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출정(出征) 16
2. 과정(過程) 17
3. 회군(回軍) 18
功罪論(공죄론) 19
4. 조선왕조 연대표 26
1) 태조 이성계(太祖) 27
2) 정종 이방과(定宗) 38
3) 태종 이방원(太宗) 41
4) 세종 이도(世宗) 46
5) 문종 이향(文宗) 54
6) 단종 이홍위(端宗) 57
7) 세조 이유(世祖) 61
8) 예종 이황(睿宗) 65
9) 성종 이철(成宗) 67
10) 연산군 이융(燕山君) 70
11) 중종 이역(中宗) 74
12) 인종 이호(仁宗) 77
13) 명종 이환(明宗) 79
14) 선조 이연(宣祖) 81
15) 광해군 이혼(光海君) 87
16) 인조 이종(仁祖) 90
17) 효종 이호(孝宗) 94
18) 현종 이연(顯宗) 97
19) 숙종 이순(肅宗) 99
20) 경종 이윤(景宗) 103
21) 영조 이금(英祖) 105
22) 정조 이산(正祖) 111
23) 순조 이공(純祖) 114
24) 헌종 이환(憲宗) 116
25) 철종 이원범(哲宗) 118
26) 고종 이명복(高宗) 120
27) 순종 이척(純宗) 124
셋째, 事大主義(사대주의)와 崇儒抑佛(숭유억불) 정책 127
사대주의(事大主義) 131
숭유억불(崇儒抑佛) 135
1. 유교(儒敎)란? 135
1) 유교의 근본이념 135
(1) 사랑의 철학 135
(2) 변화의 철학 136
2) 유교의 윤리사상 137
3) 유교의 정치사상 140
4) 유교의 현실관 142
5) 유교의 종교성 143
6) 주자의 성리학 145
2. 억불 사례 146
억불정책의 방법과 영향 149
3. 崇儒의 실행 (주자 性理學) 152
1) 개요 152
2) 조선 이전부터의 유교 152
3) 여말선초 156
4) 조선 초기 158
5) 조선 중기 168
6) 조선 후기 176
맺음말 189
참고 자료 192
(重言復言, 더 하고픈 말) 195
Author
김신우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이다. (주) BP기술거래 이사와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총동문회장을 맡고 있다.
고입 그리고 대입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디지털대학교 행정학 학사를 공부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석사 과정에 「효과적 부패방지를 위한 양형기준의 합리화 방안」이라는 논물은 냈고, 숭실대학교 행정학 박사 과정에 「고령시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역모기지 가입의사 결정요인 연구」 논문을 냈다.
저서로는 『지식재산권의 이해』(2017), 『연결고리 없는 한국의 산업 4.0』(2017), 『재미진(眞) 고사성어』(2018), 『지식재산권의 이해 개정판』(2018), 『용수령 覺醒記(각성기)』(2018) 등이 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이다. (주) BP기술거래 이사와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총동문회장을 맡고 있다.
고입 그리고 대입 검정고시를 거쳐, 서울디지털대학교 행정학 학사를 공부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석사 과정에 「효과적 부패방지를 위한 양형기준의 합리화 방안」이라는 논물은 냈고, 숭실대학교 행정학 박사 과정에 「고령시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역모기지 가입의사 결정요인 연구」 논문을 냈다.
저서로는 『지식재산권의 이해』(2017), 『연결고리 없는 한국의 산업 4.0』(2017), 『재미진(眞) 고사성어』(2018), 『지식재산권의 이해 개정판』(2018), 『용수령 覺醒記(각성기)』(201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