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마을만들기 지도자는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이끌어 내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소득증대와 환경개선 등 특정 영역에 대한 획일적인 개발에서 다른 지역사회와는 차별되는 자원을 개발하는 다원적 접근, 즉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로 변화하고 있다. 개발 방식도 외부 지원에 먼저 의존하는 방식에서 지역사회의 자산이나 강점을 먼저 개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외부의 지원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이렇듯 사업을 관리하는 지도자에게도 ‘주민을 이끌어가거나 주민에게 영향을 주는 지도력’보다 ‘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이끌어 내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지도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마을만들기 사업이 활발해지면서 ‘색깔 있게 개발되는 마을’, ‘역략개발’, ‘퍼실리테이션’이 익숙해졌다. 하지만 최근 마을만들기 현장에서는 개별 요소에 대한 교육이나 퍼실리테이션 교육대상자들이 쉽게 이해할만한 도구가 부족하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강조되고 있는 지도자의 역량개발 관련 요소를 일목요연하게 기술하였다.
이 책은 마을만들기 지도자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자신의 지역사회의 상황을 분석할 아이디어 형성, 사업을 실천하는 데 필요한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활용, 자원을 동원하는 능력을 꼽았다. 이 세 가지 핵심능력을 극대화시킬 도구 14개를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단계별로 설명해놓아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각 도구의 첫 부분에는 ‘도구 한눈에 보기’를 통해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아이디어와 정보가 필요할 때는 해당 도구를 백과사전처럼 찾아 사용할 수 있다. 14개 도구를 연습하기 위해 제공한 29개 워크시트는 마을만들기 참여자들의 집단지성을 끌어내는 데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외부의 퍼실리테이터보다는 마을의 지도자들이 지역사회 사업을 이끄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이 책은 마을만들기 계획가, 퍼실리테이터, 마을 지도자와 주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다.
Contents
서론 이 책에서 얻을 수 있는 것
블랜딘 커뮤니티 리더십 프로그램에 대한 통찰
이 책에서 찾을 수 있는 것들
이 책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들
이 책의 사용법
제1부 지역사회 지도력의 세 가지 핵심능력
아이디어 형성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활용
자원 동원
능력의 결합
제2부 아이디어 형성을 위한 도구
도구 1. 지역사회 자산 발굴
도구 2. 지역사회 문제분석
도구 3. 지역사회 자료 평가
도구 4. 감상적 탐구의 실행
도구 5. 비전 만들기
도구 6. 비전을 실천으로 변환하기
제3부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활용을 위한 도구
도구 7.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형성
도구 8. 대인 갈등 관리
도구 9. 문화 전반에 대한 사회적 자본 형성
도구 10. 사회적 자본 매핑(mapping)
제4부 자원 동원을 위한 도구
도구 11. 이해관계자 분석
도구 12. 동맹 만들기
도구 13. 효과적인 지역사회 팀 만들기
도구 14. 자원봉사자 모집과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