 그러한 작업의 소산이다.

『가르침과 배움 사이로』 (2012)
『교육의 무한궤도 이탈』 (2015)
『아동, 넌 누구냐?』 (2015)
『설괘전』 (2015)
『서괘전』 (2016)
『잡괘전』 (2016)
『C&I 교육과정과 수업의 탈주선』 (2016)
『퇴율공부법과 현대교육 비판』 (2017)
『주역상담&주역치료』 (2017)
『성리학의 수양치료』 (2018)
『철학상담&철학치료 철학Cafe』 (2018)
『반야심경 워크북』 (2019)
『다산철학과 교육』 (2020)
『『중용』 완전정복』 (2021) 등의 책을 펴냈다.
현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육학과 교수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졸업했고 철학박사이다. 주로 연구하며 실제 가르치는 분야는 교육철학(Philosophy of Education),교육과정철학(Philosophy of Curriculum),동양고전학(Classical Studies of East-Asia) 이다.
요즈음 두 가지 일에 전념하고 있다. 그 하나로 전통교육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현재화하는 것이요, 다른 하나는 동양고전을 가공하여 그 속에 들어있는 동양의 밈(meme)을 길어 올리는 일이다. 이런 일의 소산으로 주역점 워크북인 『주역상담&주역치료: 길을 잃다 묻다 답을 얻다』를 펴냈다.

현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 철학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졸업했다.
동양고전을 현대적으로 읽어 내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 책도 그러한 작업의 소산이다.

『가르침과 배움 사이로』 (2012)
『교육의 무한궤도 이탈』 (2015)
『아동, 넌 누구냐?』 (2015)
『설괘전』 (2015)
『서괘전』 (2016)
『잡괘전』 (2016)
『C&I 교육과정과 수업의 탈주선』 (2016)
『퇴율공부법과 현대교육 비판』 (2017)
『주역상담&주역치료』 (2017)
『성리학의 수양치료』 (2018)
『철학상담&철학치료 철학Cafe』 (2018)
『반야심경 워크북』 (2019)
『다산철학과 교육』 (2020)
『『중용』 완전정복』 (2021) 등의 책을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