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은 경제성과 장래성 면에서 청소년과 대학생, 농부와 은퇴 후 귀농·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에게까지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팜이란 인터넷으로 어디서든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온실 자동화 장치이자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과 로봇 등 첨단기술이 결합된 농업 시설이다. 저자는 스마트팜 농장을 운영하며 학생과 귀농인에게 스마트팜을 가르치고 있다. 『한 권으로 끝내는 스마트팜 만들기』에서는 스마트팜 기술의 흐름과 중요성을 소개하고, 인구 감소와 기후변화, 농업의 변화, 첨단기술이 보편화되고 있는 시대에 스마트팜이 가진 장점과 문제점을 명확하게 알려준다.
이 책의 핵심은 ‘내 손으로 직접 구축하는 스마트팜 DIY’이다. IoT, 빅데이터, 약간의 IT 기술과 저렴한 도구로 충분히 훌륭한 스마트팜을 만들어낼 수 있다. 경험이야말로 가장 좋은 선생님이라고 했다. 책에서 소개하는 마이크로 제어장치, 센서와 구동기기를 제어하는 부품을 조작하고 오픈소스 프로그램 설정을 따라해보면, 혼자서도 충분히 스마트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Contents
저자의 말
1장 초보 농부 스마트팜을 알게 되다
1 스마트팜이란 무엇일까
스마트팜의 정의
스마트팜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IoT
스마트팜에서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의 역할
2 스마트팜이 필요한 이유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는 스마트팜
기후변화와 이상기후를 극복하는 스마트팜
쓸 만한 데이터를 쌓아주는 스마트팜
3 세상이 바뀌면 스마트팜은 더 많이 바뀐다
농업 환경의 변화
스마트팜은 어떤 방식으로 진화할까
스마트팜 관련 기술 개발
4 스마트팜을 운영하기 위한 준비
스마트팜에 적합한 작물과 수익성이 높은 작물 선택
작물 재배 공부는 기본 중 기본
스마트팜을 설치할 장소와 공간 선택
스마트팜 온실을 직접 설계하는 법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요소
스마트팜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는 법
5 스마트팜을 도입하고 운영할 때 주의할 점
스마트팜의 평균 투자비와 수익성
스마트팜 도입과 운영 과정의 문제점
국내 시장에서 스마트팜 온실 시설의 한계
6 스마트팜을 시작할 때 해야 하는 마지막 질문들
자칫하면 애증의 스마트팜이 된다
스마트팜에서 하는 농사도 농사다!
비닐하우스 온실 기반의 스마트팜이 가진 한계
인구 감소 시대에 필요한 스마트팜
2장 스마트팜 작물 재배와 수경재배
1 식물의 생장 원리와 재배 방법
식물의 구성과 기능
광합성작용과 호흡작용의 원리
식물의 생장 과정과 재배 환경 관리
식물이 잘 자라는 최상의 조건
비료와 영양소의 특성
2 스마트팜에서 하는 수경재배
수경재배의 장점과 단점
고형배지경 방식
순수수경 방식
스마트팜에서 수경재배를 할 때 주의할 점
3 IoT 기반의 스마트팜
IoT의 정의와 개념
스마트팜에 IoT가 꼭 필요한 이유
스마트팜 IoT 네트워크 구축 방법
스마트팜 IoT 디바이스
4 스마트팜 데이터의 가치와 중요성
스마트팜 데이터의 의미
스마트팜 데이터의 가치
스마트팜 데이터 축적과 관리 방법
5 스마트팜에서 인공지능 활용하기
프로그래밍과 인공지능의 차이
딥러닝과 머신러닝, 생성형 AI
스마트팜에서 활용하는 인공지능
앞으로 활용하게 될 스마트팜 인공지능
스마트팜에 직접 인공지능 적용하기
3장 스마트팜을 직접 구축하는 법
1 스마트팜 구축 계획 세우기
2 스마트팜 작물의 집, 온실
온실의 정의와 종류
온실의 종류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3 스마트팜의 기본, 전기의 원리 이해하기
스마트팜 장치의 전압과 전류
4 사람의 일을 대신하는 스마트팜 제어와 릴레이
릴레이의 역할과 종류
릴레이 모듈의 역할과 종류
5 본격적인 스마트팜 구축하기
온실 스마트팜 구조와 전기설비
스마트팜 구축에 필요한 재료 준비하기
IoT 스마트팜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펌웨어 설치와 Wi-Fi 설정 방법
Wi-Fi 설정 오류에 대처하는 법
6 스마트팜 DIY 따라하기
7 집에서 스마트팜처럼 수경재배 하기
스마트 홈파밍에 필요한 재료 준비하기
식물재배기 만들기
모종판에 상추 모종 끼우기
식물 생장 LED 설치하기
스마트 홈파밍 시스템 만들기
스마트 홈파밍을 위한 Tasmota 설정하기
4장 스마트팜의 미래와 진로
1 스마트팜 분야별 전문가와 역할
스마트팜 작물 재배 및 관리 전문가
스마트팜 설치 및 시설 전문가
스마트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전문가
2 스마트팜을 잘 운영하는 법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어야 한다
작물과 대화하고 데이터와 친해져라
다양한 재배 기법을 연구하고 도전하라
스마트팜의 기능을 확장하라
3 직업과 진로로서의 스마트팜
미래 직업으로서 스마트팜 관련 분야
전국 대학에 설치된 스마트팜 관련 학과와 진로
Author
김정규
성균관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도시 및 지역 개발 분야 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창조경제진흥원 원장으로 재직하며 스마트팜 관련 기술 개발 및 연구를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민대학교 스마트팜과, 신한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대학의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IoT 스마트팜, 스마트팜 복합 환경 제어, IoT 스마트팜 시설 관리, 스마트팜 기계 설계, 빅데이터, 창업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오픈소스 중심의 저비용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에 관심이 많아 유튜브 채널 [김박사와 함께하는 스마트팜 직접 구축하기](www.youtube.com/@philiaa1)를 운영하고 있다. 오픈소스 스마트팜 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해 네이버 카페 ‘스마트팜고’(cafe.naver.com/smartfarmgo)의 운영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에서 조경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도시 및 지역 개발 분야 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창조경제진흥원 원장으로 재직하며 스마트팜 관련 기술 개발 및 연구를 하고 있다. 이와 함께 경민대학교 스마트팜과, 신한대학교 마이크로디그리대학의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IoT 스마트팜, 스마트팜 복합 환경 제어, IoT 스마트팜 시설 관리, 스마트팜 기계 설계, 빅데이터, 창업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오픈소스 중심의 저비용 스마트팜 시스템 구축에 관심이 많아 유튜브 채널 [김박사와 함께하는 스마트팜 직접 구축하기](www.youtube.com/@philiaa1)를 운영하고 있다. 오픈소스 스마트팜 기술 생태계 구축을 위해 네이버 카페 ‘스마트팜고’(cafe.naver.com/smartfarmgo)의 운영자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