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오온과 유식

『대승오온론』 역주
$21.60
SKU
9791189269012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9/30
Pages/Weight/Size 150*220*30mm
ISBN 9791189269012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이 책 『오온과 유식―대승오온론 역주』(이하 『오온과 유식』)은 일본의 촉망받는 유식불교 학자 모로 시게키(師 茂樹) 교수가 쓴 『대승오온론』 역주서다. 한국의 불교학자이자 불교 관련 양서를 꾸준히 번역 소개하고 있는 허암 김명우 선생이 옮겼다.

『대승오온론』은 유식불교를 대성시킨 세친(世親, Vasubandhu, 400~480)이 쓴 아주 짧은 논서다. 세친은 『유식삼십송』, 『유식이십론』 등 유식 관련 저작을 많이 남겼는데, 『대승오온론』도 그중 하나다.

『대승오온론』은 세친의 저작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저작들과 달리 불교 연구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지 않고, 거의 연구된 적도 없다. 현재 한국에서 출판된 『대승오온론』에 관한 연구서는 이 책 『오온과 유식』이 유일하다.
그러나 최근 『대승오온론』의 산스크리트 사본과 안혜의 주석서가 출간되면서 향후 국내외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 예상된다. 『오온과 유식』이 한국의 『대승오온론』 연구에 밀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이 책에서 『대승오온론』 본문은 현장 스님이 번역한 한역과 현대어 번역을 함께 실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다. 한역과 산스크리트어 역, 티베트어 역의 내용이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현대어 번역을 함께 실었다.

또 오온·12처·18계·오위백법 등 유식사상의 핵심적 내용을 본문의 설명과 함께 그림과 표로 정리해 주고 있어 불교 공부를 하는 데 유용하다. 이 책은 불교를 공부하는 사람들, 유식을 공부하는 학자나 유식을 알고 싶어 하는 불교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일러두기 … 10

제1장 『대승오온론』을 읽기 전에 … 11

1. 시작하는 말 … 13
2. 저자 세친 … 16
세친의 전기 … 16
세친의 저작 … 28
-설일체유부 계통 저작28-경전 주석서28-유식 논서에 대한 주석서29-중관파 논서에 대한 주석서29-유식 논서30-논리학 관련30-그 이외의 저작30
세친 2인설 … 32
3. 『대승오온론』에 대하여 … 37
『대승오온론』의 위치 … 37
『대승오온론』의 텍스트와 주석서 … 38

제2장 『대승오온론』을 읽다 … 43

1. 제목·저자·귀경게 … 45
귀경게 … 47
2. 『대승오온론』의 저술 배경 … 49
아비달마의 중요성 … 49
암기의 중요성 … 53
명상을 위한 암기 … 58
신비체험을 위한 암기 … 61
3. 『대승오온론』의 구성 … 64
전체의 구성 … 65
오위백법(五位百法) … 68

제3장 색온을 읽다 … 73

1. 색온(色蘊)의 종류 … 75
2. 네 가지 원소[四大種] … 78
사대종(四大種) … 78
사대종소조색(四大種所造色) … 80
사대종사대종소조색에 의한 명상 … 83
오근(五根, 다섯 가지의 감각기능) … 86
오경(五境, 다섯 가지의 인식대상) … 88
무표색(無表色) … 92
●무표색과 계율96-정신집중에 의해 생긴 물질적인 것98-동아시아에서 발달한 무표색 연구104-무표색과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107
3. 색이란 무엇인가 … 108
주관적 신체 … 108
문화와 아뢰야식 … 112

