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아프면 우리도 아픕니다 (큰글자도서)

코로나와 마주한 한국 사회의 민낯
$46.44
SKU
979118914339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10
Pages/Weight/Size 182*279*30mm
ISBN 9791189143398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숫자에 가려진 채 ‘우리’가 되지 못한 사람들과 삶
노인, 정신장애인, 배달노동자, 이주노동자…감염보다 무서운 그들의 고단함
코로나와 마주한 약자들의 고통과 슬픔에 구체적인 얼굴을 부여하는 책


이 책에서 주의 깊게 들여다보고자 하는 것은 이른바 정부가 자화자찬하는 ‘K-방역’ 이면의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일과 사람들이다. 돌봄노동자의 보살핌이 없으면 생존할 수 없는 노인들, 자신들도 노인인 돌봄노동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될수록 더 많은 집의 문을 대면해야 했던 배달노동자, 재난안전 문자메시지를 받아도 메시지를 읽을 수 없는 이주민, 사회적 거리두기 구호를 도저히 실천할 수 없는 장애인, 더 빠르게 실업과 가족 돌봄 노동으로 내몰린 여성, 바이러스 자체보다도 더 무서운 사회적 낙인에 신음하는 감염환자, 중국에 다녀오지 않고도 바이러스 취급을 당했던 중국 동포 등 ‘우리’가 될 수 없었던 사람들 말이다. 『아픔이 길이 되려면』의 저자인 김승섭 고려대 교수가 “코로나19와 함께 살아가는 사회적 약자들의 고통과 슬픔에 구체적인 얼굴을 부여하는 책”으로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이다.
Contents
추천사…5

프롤로그…8

1 언택트 노동 | 배달노동자의 다리로 메운 사회적 거리…21
2 고령화 | 아프고 가난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39
3 이주민, 이주 노동 | 무차별적인 바이러스, 차별적인 지원…65
4 여성, 성평등 | 36.1년, 코로나19로 잃어버린 성평등 시간…93
5 성 소수자 | 배제와 혐오에도 사람은 죽는다…107
6 정신장애인 | 탄광 속의 카나리아, 자유가 치료다…127
7 감염환자, 낙인 | 바이러스가 사라진 자리에 남은 아픔…157
8 중국, 중국인 | 국내 정치에 불과한 중국 혐오…181
9 의사, 의사협회 | 슬기롭지 않은 의사들의 정치…197
10 간호사 | 면허 소지자 절반이 간호하지 않는 나라…229
11 종교 | 먹고 기도하고 사랑해도 감염은 피할 수 없다…243
12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 아는 것을 안다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라…263
13 가짜 뉴스 | 팬데믹만큼 무서운 인포데믹…275
14 유전학 | 거짓말하지 않는 바이러스 게놈…301
15 여행, 환경, 자본 | 탄소 배출, 플라스틱 사용 세계 3위 ‘한국’…317
16 코로나 블루 | 우울과 무기력도 전염이 되나요…333
17 백신, 백신 거부 | 집단면역으로 가는 길…347

주…360
Author
이재호
일간지 한겨레 사회부 사건팀 기자이다. 30년째 일기를 쓰고 있는데 ‘한국 사회의 일기’를 쓰겠다는 각오로 기자가 되었다. 2014년 대한항공의 ‘땅콩 회항’을 단독으로 보도했으며, 2018년에는 난민 관련 기획기사로 ‘제21회 국제엠네스티 언론상’을 수상했다. 2014년 세월호,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대형 사회적 재난 현장을 마주하고 이를 기록한 것을 계기로 보건대학원에서 ‘건강 불평등’에 대해 공부했다. 앞으로도 계속 ‘한국 사회의 일기’를 쓸 계획이다. 한국 사회에 깃든 난민의 삶을 다룬 글이 2019년 우수출판콘텐츠로 선정되며 책 《낯선 이웃》으로 출간되었다.
일간지 한겨레 사회부 사건팀 기자이다. 30년째 일기를 쓰고 있는데 ‘한국 사회의 일기’를 쓰겠다는 각오로 기자가 되었다. 2014년 대한항공의 ‘땅콩 회항’을 단독으로 보도했으며, 2018년에는 난민 관련 기획기사로 ‘제21회 국제엠네스티 언론상’을 수상했다. 2014년 세월호,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대형 사회적 재난 현장을 마주하고 이를 기록한 것을 계기로 보건대학원에서 ‘건강 불평등’에 대해 공부했다. 앞으로도 계속 ‘한국 사회의 일기’를 쓸 계획이다. 한국 사회에 깃든 난민의 삶을 다룬 글이 2019년 우수출판콘텐츠로 선정되며 책 《낯선 이웃》으로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