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꽃

김완하 교수 정년퇴임 기념 작품집
$56.16
SKU
979118928255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1/06
Pages/Weight/Size 150*225*40mm
ISBN 9791189282554
Categories 소설/시/희곡 > 시/희곡
Description
이 책의 제목 ‘사이꽃’은 김완하 교수의 대표작이기도 하지만 김완하 교수를 비롯하여 이곳에 모인 132인의 작가와 이들이 쓴 423편의 시가 각자 피워 올린 꽃이고, 꽃과 꽃 사이 사이가 만들어내는 의미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사이는 하나의 틈이고, 비어있는 공간을 말한다. 그러나 사이꽃은 꽃과 꽃이 각자의 위치에서 비어 있는 곳을 향하여 채워가는 움직임이라 말할 수 있다. 김완하 시인이 시를 통해 역설하고 있는 것처럼 “꽃과 꽃 사이사이에서 피어”나는 사이꽃은 피어나는 순간 사이를 만들면서 나와 다른 꽃의 사이를 채우는 생명이자 의지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 「책머리에」 중에서
Contents
책머리에 17

『김완하 자선시 30편』

1. 나의 별은 내가 볼 수 없구나

별1 31
별2 33
별3 34
별4 35
별들의 고향 36
그리움 없인 저 별 내 가슴에 닿지 못한다 37
허공이 키우는 나무 39
눈발 40
동백꽃 42
노루귀 44

2. 우리 집은 언제나 빛으로 가득 차 있었다

아버지가 되어 46
엄마 47
마정리 집 48
새벽 신문을 펼치며 49
칡덩굴 51
집 우물 52
입동 53
섬 54
물소리 55
썰물 56

3. 꽃은 제 이름을 온몸으로 쓰고 있다

발자국 57
외로워하지 마라 58
석공 60
그늘 속의 그늘 61
매미의 무덤 62
생의 온기 63
뻐꾹새 한 마리 산을 깨울 때 65
절정 67
하회강에 가서 68
꽃과 상징 70

『사이꽃 시 모음』

강안나 단추 외 2편 72
강은미 자벌레 보폭으로 외 2편 75
강학희 어느 좀비의 시작법 외 2편 78
고명자 귀뚜라미가 늑골 아래에서 운다는 십이월의 밤 외 2편 83
곽은희 우리 교회 외 2편 89
구지혜 물멍 외 2편 92
권기림 봄 외 2편 98
권용관 축일逐日 외 2편 101
권주원 시집간 누이에게 외 2편 106
길상호 고양이와 커피 외 2편 110
김경숙 택배 외 2편 114
김공호 빙떡꽃 외 2편 118
김규나 사과의 꿈 외 2편 122
김나원 뒷북 외 2편 126
김난수 누가 그러더군 악연은 성스럽게 온다고 외 2편 130
김다은 하얀 공룡 외 2편 135
김도경 아들의 가방을 메고 외 2편 139
김동준 달빛 침상 외 2편 144
김동호 검은 친구 외 2편 148
김선환 물의 꽃 외 2편 151
김승필 허공 한 채 외 2편 155
김시도 붕어찜 외 2편 159
김은순 장담기외 2편 165
김재광 정류장의 시간 외 2편 170
김정순 가연佳緣 외 2편 173
김종덕 겨울 벽화 외 2편 177
김주희 비로소 외 2편 182
김지숙 데드플라이 외 2편 187
김태익 전설의 가치 외 2편 191
김혜윤 자화상 외 2편 196
김화순 꿈 외 2편 201
남연우 응달집 외 2편 205
남원근 겨울 외 2편 211
남정화 행성 외 2편 215
노금선 만 원의 행복 외 2편 220
노수승 스노우볼 외 2편 226
류경동 어떤 연대기 외 2편 230
민재명 안락사 외 2편 236
박광영 밥과 별과 시 외 2편 240
박득희 가시 외 2편 244
박미숙 북회귀선 외 2편 247
박세아 사막기도 외 2편 251
박소연 숨 한 모금 외 2편 255
박송이 소심한 책방 외 2편 259
박유하 막차 외 2편 264
박인정 우렁이 색시 외 2편 269
박일우 흰 두루마기 외 2편 272
박종영 발골작업 외 2편 276
박한송 소금 아빠 외 2편 281
박희준 종이의 무덤 외 2편 284
백명자 억새 외 2편 289
백혜옥 저녁강 외 2편 293
변선우 복도 외 2편 296
빈명숙 고향바다 외 2편 300
빙현희 여름 외 2편 304
서지석 맛있는 홍대와 베이커리 음악들 외 2편 308
서희경 수박 외 2편 314
성은주 코끝의 도시 외 2편 320
손경선 어머니 외 2편 325
손 미 사람을 사랑해도 될까 외 2편 328
손상아 조각보 외 2편 334
손혁건 최고의 높이란 외 2편 338
송계헌 위대한 얼룩 외 2편 341
신규철 나의 강으로 외 2편 345
신영목 새해 외 2편 350
신영연 가자 외 2편 353
신현자 일탈 외 2편 358
심송무 하얀 볼 외 2편 363
아 은 오독 외 2편 367
안성덕 섬 외 2편 371
안창현 콘크리트 샤워 외 2편 375
안후영 남향 고을 외 2편 379
양안나 호미 놓고 기역 외 2편 383
양희순 대숲 돌그릇 외 2편 389
엄경옥 혼밥존 외 2편 395
엄태지 스며드는 자전거들 외 2편 401
여진숙 못은 비밀을 무는 버릇이 있고 외 2편 406
오영미 접시꽃 외 2편 411
우종숙 태양 하나를 낳았다 외 2편 415
원양희 다듬는 일 외 2편 420
유선영 파주 외 2편 425
유인선 잠이 안와요 외 2편 429
육근철 바늘과 실 외 2편 435
윤선아 꽃밭 외 2편 439
윤진모 변방의 별 외 2편 444
이경희 시손님 외 2편 448
이근석 시계의 마음 외 2편 452
이덕비 왕십리의 봄 외 2편 457
이명식 입춘첩을 내걸다 외 2편 461
이미화 달을 캔다 외 2편 464
이봉직 나의 선언 외 2편 468
이비단모래 상사화에 체해 외 2편 471
이성숙 봄에는 프리지아 외 2편 476
이성심 오래된 밥상 외 2편 482
이성혜 고요한 작업 외 2편 487
이윤소 돌의 족보를 누설하다 외 2편 491
이윤지 하품 외 2편 496
이 정 시계의 마음 외 2편 501
이정희 사십 계단을 울먹이며 오르는 이에게 외 2편 505
이태진 뒤에 서는 아이 외 2편 513
이현명 아버지와 리어카 외 2편 517
이혜경 과속 카메라외 2편 520
이희수 벌판서 안부를 묻다외 2편 525
임남희 저수지외 2편 528
임서령 타고 오르는 것의 본능 외 2편 531
장진숙 가을산 외 2편 536
전건호 달팽이의 산책 외 2편 540
전동진 수화 외 2편 546
전병국 회색 마을 외 2편 550
전희진 로사네 집의 내력 외 2편 553
정국희 로스엔젤레스, 천사의 땅을 거처로 삼았다 외 2편 558
정대중 마법의 비 외 2편 563
정용재 빵 굽는 시간 외 2편 566
정우석 끝날 줄 모르는 외 2편 570
정은이 아버지의 지게 외 2편 575
정정숙 가을행 버스 외 2편 579
조경숙 행운木 외 2편 585
조남명 콩바심 외 2편 588
조명희 자두나무 아래 너를 부르면 외 2편 591
조옥동 천사의 도시인가 L.A는 외 2편 597
조재숙 늙은 호박 외 2편 600
지연경 배고픈 햇살 외 2편 603
진종한 두더지 외 2편 607
차유진 人,큐베이터 외 2편 611
최태랑 철쭉꽃 외 2편 617
하미숙 문門 외 2편 621
하희경 매미의 수다 외 2편 627
한재선 가을 하숙집 외 2편 632
한정근 휘묻이 외 2편1 638
현택훈 우리말 사전 외 2편 641
황인학 구름의 뿌리는 어디일까 외 2편 645