제4장 수온상온행온을 읽다 … 115

1. 수온·상온·행온을 읽기 전에 … 117
불교에서의 ‘마음’ … 117
오온과 오위백법 … 123
2. 수온(受蘊) … 126
3. 상온(想蘊) … 129
4. 행온(行蘊)의 종류 … 133
5. 심법(心法, 심소법) … 135
변행(遍行) … 138
●변행이란138-촉(觸)138-작의(作意)141-수(受)·상(想)142-사(思)142
별경(別境) … 145
●욕(欲)146-승해(勝解)147-염(念)149-사마디(三摩地)153-혜(慧)154
선(善) … 156
●신(信)158-참(?)·괴(愧)159-무탐(無貪)162-무진(無瞋)164-무치(無癡)165-정진(精進)166-경안(輕安)167-불방일(不放逸)168-사(捨)170-불해(不害)172
번뇌 … 173
●탐(貪)173-진(瞋)174-만(慢)175-무명(無明)179-견(見)181-의(疑)185-선천적인 번뇌·후천적인 번뇌186
수번뇌(隨煩惱) … 187
●분(忿)187-한(恨)188-복(覆)188-뇌(惱)189-질(嫉)190-간(?)191-광(?)191-첨(諂)192-교(?)193-해(害)194-무참(無?)·무괴(無愧)195
●혼침(?沈)·도거(掉擧)196-불신(不信)197-해태(懈怠)198-방일(放逸)199-실념(失念)200-산란(散亂)201-부정지(不正知)202
불결정(不決定) … 203
●악작(惡作)204-수면(睡眠)206-심(尋)·사(伺)207
6. 심불상응행(心不相應行) … 210
심불상응행의 정의와 종류 … 210
팔식설 … 213
심불상응행 … 216
●득(得)216-삼계(三界)·선정과 식과의 관계218-무상등지(無想等至)220-멸진등지(滅盡等至)221-무상소유(無想所有)223-명근(命根)224
●중동분(衆同分)225-생(生)·노(老)·주(住)·무상(無常)227-명신(名身)·구신(句身)·문신(文身)229-이생성(異生性)233-그 이외의 심불상응행233
7. 행온 전체의 결어 … 235

제5장 식온을 읽다 … 237

1. 식온(識?) … 239
식이란 무엇인가 … 239
2. 최승심(最勝心,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 … 243
아뢰야식의 존재 증명 … 248
아뢰야식과 아다나식 … 253
3. 최승의(最勝意, 말나식) … 256
4. 온(蘊)에 대하여 … 259

제6장 12처와 18계 … 261

1. 일체법 … 263
2. 12처(十二處) … 265
12처와 오온의 대응 … 265
무위법 … 269
왜 ‘처(處)’라고 하는가? … 273
3. 18계(十八界) … 274
18계와 오온의 대응 … 274
오온과 12처8계와의 대응 … 277
왜 ‘계(界)’라고 하는가? … 281
4. 오온·12처·18계를 설한 이유 … 283

제7장 제문분별(諸門分別) … 285

1. 18계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 287
물질적인 것[有色]은 몇 개인가? … 289
보이는 것[有見]은 몇 개인가? … 291
공간을 점하고 있는 것[有對]은 몇 개인가? … 292
번뇌에 관계하는 것[有漏]은 몇 개인가? … 293
삼계와의 관계 … 298
오온과의 관계 … 301
선(善)불선(不善)무기(無記)와의 관계 … 303
‘나’의 내측외측 … 304
인식대상을 가지고 있는 것[有緣]은 몇 개인가? … 305
구상작용(분별)을 가진 것은 몇 개인가? … 306
신체에 관계하는 것[執受]은 몇 개인가? … 308
동류인 것[同分]은 몇 개인가? … 309
2. 결어 … 312

제8장 마치는 말 … 313
마치는 말 … 315

옮긴이의 말 … 318
참고문헌 … 322

Author
모로 시게키,허암 김명우
1972년 일본 오사카 출생
와세다 대학 문학부 졸업
동양대학 대학원 수사(석사)
관사이 대학 박사(문화교섭학)
현재 하나조나 대학 교수
저서: 『논리와 역사-동아시아불교 논리학의 형성과 전개』, 『몸의 문화-수행과 신체』,
『인문학과 저작권 문제』, 『언어와 불교』 외 다수.
1972년 일본 오사카 출생
와세다 대학 문학부 졸업
동양대학 대학원 수사(석사)
관사이 대학 박사(문화교섭학)
현재 하나조나 대학 교수
저서: 『논리와 역사-동아시아불교 논리학의 형성과 전개』, 『몸의 문화-수행과 신체』,
『인문학과 저작권 문제』, 『언어와 불교』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