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이토록 역사적인 음료

한국인에게 커피는 무엇인가
$20.52
SKU
979118894969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1/30
Pages/Weight/Size 128*188*22mm
ISBN 9791188949694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 140년에 걸친 한국 커피 문화사
· 구한말 망국의 상징이었던 커피는 어떻게 한국인이 가장 즐기는 음료가 되었나

《커피, 이토록 역사적인 음료》는 140년 동안 한국에 커피가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보여주는 커피 문화사다. 지은이 진용선은 등단 시인이자, 커피 아키비스트(archivist)다. 1980년대 문학만큼이나 커피에 빠져들어 커피를 연구하고 관련 자료를 모아 기록하기 시작한 그는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커피 문화사를 연구하고 강의하는 커피 인문학자가 됐다. 특히 인스턴트커피와 믹스커피에 호기심을 가지고 있던 저자는 한국이 커피의 나라가 된 이유를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따라 매력적인 이야기로 풀어낸다. 구한말 개화기부터 1980년대 이후까지 한국 커피사의 중요한 분기점을 6개의 챕터로 나눠 무엇 때문에 한국인들이 커피에 열광했는지를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구한말은 최신 서양 문물이었던 커피가 소개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사료를 토대로 커피가 들어온 과정부터 커피 애호가로 유명했던 고종에 관한 이야기, 최초의 커피 전문점에 대한 연구를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와 함께 소개한다. 고종이 커피 애호가였기에 독살을 피했다는 대목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일제 강점기는 망국 이후 하와이 등지의 커피 농장으로 떠난 사람들, 모던 보이와 모던 걸로 상징되는 상류층 그리고 문인들이라는 세 계층을 중심으로 커피가 받아들여지는 과정을 보여 준다. 나라를 빼앗긴 후 먹고살 길을 찾아 해외로 떠난 힘없는 사람들에게 커피는 목을 축이기 위해 마시는 ‘쓴 물’이었지만, 모던 보이와 모던 걸에게는 유행의 최첨단에 서 있던 음료였다. 문인들에게 커피는 다방에 모여 문학과 시국을 논하는 매개체였다. 놀랍게도 당시 모던 보이와 모던 걸들은 그때도 ‘아이스커피’를 즐겼다는 게 흥미롭다. ‘얼죽아’는 이미 100년 전부터 커피족의 마음을 사로잡은 것이다.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한국은 커피 불모지였다. 전쟁통에도 커피를 찾는 이들이 많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았다. 쌀값보다 비싼 커피를 찾는 이들에게 날선 눈길이 떨어졌지만 커피 애호가들은 개의치 않았다. 불황과 전쟁을 거치는 동안 오갈 데 없는 사람들에게 커피는 ‘위로의 맛’이었다. 한편 당시 많은 사람들은 미군정기 때부터 깡통 시장을 통해 돌기 시작한 미군의 전투 식량 속에 들어 있던 인스턴트커피로 처음 커피를 접했다. 허기를 달래기 위해 마셨던 커피는 어떤 이들에게는 ‘가난의 맛’이었다.

1970년대부터 커피는 점차 일상에 파고들기 시작한다. 정부는 커피값을 통제하고 수입을 억제하려고 했지만, 시장 앞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결국 정부는 커피 규제를 포기하고 커피를 생산해서 공급하기로 결정한다. 그때 등장한 회사가 동서식품이다. 동서식품은 국내에서 제조한 인스턴트커피를 필두로 그 유명한 믹스 커피를 만들어 내놓는다. 한국 역사상 최고의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히는 믹스 커피는 다방에서 즐기던 커피를 집과 사무실에까지 끌어들였다. 전 국민이 커피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던 데에는 동서식품의 커피믹스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80년대부터는 커피 전문점이 등장했고 스타벅스가 등장하면서 커피 산업이 발전했다. 스타벅스는 부동산의 가치를 올려줄 정도로 상징성을 가지게 됐다. 커피가 사람을 끌어들인다는 것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강릉이 커피 도시가 된 것은 강릉이 가진 ‘스토리’와 커피의 경제성이 결합됐기 때문이다.