김완하金完河 주요 연보(1958 ~ 현재) 649
Author
김완하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다. 1987년 [문화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소월시 우수상, 시와시학상 젊은시인상, 대전시문화상, 충남시협 본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9~2010년, 2016~2017년에 UC 버클리 대학교의 객원교수로 있었다. 현재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 사회문화대학원 주임교수, 계간 [시와정신] 편집인 겸 주간과, 한남문인회장, 시와정신국제화센터 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지평과 심층』, 『한국 현대시와 시정신』, 『신동엽의 시와 삶』, 『김완하의 시 속의 시 읽기』1, 2, 3, 4, 5, 시집 『길은 마을에 닿는다』, 『그리움 없인 저 별 내 가슴에 닿지 못한다』, 『네가 밟고 가는 바다』, 『허공이 키우는 나무』, 『절정』, 『집 우물』, 시선집 『어둠만이 빛을 지킨다』, 『꽃과 상징』 등이 있다. 또 공저서 『현대시의 이해』, 『한국문학의 이해』, 『생으로 뜨는 시』 1, 2, 『시창작이란 무엇인가』, 『시창작에 이르는 길』, 『시와 문화콘텐츠 창작』 등이 있다.
경기도 안성에서 태어났다. 1987년 [문화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소월시 우수상, 시와시학상 젊은시인상, 대전시문화상, 충남시협 본상 등을 수상하였다. 2009~2010년, 2016~2017년에 UC 버클리 대학교의 객원교수로 있었다. 현재 한남대학교 국어국문창작학과 교수, 사회문화대학원 주임교수, 계간 [시와정신] 편집인 겸 주간과, 한남문인회장, 시와정신국제화센터 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 『한국 현대시의 지평과 심층』, 『한국 현대시와 시정신』, 『신동엽의 시와 삶』, 『김완하의 시 속의 시 읽기』1, 2, 3, 4, 5, 시집 『길은 마을에 닿는다』, 『그리움 없인 저 별 내 가슴에 닿지 못한다』, 『네가 밟고 가는 바다』, 『허공이 키우는 나무』, 『절정』, 『집 우물』, 시선집 『어둠만이 빛을 지킨다』, 『꽃과 상징』 등이 있다. 또 공저서 『현대시의 이해』, 『한국문학의 이해』, 『생으로 뜨는 시』 1, 2, 『시창작이란 무엇인가』, 『시창작에 이르는 길』, 『시와 문화콘텐츠 창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