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트루스(post-truth)’는 ‘여론을 형성할 때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현상’으로 국내에서는 ‘탈진실’이라고도 불린다. 이 책은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슈 속에서 거짓 정보가 어떻게 사람들을 유혹하고, 또 왜 사람들이 진실이 아닌 정보에 현혹이 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와 함께 탈진실 사회와 가짜 뉴스의 뿌리와 그 문제점을 파헤친다. 하버드 대학교와 보스턴 대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치는 지은이 리 매킨타이어는 이 책에서 정보가 합리적 근거보다 감정에 의해 선택되는 이유에 대해 철학·사회학·심리학적으로 고찰했다. 이와 함께 저널리즘 전문가 정준희 교수(중앙대 언론정보대학원)가 국내 탈진실 문제와 가짜 뉴스 사례에 관해 해제를 달았다.
Contents
머리말
감사의 말
제1장 탈진실이란 무엇인가?
2016년 그리고 탈진실 현상 | 진실과 거짓말 | 탈진실,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제2장 탈진실을 이해하려면 과학부인주의를 보라
과학 이론은 진리가 아니다 | 의혹을 팝니다 | 기후변화에서 그 너머까지 | 과학부인주의가 탈진실에 미친 영향
제3장 탈진실의 뿌리에는 인지 편향이 있다
사회심리학 역사상 유명한 세 가지 고전적 발견 | 인지 편향에 대한 현대의 연구들 | 역화 효과 | 더닝-크루거 효과 | 인지 편향이 탈진실에 미친 영향
제4장 전통적인 미디어가 쇠퇴하다
미디어와 언론의 역사 | 편향된 미디어가 가져온 문제 | 미디어의 쇠퇴가 탈진실에 미친 영향
제5장 소셜미디어의 출현과 가짜 뉴스의 범람
소셜미디어의 등장 | 가짜 뉴스의 역사 | 오늘날의 가짜 뉴스 | 혼란과 혼돈의 세계로 | 가짜 뉴스에 맞서 싸우려면 | 가짜 뉴스가 탈진실에 미친 영향
제6장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떻게 탈진실로 이어졌을까?
포스트모더니즘이란? | 과학 전쟁 | 소칼의 지적 사기극 | 보수 진영의 포스트모더니즘 | 트럼프를 지지하는 인터넷 괴물들
제7장 탈진실에 맞서 싸우다
진실은 정말로 죽었는가? | 거짓에 맞서 싸워라 | 우리는 선진실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해제 탈진실의 사회정치학과 미디어
탈진실과 가짜 뉴스, 생각보다 오래된 현상 | 이른바 탈진실 시대의 도래 | 지속되는 것과 새로 부상하는 것, 익숙함과 낯섦 | 미디어 사회 체계의 변동 | 극화되고 분절화된 사회정치적 환경 | 국내 가짜 뉴스에 대한 대응 | 탈진실 현상에 대한 냉정과 열정 사이
후주
Author
리 매킨타이어,김재경,정준희
보스턴 지역의 철학자이며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논픽션 작가다. 하버드대학교와 보스턴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보스턴대학교 ‘철학과 과학사 센터’의 연구원이다.
지은 책으로는 《진실의 존중Respecting Truth: Willful Ignorance in the Internet Age》(라우틀리지), 《어둠의 시대Dark Ages: The Case for a Science of Human Behavior》(MIT출판사), 《사회과학의 법과 설명Laws and Explanation in the Social Sciences》(웨스트뷰), 《과학적 자세The Scientific Attitude》(MIT출판사)가 있다. 이 책은 지은이의 국내 첫 번역서다.
보스턴 지역의 철학자이며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논픽션 작가다. 하버드대학교와 보스턴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보스턴대학교 ‘철학과 과학사 센터’의 연구원이다.
지은 책으로는 《진실의 존중Respecting Truth: Willful Ignorance in the Internet Age》(라우틀리지), 《어둠의 시대Dark Ages: The Case for a Science of Human Behavior》(MIT출판사), 《사회과학의 법과 설명Laws and Explanation in the Social Sciences》(웨스트뷰), 《과학적 자세The Scientific Attitude》(MIT출판사)가 있다. 이 책은 지은이의 국내 첫 번역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