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

우리가 꼭 알아야 할 고교학점제의 오해와 진실
$14.58
SKU
979118940474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13
Pages/Weight/Size 140*210*13mm
ISBN 9791189404741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학교 현장에서 고교학점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여전하다. 비록 제도의 선한 취지에는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로 돌아섰지만, 교원의 업무부담 가중, 학점제의 운영 여건 조성 미흡 등 이런저런 이유로 숨 고르기가 필요하다는 신중론이 잦아들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고교학점제와 함께 학교 현장에 찾아온 의미 있는 변화는 오랜 시간 입시에 매몰된 우리 공교육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증폭시킨다. 이러한 때에 학점제에 관해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온갖 오해들로 인해 현장의 회의적인 여론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점은 못내 아쉽다. 현장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는 고교학점제의 성공도 요원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고교학점제의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여전히 머뭇거리는 현장의 교원은 물론, 다양한 이유로 고교학점제에 대한 오해와 의심의 시각을 거두지 않는 모든 이들을 위한 팩트체크이다. 새로운 관점에서 진실을 바라보는 동안 오해를 이해와 공감으로 바꿔갈 수 있을 것이다. 현장의 이해와 공감은 구체적인 고민과 실천으로 이어져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주요 동력이 될 것이다.
Contents
저자의 글_ 입시 너머 우리가 주목해야 할 고교학점제의 오해와 진실

오해와 진실 01 개념적 이해 _학점제라면 이제 고등학교도 대학교처럼 가르치고 배운다는 뜻인가?

대학의 전공별 교육과정 vs 고등학교의 맞춤형 선택 교육과정 / 대학교의 F학점 vs 고교학점제의 최소 성취수준 / 고교학점제에서 단순히 ‘과목 선택’만 강조되면 안 되는 이유

오해와 진실 02 고과목 선택과 진로_고교학점제의 과목 선택은 섣부른 진로 결정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진로 고민보다 일단 대학 합격이 목표였던 과거의 고등학교 교육 / 진로를 정하면 무조건 전공 관련 과목만 골라 들어야 할까?/ 앞으로 학생들은 한번 결정한 진로를 바꿀 수 없게 되나? / 고등학교 교육이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가 되지 않도록

오해와 진실 03 수월성 교육_고교학점제도 뛰어난 학생만 주목하고 그들에게만 더욱 유리한 제도 아닌가?

상위권 학생을 위한 심화형 과목들만 많아지지 않을까? / 고교학점제는 ‘모든 학생’을 위한 책임교육을 지향한다 / 책임교육 구현을 위해 노력하는 학교들을 만나다 / 책임교육은 왜 중요하고,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까?

오해와 진실 04 입시와의 부조화_우선 대학입시부터 혁신하고 고교학점제를 도입해야지 지금은 시기상조 아닐까?

왜 입시 주요 과목 대신 선택과목을 개설해야 하냐고?/ 어차피 분위기가 정시 확대인데,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운영되겠어?/ 과목 선택권 확대, 입시를 넘어 진로교육의 내실화로!/ 언제까지 대학입시 탓만 하며 혁신을 머뭇거릴 것인가?

오해와 진실 05 일반화 문제_연구학교니까 가능했던 거지 일반고에서 고교학점제가 제대로 될 수 있겠어?

세상에는 이름만 연구학교도 있고, 멋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일반고도 있다 / “그땐 그랬지…” 화려했던 연구학교 시절이 끝나고 학교는 어떻게 됐을까?/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해 단위학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제언

오해와 진실 06 교원업무 과중_지금도 할 일이 태산인데, 다과목 개설로 인한 부담까지 우리만 감당하라고?

‘교육과정’을 넘어 포괄적 관점에서 고교학점제를 바라보다 / 교육과정부는 왜 고교학점제 전담부서처럼 여겨지게 되었나?/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은 과목 편제표 이상의 것들을 포괄한다 / 고교학점제는 소통과 협력이 원활한 민주적 학교 문화를 기반으로 꽃피운다 / 고교학점제를 지렛대로 교육과정을 넘어 총체적 교육 혁신을 위하여

오해와 진실 07 학교 공간혁신_우리 학교는 오래된 건물에 교실도 부족한데, 고교학점제 운영이 가능할까?

이런 구닥다리 공간에서 고교학점제를 하라고요? / 많은 교실과 선진화된 공간 확보가 고교학점제의 필수 조건일까? / 과목 개설은 학교의 운영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교과교실제는 무조건 선진화된 공간혁신이 이루어져야 가능할까? / 학교는 어떤 공간이어야 하는가?

오해와 진실 08 제도적 이질감_교육 혁신은 지금도 하고 있는데, 왜 굳이 생소한 고교학점제를 도입해야 하지?

우리나라에서 고교학점제는 정말 뜬금없는 제도일까? / 이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을 강조하였다 / 혁신교육으로 이미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가 구축되고 있다 / 책임교육은 학교 본연의 책무이다 / 고등학교 교육은 학생들이 꿈을 탐색하고 준비하는 과정이다 /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은 교육 3주체가 함께하는 과정이다 / 교육지원청의 학교 지원 역할이 강화되었다

오해와 진실 09 현장의 저항감_고교학점제도 난제 속을 표류하다 결국 흐지부지되지 않을까?

완벽에 가까운 총론과 저항하는 현장, 무엇이 문제인가? / 교육과정의 불편한 관행, 학교알리미는 이미 알고 있다? / 고교학점제의 ‘찬반’ 쟁점은 무엇인가? / 난제들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 전략은 무엇인가?

참고자료
Author
정미라,김성천,김호진,박시영,백승진
화성시 병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연구위원과 교육과정디자인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면서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선생님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교원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고교학점제란 무
엇인가?》,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공저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의 기관의 교육과정 관련 공동 연구와 국회를 포함한 다수 기관의 토론회에 참석했으며, EBS 미래교육플러스+ 고교학점제 1, 2부에 출연했다.
화성시 병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연구위원과 교육과정디자인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면서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선생님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교원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고교학점제란 무
엇인가?》,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를 공저하였고,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의 기관의 교육과정 관련 공동 연구와 국회를 포함한 다수 기관의 토론회에 참석했으며, EBS 미래교육플러스+ 고교학점제 1, 2부에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