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사상의 연구

$66.70
SKU
979118926947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25
Pages/Weight/Size 153*224*40mm
ISBN 9791189269470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교수의 『화엄사상의 연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그의 학문적인 업적을 대표하는 책이다. 『화엄사상의 연구』는 동아시아 화엄교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조망하고, 의상과 원효 등 신라의 승려가 그 과정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 심도 깊게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로써 신라불교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동아시아 불교사의 지형을 새로 그리는 등 화엄사상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매우 뜻깊은 책이다. 이시이 코세이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엄학자로 거듭났다.
Contents
서문 … vii
한국어판 서문 … xiv
역자 서문 … xviii

서론 … 1
1. 문제의 소재 … 1
2. 본서의 개요 … 18

제1부 화엄사상사 연구

제1장 지론종의 『화엄경』 해석 … 29
- 「화엄경양권지귀」를 중심으로
1. 불타삼장, 『화엄경양권지귀』의 의의 … 29
2. 서지(書誌) … 32
3. 『화엄경양권지귀』에서 언급하는 문헌 … 35
4. 사나굴다(?那?多) 역, 『십이불명경(十二佛名經)』과의 관계 … 41
5. 『화엄경양권지귀』의 구성 … 52
6. 『화엄경양권지귀』의 교판 … 56
7. 돈교·점교와 원통 개념 … 71
8. 인과를 통한 분류 … 80
9. 『대집경』과의 관련 … 101
10. 화엄교학과의 관계 … 107
11. 결론 … 110

제2장 지엄의 화엄교학 … 113

제1절 성기설의 성립 … 113
1. 머리말 … 113
2. 『수현기(?玄記)』의 법계연기 … 114
3. 법계연기의 염문(染門) … 116
4. 법계연기의 정문(淨門) … 127
5. 결론 … 152

제2절 부정과 무진 … 155
1. 별교일승의로서의 부정 … 155
2. 성기(性起)와 부정(不定) … 166
3. 부정설의 선구 … 169
4. 부정에서 무진으로 … 185
5. 실천과의 관련 … 193
6. 『장자』와의 관계 … 199
7. 결론 … 205

제3절 『일승십현문』의 제문제 … 207
1. 머리말 … 207
2. 종래의 여러 설 … 208
3. 혜광의 영향 … 216
4. 혜명(慧命) 『상현부(詳玄賦)』와의 유사성 … 230
5. 『일승십현문』의 비판 대상 … 245
6. 결론 … 254

제3장 신라의 화엄사상 … 256

제1절 의상 귀국 이전의 상황 … 256
1. 한국불교의 『화엄경』 수용 … 256
2. 신라의 지론교학 … 260
1) 지론교학의 유포 … 260
2) 름사(?師)를 둘러싼 문제 … 263
3) 름사의 교학적 특징 … 270

제2절 원효의 교학 … 284
1. 머리말 … 284
2. 신역을 둘러싼 논쟁 … 285
3. 화쟁의 근거로서의 『기신론』 … 288
4. 저작의 성립 순서 … 290
5. 『기신론』에 관련된 저작의 특색 … 294
1) 『기신론별기』의 특색 … 294
2) 『이장의』의 특색 … 308
3) 『해동소』의 특색 … 311
4) 결론 … 315
6. 『해동소』 이후의 연구 상황 … 316

제3절 의상의 화엄교학 - 『화엄일승법계도』의 성립 배경 … 319
1. 머리말 … 319
2. 반시(盤詩)의 형식 … 320
3. 의상의 지론교학 … 329
4. 『법계도』의 비판 대상 … 334
1) 동산법문(東山法門)에 대한 비판 … 334
2) 여여무애의(如如無?義)에 대한 비판 … 355
5. 지엄 교학과의 차이 … 368
6. 결론 … 375

제4절 이이상즉설(理理相卽說)의 형성 … 377
1. 머리말 … 377
2. 의상의 이이상즉설과 지엄의 교학 … 378
3. 이이상즉설 출현의 배경 … 385
4. 『법계관문』과의 관련성 … 388
5. 불타삼장(佛陀三藏)과 초기 지론종의 이이상즉설 … 391
6. 정영사 혜원의 육상설 … 394
7. 결론 … 396

제5절 『화엄경문답』의 여러 문제 … 399
1. 머리말 … 399
2. 위작설을 둘러싼 문제 … 399
3. 문체의 문제점 … 403
4. 의상 사상과의 공통점 … 411
5. 삼계교와의 관계 … 420
6.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에 미친 영향 … 427
7. 성립 배경과 유포 상황 … 432

제6절 원효의 화엄교학 … 435
1. 머리말 … 435
2. 『화엄경소』 서(序)와 『장자』의 사상 … 440

제4장 법장의 화엄교학 … 445

제1절 무궁(無窮)과 중중무진(重重無盡) … 445
1. 머리말 … 445
2. 「의리분제장(義理分齊章)」의 구성 … 449
3. 연기인문육의법(緣起因門六義法)의 검토 … 452
1) 상즉의 근거 … 459
2) 상입의 근거 … 462
4. 동체문(同體門)과 무궁(無窮) … 464
5. 무궁(無窮)과 법이(法爾) … 476

