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의 성공적인 사례와 방법론이 넘치는 가운데 사업이 종료된 이후의 지속가능성을 고민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책이 나왔다. 도시재생 현장에서 현실적인 문제를 접해온 저자들이 도시재생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방법을 모색한 책이다. 저자들은 재개발, 개건축과는 달리 쇠퇴한 지역을 주민들이 주도해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활성화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재생기업에 주목한다.
Contents
제1편 도시재생의 이해
제1장 도시재생을 알아보자
도시는 혼자 살아갈 수 없다 | 서울은 어떻게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을까? | 도시재생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 도시재생을 하면 무엇이 좋아질까? | 어떻게 하면 도시재생이 지속될 수 있을까?
제2편 도시재생경제조직의 사업화(지역공동체조직의 사업화)
제1장 도시재생경제조직을 파악하자
시작하는 이유를 명확히 하자 | 열정과 행동을 구체화하자 | 사업화는 지역팀이 중심이다 | 방향과 신뢰가 중요하다
제2장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 정하자
0(zero)의 중요성 | 조직에 대한 세 가지 오해 | 내 아이디어에 관심을 보이는 이를 파악한다 | 특정 개인과 구매과정을 주시하라 | 우리가 팔고자 하는 상품(서비스)을 제대로 알리자 | 말은 그만하고 숫자로 제시하라 | 비즈니스 모델과 사업계획서는 다르다 | 어디서부터 시작할지 구체적으로 정하라 | 테스트 제품부터 시작하라 | 모든 것을 융합하여 설명하자
제3장 우리 조직(나)이 더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스케일업을 위한 전략)
고객이 참여하고 대화하도록 이끌자 | 당장 디지털화를 시작하자 | 비즈니스 모델을 다시 그리자 | 지역자원 활용범위의 확대를 기획하자 | 창업에서의 상권 vs. 도시재생에서의 상권, 관점이 다르다 | 민간투자를 목표로 성장전략을 수립해 보자 | 도시재생경제조직은 공공성과 경제성의 균형이 중요하다 |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제3편 도시재생기업이란 무엇인가?
제1장 서울 도시재생기업의 이해
서울 도시재생기업이란? | 서울 도시재생기업에서는 무엇을 할까? | 서울 도시재생기업 어떻게 진행될까? | 서울 도시재생기업 어떻게 선정할까? | 서울 도시재생기업 어떻게 육성될까?
제2장 서울 도시재생기업의 사례
서울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 | 암사 도시재생 사회적협동조합 | 서울로 마을닥터 목공 협동조합
Author
윤병훈,김지영,이명훈
LH토지주택연구원 책임연구원. 전, 서울시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사무국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대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서울시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사무국장으로 근무하며 도시재생 현장실무를 직접 경험하였다. 현재 LH토지주택연구원에서근무하며 도시재생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현장에서도시재생을 바라보다(2020)》가 있으며, 주요 연구 및 논문으로는 〈포스트코로나 19시대의 도시재생 정책 방향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Urban Growth Stage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between Core and Periphery〉,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참여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 서울 동북4구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등이 있다.
LH토지주택연구원 책임연구원. 전, 서울시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사무국장.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대 일반대학원 도시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이후 서울시 동북4구 도시재생협력지원센터 사무국장으로 근무하며 도시재생 현장실무를 직접 경험하였다. 현재 LH토지주택연구원에서근무하며 도시재생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현장에서도시재생을 바라보다(2020)》가 있으며, 주요 연구 및 논문으로는 〈포스트코로나 19시대의 도시재생 정책 방향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Urban Growth Stage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between Core and Periphery〉,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재생사업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참여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 서울 동북4구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