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과 고전문학

$33.35
SKU
979118849983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12/31
Pages/Weight/Size 160*230*30mm
ISBN 9791188499830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오랜 세월 동안 무등산이 길러낸 문화 역시 다양하다. 무등산은 특히 문학의 보고이다. 멀리는 그곳에 기대어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꿈이 담긴 옛 이야기를 비롯하여, 아름다운 풍광이 빚어낸 시와 노래는 물론, 마치 순례자와도 같은 발길로 그려낸 기행 체험, 계산 풍류의 산실이 되어 주었던 누정과 원림의 울림, 그리고 국난을 당해 일어선 사람들의 분연한 외침에 이르기까지, 실로 풍부한 유산이 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시와 소설 등 여러 장르에 걸쳐 새로운 작품 창작의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이 주목한 것은 그중에서도 특히 무등산의 고전문학이다. 분야별로는 누정원림시문을 비롯하여 가사, 한시, 유산기, 설화, 고소설, 실기를 망라하였다. 모두 12명의 필자가 참여하여 13편의 글을 이 책에 수록하였다. 부연하자면, 식영정과 소쇄원의 조영과 관련된 시문을 다룬 2편, 가사 작품인 『면앙정가』·『성산별곡』·『석촌별곡』을 다룬 3편, 적벽 공간과 무등산 유람을 노래한 한시를 다룬 2편, 무등산 유산기를 다룬 1편, 무등산과 김덕령 설화를 다룬 3편, 고소설 『김덕령전』을 다룬 1편, 무등산권역의 실기 문헌을 다룬 1편이 그것이다.
Contents
머리말

식영정의 창건과 [식영정기] │ 박준규 9
소쇄원 조영에 투영된 감성 구조와 공간의 미학 │ 조태성 37
무등산의 장소성과 그 의미 - 송순의 [면앙정가]를 대상으로 │ 고성혜 61
정철 [성산별곡]에 나타난 성산 공간의 표상 │ 김아연 89
무등산 기행가사 [석촌별곡]의 배경과 서정 │ 김신중 117
‘무등산권 적벽’ 공간의 조선시대 문학작품 연구 │ 김대현 145
조선조 문인의 무등산 유람과 시적 형상화 │ 박명희 195
무등산 유산기 자료의 전반적인 고찰 │ 김대현 233
무등산전설의 연구 │ 나경수 257
김덕령 전승을 통한 영웅의 여정 │ 송진한 291
김덕령 설화의 서사적 원천과 의미, 전승집단의 김덕령 인식 │ 표인주 315
[김덕령전]에 나타난 영웅의 형상과 의미 │ 백지민 349
무등산권역과 실기문헌 │ 신해진 371
Author
박준규,나경수
경상북도 의성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주임교수와 BK21플러스 사업단장 및 인문학연구원 원장 등을 맡고 있다.

