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현장에서 바로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 명강의교수상 수상자 이수진 교수의 협동 수업 도구 활용에서 수업 예시까지
대면 수업에서 그랬듯이 온라인 수업 역시 문제해결력, 창의력, 사고력, 책임감, 공감, 성찰 등 가상 공간뿐만 아니라 진짜 세상(real world)에서 살아갈 힘을 배우고 키워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위한 툴을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명강의교수상 수상자이자 ‘상호 작용’을 연구한 이수진 교수는 미래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협동 수업’이라고 제안하면서 이를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협동 수업의 이론과 실제를 보여주고 있다. 배움과 가르침 사이에서 자유롭게 적응할 수 있는 학습법에 이르기까지 학생과 교사, 학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무엇보다 필요한 지금 친밀한 공감과 소통을 말하는 수업 설계는 물론 도구 활용법은 물론 다양한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추천사 4
프롤로그 10
*PART 1 온라인 협동 수업 기초는 상호 작용
01 가르침을 다시 정의하다 15
02 온라인 수업 성공의 열쇠를 찾아라 39
〈Teaching Tip 1〉 효과적인 수업 비계 설정 방법
*PART 2 소통 창구, 효과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01 온라인 수업 팔방미인 니어팟 65
02 학생 참여율 높이는 멘티미터 74
03 포스트잇 게시만 패들렛 활용하기 81
04 자유로운 화상 앱, 플립그리드 93
05 학생 중심 형성평가, 카훗 & 퀴즐렛 102
06 이메일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110
07 상호 작용 촉진하는 줌 대화창 118
〈Teaching Tip 2〉 학생 참여를 독려하는 교사의 말, 말
*PART 3 학생들이 주도하는 온라인 협업 활동
01 잼보드로 그룹 활동 구성하기 132
02 온라인 역할극, 언어 훈련에 효과적 139
03 구글 문서로 모둠 활동하는 3가지 도구 146
04 구글 슬라이드로 발표 자료 만들기 150
05 온라인 토론과 디베이트 참여하기 156
〈Teaching Tip 3〉 프로젝트 기반학습
*PART 4 셀프 모니터링 능력, 왜 필요한가?
01 인지 능력과 공부 전략은 비례한다 166
02 학생 셀프 모니터링은 어떻게 하나? 174
03 교사 수업 진단은 수업 촬영이 기본이다 185
04 감사일기 쓰는 교사라면 192
〈Teaching Tip 4〉 발견적 교수법
*PART 5 온라인 협동 수업 실천 사례
[사례 1 영어] 영시로 감사 표현하기 201
[사례 2 국어]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논설문 프로젝트 215
[사례 3 사회] 동영상 만들기 & 난민 협업 프로젝트 223
[사례 4 국어] 줌 소회의실에서 또래 독서 훈련 231
[사례 5 영어] 구글 슬라이드와 러닝로그를 활용하다 237
[사례 6 영어] 잼보드를 활용한 세계시민교육 247
〈Teaching Tip 5〉 온라인 학급 관리
References 261
Author
이수진
키맵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명강의 교수상(Teaching Excellence Award) 수상자. 2009년 뉴욕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에서 영어교육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양대학교 영어교육위원회 수석연구원으로 일했다. 2017년 여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이주하였으며 그때부터 지금까지 키맵대학교(KIMEP University)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원 재학 시절부터 가르치는 일을 시작해 꾸준히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과 소통해 온 저자는 가르치는 일을 천직으로 여기며, 2019년 재직 중인 대학에서 ‘명강의 교수상(Teaching Excellence Award)’을 수상하였다.
논문은 ‘A Case Study of One English Language Teacher’s Practices and Beliefs about Oral Corrective Feedback’(2020), ‘Impacts of Reflective Tools on Novice EFL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in Developing Countries : a Kazakhstan Case Study’(2020), ‘Kazakhstani EFL Instructional Teaching Strategies towards Heterogeneous Classroom’(2020), ‘Effects of Sequence and Storytelling Methods on EFL Development of an Adult Learner’(2021) 외 다수가 있다. 저서에는 도서출판 비비투(VIVI2)에서 출간된 『온택트,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와 한양대학교 ERICA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출간된 『A Guide Book for Teaching in General(교수법 가이드북)』, 『A Guide Book for Teaching in English(영어 강의 가이드북)』이 있다.
키맵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명강의 교수상(Teaching Excellence Award) 수상자. 2009년 뉴욕주립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Buffalo) 에서 영어교육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한양대학교 영어교육위원회 수석연구원으로 일했다. 2017년 여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이주하였으며 그때부터 지금까지 키맵대학교(KIMEP University)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학원 재학 시절부터 가르치는 일을 시작해 꾸준히 대학 강단에서 학생들과 소통해 온 저자는 가르치는 일을 천직으로 여기며, 2019년 재직 중인 대학에서 ‘명강의 교수상(Teaching Excellence Award)’을 수상하였다.
논문은 ‘A Case Study of One English Language Teacher’s Practices and Beliefs about Oral Corrective Feedback’(2020), ‘Impacts of Reflective Tools on Novice EFL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in Developing Countries : a Kazakhstan Case Study’(2020), ‘Kazakhstani EFL Instructional Teaching Strategies towards Heterogeneous Classroom’(2020), ‘Effects of Sequence and Storytelling Methods on EFL Development of an Adult Learner’(2021) 외 다수가 있다. 저서에는 도서출판 비비투(VIVI2)에서 출간된 『온택트,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와 한양대학교 ERICA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출간된 『A Guide Book for Teaching in General(교수법 가이드북)』, 『A Guide Book for Teaching in English(영어 강의 가이드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