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데리다, 리오타르, 푸코를 교회로 데려가기
$20.52
SKU
979118909244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Mon 04/2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4/17 - Mon 04/2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8/17
Pages/Weight/Size 140*200*15mm
ISBN 9791189092443
Categories 종교 > 기독교(개신교)
Description
포스트모더니즘, 파리에서 온 마귀인가?

교회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말에 경기를 일으키곤 한다. 설교나 특강에서는 맞서 싸워야 할 두려운 적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제임스 스미스는 이런 두려움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오해와 오독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는 포스트모던 사상가의 텍스트를 직접, 면밀하게 읽고 분석하여 쉽게 풀어낸다. 그러고는 그리스도인이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배워야 한다고 주장하는데(물론 그리스도교와의 차이도 확인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무엇보다도 ‘모더니즘’에 물든 그리스도교를 넘어서기 위한 디딤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Contents
〈에라스무스 총서〉를 발간하며
시리즈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서문

1. 파리에서 온 마귀인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2. 텍스트 바깥에는 아무것도 없다?: 데리다, 해체, 성경
3. 메타내러티브는 모두 사라졌는가?: 리오타르, 포스트모더니즘, 그리스도교 이야기
4. 권력/지식/훈육: 푸코와 포스트모던 교회의 가능성
5. 적용된 근원적 정통주의: 이머징 교회를 위한 제안

주석을 단 참고문헌
온라인 자료
찾아보기
Author
제임스 K. A. 스미스,설요한
포스트모던 기독교 내의 신학철학 운동인 ‘급진 정통주의’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독교 철학자. 현대 프랑스 사상을 연구하고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칼뱅, 에드워즈와 카이퍼에 이르는 신학적 문화 비평의 전통에서 영향을 받은 그는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학계와 사회와 교회를 이어 주는 자신만의 독특한 은사를 발휘하면서 이 분야의 선구적 사상가로 발돋움했다. 현재 캘빈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가 《습관이 영성이다》의 대성공과 “문화적 예전” 시리즈 완결 이후에 펴낸 이 책에서는, 마르틴 하이데거를 비롯하여 알베르 카뮈, 한나 아렌트, 자크 데리다를 비롯한 철학 사상가들은 물론, 잭 케루악의 소설과 제이지의 음악, 웨스 앤더슨의 영화를 종횡무진 오가면서 왜 고대 아프리카의 성인 아우구스티누스가 우리가 사는 복잡한 세상에 적절한 영성 순례 가이드인지를 보여 준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출신으로 워털루대학교와 엠마우스성경대학을 졸업하고, 기독교학문연구소(ICS)와 빌라노바대학교에서 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적 예전” 시리즈 《하나님나라를 욕망하라》, 《하나님나라를 상상하라》, 《왕을 기다리며》를 비롯하여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급진 정통주의 신학》, 《칼빈주의와 사랑에 빠진 젊은이에게 보내는 편지》, 《해석의 타락》 등 여러 책을 저술하고 편집했다. <월스트리트 저널>, <뉴욕 타임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북스앤드컬쳐> 등의 잡지와 신문에도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코멘트>지 편집장을 지냈고, 현재는 <이미지 저널> 편집장이다.
포스트모던 기독교 내의 신학철학 운동인 ‘급진 정통주의’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독교 철학자. 현대 프랑스 사상을 연구하고 아우구스티누스에서 칼뱅, 에드워즈와 카이퍼에 이르는 신학적 문화 비평의 전통에서 영향을 받은 그는 철학, 신학, 윤리학, 미학, 과학, 정치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학계와 사회와 교회를 이어 주는 자신만의 독특한 은사를 발휘하면서 이 분야의 선구적 사상가로 발돋움했다. 현재 캘빈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그가 《습관이 영성이다》의 대성공과 “문화적 예전” 시리즈 완결 이후에 펴낸 이 책에서는, 마르틴 하이데거를 비롯하여 알베르 카뮈, 한나 아렌트, 자크 데리다를 비롯한 철학 사상가들은 물론, 잭 케루악의 소설과 제이지의 음악, 웨스 앤더슨의 영화를 종횡무진 오가면서 왜 고대 아프리카의 성인 아우구스티누스가 우리가 사는 복잡한 세상에 적절한 영성 순례 가이드인지를 보여 준다.

캐나다 온타리오주 출신으로 워털루대학교와 엠마우스성경대학을 졸업하고, 기독교학문연구소(ICS)와 빌라노바대학교에서 철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문화적 예전” 시리즈 《하나님나라를 욕망하라》, 《하나님나라를 상상하라》, 《왕을 기다리며》를 비롯하여 《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급진 정통주의 신학》, 《칼빈주의와 사랑에 빠진 젊은이에게 보내는 편지》, 《해석의 타락》 등 여러 책을 저술하고 편집했다. <월스트리트 저널>, <뉴욕 타임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 <북스앤드컬쳐> 등의 잡지와 신문에도 정기적으로 기고하고 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코멘트>지 편집장을 지냈고, 현재는 <이미지 저널> 편집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