모든 사람이 커피를 즐기면서 한국은 커피의 나라가 됐다. 그 과정은 다사다난하면서도 끈질긴 생명력으로 성장한 우리 역사와 같다. 이토록 매력적인 커피, 한국인이 사랑하는 것은 우연이 아닌 것이다.
Contents
프롤로그

PART I. 신문물에서 망국의 상징으로

· 커피,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왔을까?
· 망국의 상징, 고종의 커피
· 고종이 정관헌에서 커피를 마셨다는 오해
· 고종 황제 커피 독살 미스터리
· 대불호텔 레스토랑, 조선 커피 1호점?
· 대한제국의 운명과 함께한 손탁호텔의 커피
· 코나 커피 농사에 뛰어든 하와이 한인 이민자들
· 부래상의 공짜 커피와 멕시코 애니깽의 ‘쓴 물’

PART II. 모던 보이, 모던 걸의 음료

· 최승희와 조선호텔 커피숍 선룸의 스타 마케팅
· 다방의 등장과 한국인 최초의 다방 ‘카카듀’
· 다방 르네상스 시대
· 카페인에 대한 궁금증과 인산 커피의 탄생
· 문인들의 아지트가 된 이상의 ‘제비’ 다방
· ‘얼죽아’의 시작, 모던 보이와 모던 걸
· 카페인에 대한 궁금증과 인삼 커피의 탄생

PART III. ‘가난의 맛’에서 ‘위로의 맛’으로

· C-레이션 커피, 인스턴트커피 시대를 열다
· 문인들의 출판 기념회가 열린 플라워다방
· 전쟁 시기 각성제와 구충제로 각광받은 커피
· 밀다원을 중심으로 한 피난 수도 부산의 다방
· ‘커피병 환자’와 다방 홍수 시대의 커피값
· 쌀값보다 비싸도 좋아

PART IV. 망국의 사치품에서 낭만의 상징으로

· 커피 불허의 시대
· 기억의 유물, 모닝커피와 도라지 위스키
·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 다방 찬가가 되다
· 음악 다방의 인기몰이와 대중문화 확산

PART V. 한국 근대화가 낳은 발명품

· 동서식품이 주도한 한국의 커피 시장
· 커피믹스의 탄생에는 ‘비빔밥 문화’가 있다
· 커피 자판기의 등장과 다방의 위기

PART VI. 윤락의 도구에서 일상의 의식으로

· 티켓 다방, 강원도 탄광촌에서도 성행
· 난다랑, 프랜차이즈 커피 전문점 시대를 열다
· 스타벅스 돌풍과 ‘앵커 테넌트 효과’
· 서울의 미래 유산이 된 학림다방
· 강릉은 어떻게 커피 도시가 됐나
Author
진용선
커피 아키비스트(archivist)이자 아리랑 전문가다. 강원도 정선 출생으로 인하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비교언어학을 전공했다. 1985년 제1회 MBC 청소년문학상을 받았고, 그해 겨울 시 전문지 《심상》 신인상과 《시문학》 추천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중국과 일본, 러시아와 유라시아, 미주와 중남미로 확산한 디아스포라 아리랑을 연구하여 《아리랑 로드》를 비롯한 60여 권에 이르는 아리랑 관련 인문서를 저술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수석 연구원, 아리랑박물관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리랑 아카이브 대표, 강원특별자치도 무형유산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리랑이 평생의 업이라면 커피는 그의 동반자다. 1986년 인천에서 로스터리 커피숍 'Warehouse' 운영을 시발점으로 커피 관련 일을 시작한 그는 방대한 인스턴트커피 자료를 수집하고 메타데이터를 분석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일에 매진하며, 강연과 전시 등으로 커피 콘텐츠를 확장하고 활용하는 활동을 해왔다. 2016년부터 한국여성수련원, 국립민속박물관, 이육사문학관, 인재개발원, 교육청 산하 학교 등에서 커피 인문학 강의를 이어 가고 있다. 2023년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기록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커피 자료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을 주제로 기록학 영역에서 커피를 이야기하기도 했다. 2009년 기록 관리 유공 국민 포장을 받았다.
커피 아키비스트(archivist)이자 아리랑 전문가다. 강원도 정선 출생으로 인하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비교언어학을 전공했다. 1985년 제1회 MBC 청소년문학상을 받았고, 그해 겨울 시 전문지 《심상》 신인상과 《시문학》 추천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중국과 일본, 러시아와 유라시아, 미주와 중남미로 확산한 디아스포라 아리랑을 연구하여 《아리랑 로드》를 비롯한 60여 권에 이르는 아리랑 관련 인문서를 저술했다.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수석 연구원, 아리랑박물관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리랑 아카이브 대표, 강원특별자치도 무형유산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리랑이 평생의 업이라면 커피는 그의 동반자다. 1986년 인천에서 로스터리 커피숍 'Warehouse' 운영을 시발점으로 커피 관련 일을 시작한 그는 방대한 인스턴트커피 자료를 수집하고 메타데이터를 분석해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일에 매진하며, 강연과 전시 등으로 커피 콘텐츠를 확장하고 활용하는 활동을 해왔다. 2016년부터 한국여성수련원, 국립민속박물관, 이육사문학관, 인재개발원, 교육청 산하 학교 등에서 커피 인문학 강의를 이어 가고 있다. 2023년에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기록학 전공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커피 자료의 아카이브 구축과 활용’을 주제로 기록학 영역에서 커피를 이야기하기도 했다. 2009년 기록 관리 유공 국민 포장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