주로 텍스트 번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17세기 민족수난기의 실기문헌, 한문 필기류와 소설류 및 몽유록계 소설, 아주신씨가 문집 등을 역주 작업하여 50여 권의 역주서가 있다. 『역주 성은선생일고』(역락, 2009)는 2010년 문화관광체육부 우수학술도서로, 『증보 해동이적』(경인문화사, 2011)은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저역서로 『조선 중기 몽유록의 연구』(1998), 『조선 후기 우화소설선』(공편, 1998), 『역주 조선 후기 세태소설선』(1999), 『조선 후기 가정소설선』(2000), 『한국 고수필문학』(2001), 『조선조 전계소설』(2003), 『역주 내성지』(2007), 『서류 송사형 우화소설』(2008), 『권칙과 한문소설』(2008), 『조선 후기 몽유록』(2008), 『역주 창의록』(2009), 『소대성전』(2009), 『장풍운전』(2009), 『역주 성은선생일고』(2009), 『역주 퇴재선생실기』(2009), 『역주 난적휘찬』(2010), 『역주 호계선생유집』(2011), 『해동이적』(2011),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 애제문』(2012), 『한국 고전소설의 이해』(공저, 2012), 『남한기략』(2012), 『병자봉사』(2012), 『광산거의록』(2012), 『남한일기』(2012), 『심양사행일기』(2012), 『호남병자창의록』(2013), 『강도충렬록』(2013), 『향병일기』(2014), 『우산선생 병자창의록』(2014), 『심양왕환일기』(2014), 『호산만사록』(2015), 『금화사몽유록』(2015), 『금산사몽유록』(2015), 『한국 고수필 문학선』(2015), 『반곡난중일기(상·하)』(2016), 『이와전 투첩성옥 옥당춘낙난봉부』(2016), 『왕경룡전·용함옥』(2016), 『16세기 문향 의성을 일군, 의성 회당 신원록 종가』(2017), 『왕회전(상·하)』(2017∼2018), 『건주기정도기』(2017), 『완판방각본 유충렬전』(2018), 『완판방각본 이대봉전』(2018), 『무등산과 고전문학』(공저, 2018), 『요해단충록 1∼8』(2019), 『경판방각본 영웅소설선』(2019), 『17세기의 실기 문학과 문헌 탐구』(2019), 『심행일기』(2020), 『현수문전』(2021), 『지헌 임진일록』(2021), 『양대박 창의 종군일기』(2021), 『성재 용사실기』(2021), 『가휴 진사일기』(2021) 등이 있으며, 이외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
경상북도 의성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주임교수와 BK21플러스 사업단장 및 인문학연구원 원장 등을 맡고 있다.

주로 텍스트 번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17세기 민족수난기의 실기문헌, 한문 필기류와 소설류 및 몽유록계 소설, 아주신씨가 문집 등을 역주 작업하여 50여 권의 역주서가 있다. 『역주 성은선생일고』(역락, 2009)는 2010년 문화관광체육부 우수학술도서로, 『증보 해동이적』(경인문화사, 2011)은 2012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된 바 있다.

저역서로 『조선 중기 몽유록의 연구』(1998), 『조선 후기 우화소설선』(공편, 1998), 『역주 조선 후기 세태소설선』(1999), 『조선 후기 가정소설선』(2000), 『한국 고수필문학』(2001), 『조선조 전계소설』(2003), 『역주 내성지』(2007), 『서류 송사형 우화소설』(2008), 『권칙과 한문소설』(2008), 『조선 후기 몽유록』(2008), 『역주 창의록』(2009), 『소대성전』(2009), 『장풍운전』(2009), 『역주 성은선생일고』(2009), 『역주 퇴재선생실기』(2009), 『역주 난적휘찬』(2010), 『역주 호계선생유집』(2011), 『해동이적』(2011),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의 미학, 애제문』(2012), 『한국 고전소설의 이해』(공저, 2012), 『남한기략』(2012), 『병자봉사』(2012), 『광산거의록』(2012), 『남한일기』(2012), 『심양사행일기』(2012), 『호남병자창의록』(2013), 『강도충렬록』(2013), 『향병일기』(2014), 『우산선생 병자창의록』(2014), 『심양왕환일기』(2014), 『호산만사록』(2015), 『금화사몽유록』(2015), 『금산사몽유록』(2015), 『한국 고수필 문학선』(2015), 『반곡난중일기(상·하)』(2016), 『이와전 투첩성옥 옥당춘낙난봉부』(2016), 『왕경룡전·용함옥』(2016), 『16세기 문향 의성을 일군, 의성 회당 신원록 종가』(2017), 『왕회전(상·하)』(2017∼2018), 『건주기정도기』(2017), 『완판방각본 유충렬전』(2018), 『완판방각본 이대봉전』(2018), 『무등산과 고전문학』(공저, 2018), 『요해단충록 1∼8』(2019), 『경판방각본 영웅소설선』(2019), 『17세기의 실기 문학과 문헌 탐구』(2019), 『심행일기』(2020), 『현수문전』(2021), 『지헌 임진일록』(2021), 『양대박 창의 종군일기』(2021), 『성재 용사실기』(2021), 『가휴 진사일기』(2021) 등이 있으며, 이외 다수의 저역서와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