제2절 사사무애설의 재검토 … 482
1. 문제의 소재 … 482
2. 법장의 경우 … 488
3. 결론 … 492

제3절 화엄교학의 귀결-법장의 보살계관 … 494
1. 보살계에 대한 동경 … 494
2. 비한인(非漢人) 내지는 비한인계의 불교 … 500
3. 『범망경보살계본소(梵網經菩薩戒本疏)』의 현실주의 … 506
4. 살생과 효의 문제 … 522
5. 『화엄경』과의 관계 … 538

제5장 신라 화엄사상 전개의 일측면(一側面) … 542
― 『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제1절 『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 542
1. 머리말 … 542
2. 논을 만든 목적 … 544
3. 『금강삼매경』과 『금강삼매경론』의 의용 … 550
4. 의상계 사상과의 관계 … 558
5. 『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 568

제2절 불이마하연(不二摩訶衍)의 성립 … 576
1. 머리말 … 576
2. 불이마하연설과 『유마경』 「입불이법문품」 … 577
3. 불이마하연설과 길장의 불이관 … 583
4. 결론 … 605

제6장 일본의 초기 화엄교학 … 608
― 주료(壽靈) 『오교장지사(五敎章指事)』의 성립 경위
1. 머리말 … 608
2. 『화엄경』 개강 전후의 상황 … 608
3. 『오교장지사』의 성립 연대 … 622
4. 일승의 선양 … 629
5. 천태 교의의 중시 … 635
6. 화엄 지상주의자에 대한 비판 … 642
7. 화엄 연구의 진전과 폐해 … 662

제7장 쇼무 천황의 조칙에 보이는 서원과 저주 … 666
1. 머리말 … 666
2. 국분사 창건의 칙서 … 668
3. 대불 건립의 조칙 … 693
4. ‘『화엄경』을 근본으로 한다’는 조칙 … 721
5. 결론 … 732

제2부 지론종의 문헌들

제1장 『칠종예법(七種禮法)』 … 737
1. 머리말 … 737
2. 『칠종예법』을 인용하는 문헌들 … 738
3. 여래장 사상에 근거한 예불 … 741
4. 성립의 배경 … 748

제2장 돈황에서 출토된 지론종 문헌 … 750

제1절 혜원 계통 이외의 지론종 문헌 … 750
1. 혜원 계통 이외의 지론사의 교판 … 750
2. 천태의 행위설과의 관계 … 754
3. 결론 … 758

제2절 『대집경』을 존숭하는 계통의 지론종 문헌 … 759
1. 중국에서의 『대집경』 수용 … 759
2. 『대집경』을 존숭하는 파의 『대집경』 주석 … 766
3. 결론 … 773

제3부 자료편

-불타삼장, 『화엄경양권지귀』 교주 … 775

·찾아보기 … 819
·간행사 전문 … 852
Author
이시이 코세이,김천학
1950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76년, 와세다(早稻田)대학 문학부 및 동(同)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했다. 1988년, 와세다대학 강사, 1994년 「화엄교학의 연구」로 박사(문학) 학위를 받았고, 1996년부터 현재까지 고마자와 대학교(駒澤大學校) 불교학부 교수로 있다.

전공은 화엄종·지론종(地論宗)·선종·성덕태자 등을 주축으로 하여 인도·중국·한국·일본·베트남에서의 불교 교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는 순수 불교학에 머무르지 않고, 불교와 문학과의 관계, 그리고 최근에는 근대 아시아 제국(諸國)에서의 불교와 내셔널리즘의 관계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일본 불교학계 내에서도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발상을 기초로, 기존의 사상사적인 틀을 깨고 새로운 시점을 제공하는 학자로서 알려져 있다. 불교사 연구에서 인도,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도식화된 일본식 삼국사를 부정하고 이 책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 화엄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다.

*저서 : 『東アジア佛敎史』(岩波新書, 2019), 『<ものまね>の歷史―佛敎·笑い·藝能』(吉川弘文館, 2017), 『聖德太子―實像と傳說の間』(春秋社, 2016), 『華嚴思想の硏究』(春秋社, 1996) 등 다수.
1950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76년, 와세다(早稻田)대학 문학부 및 동(同)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했다. 1988년, 와세다대학 강사, 1994년 「화엄교학의 연구」로 박사(문학) 학위를 받았고, 1996년부터 현재까지 고마자와 대학교(駒澤大學校) 불교학부 교수로 있다.

전공은 화엄종·지론종(地論宗)·선종·성덕태자 등을 주축으로 하여 인도·중국·한국·일본·베트남에서의 불교 교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는 순수 불교학에 머무르지 않고, 불교와 문학과의 관계, 그리고 최근에는 근대 아시아 제국(諸國)에서의 불교와 내셔널리즘의 관계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일본 불교학계 내에서도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발상을 기초로, 기존의 사상사적인 틀을 깨고 새로운 시점을 제공하는 학자로서 알려져 있다. 불교사 연구에서 인도,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도식화된 일본식 삼국사를 부정하고 이 책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 화엄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다.

*저서 : 『東アジア佛敎史』(岩波新書, 2019), 『<ものまね>の歷史―佛敎·笑い·藝能』(吉川弘文館, 2017), 『聖德太子―實像と傳說の間』(春秋社, 2016), 『華嚴思想の硏究』(春秋社, 1996) 등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