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단 천부경』은 바다에 사는 물고기에게 전설이 되어버린 바다에 대한 글이다. 삶의 의미를 깨닫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이다. 『천부경』은 너무나 난해하여 신비 속에 묻혀 잊혀졌지만 우리의 본능만은 잊지 못하고 아직도 붙잡고 있었다. 이 책은 『천부경』의 신비를 상식으로 풀어, 『천부경』이 전설에서 일상으로 되돌아오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은 책이다.
Contents
머리말
범례凡例
제 1 장 천부경天符經
천부경天符經 전문 (81자字)
1. 천부경天符經의 분경分經과 구절句節
2. 천부경天符經 풀이
3. 천부경天符經 상세 풀이
천부경天符經이란?
가. 일시一始 무시無始
(가). 일시一始 무시無始 관련 문헌
(나). 무시無始에서 무無의 쓰임
(다). 일시一始 무시無始의 의미
나. 일석一析 삼극三極 무진본無盡本
(가). 일석一析 삼극三極으로 선택
(나). 무진본無盡本의 의미
(다). 일석一析 삼극三極 무진본無盡本의 의미
다. 천일일天一一 지일이地一二 인일삼人一三
(가). 천일天一ㆍ지일地一ㆍ인일人一에서 일一의 의미
(나). 천일일天一一ㆍ지일이地一二ㆍ인일삼人一三에서 끝의 일一ㆍ이二ㆍ삼三의 의미
라. 일적십거一積十鉅 무궤화삼無?化三
(가). 일적십거一積十鉅 무궤無?의 문헌
(나). 일적십거一積十鉅 무궤화삼無?化三의 의미
(다). 천일일天一一 지일이地一二 인일삼人一三의 의미
(라). 인일人一의 다른 이름 태일太一
마. 천이삼天二三 지이삼地二三 인이삼人二三
(가). 천이삼天二三ㆍ지이삼地二三ㆍ인이삼人二三에서 이二와 삼三의 의미
(나). 천이삼天二三 지이삼地二三 인이삼人二三의 의미
(다). 삼대三大ㆍ삼원三圓ㆍ삼일三一의 용도
바. 대삼합大三合 육생칠팔구六生七八九 운運
(가). 대삼합大三合의 의미
(나). 대삼합大三合 육생六生과 육六의 의미 및 특징
(다). 육생六生 칠팔구七八九 운運의 의미
(라). 대삼합大三合 육생칠팔구六生七八九 운運의 의미
(마). 영부靈符란?
(바). 천부天符란?
사. 삼사성환三四成環 오칠일五七一
(가). 삼사三四와 오칠五七의 의미
(나). 삼사성환三四成環 오칠일五七一의 의미
(다). 삼사성환三四成環 오칠일五七一에 대한 문헌
아. 묘연妙衍 만왕만래萬往萬來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
(가). 묘연妙衍이란
(나). 만왕萬往 만래萬來의 의미
(다).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의 의미
(라). 묘연妙衍 만왕만래萬往萬來 용변부동본用變不動本의 의미
자. 본심본本心本 태양앙명太陽昻明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
(가). 본심본本心本의 의미
(나). 태양앙명太陽昻明의 의미
(다). 본심본本心本 태양앙명太陽昻明의 의미
(라).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의 의미
(마). 본심본本心本 태양앙명太陽昻明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의 의미
(바).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이 필요한 이유?
차. 일종一終 무종일無終一
(가). ‘일一’의 의미
(나). 무극無極의 의미
(다). 일종一終 무종일無終一의 의미
4. 천부경天符經의 유래由來
가. 전비문篆碑文
나. 묘향산 석벽본石壁本
다. 태백일사본太白逸史本
라. 노사본蘆沙本
마. 고운사적본孤雲事蹟本
제2장 삼일신고三一神誥
삼일신고三一神誥란
1. 천훈天訓/허공虛空 (36字)
2. 신훈神訓/일신一神 (51字)
3. 천궁훈天宮訓/천궁天宮 (40字)
4. 세계훈世界訓/세계世界 (72字)
5. 진리훈眞理訓/인물人物 (167字)
가. 상철上哲ㆍ중철中哲ㆍ하철下哲의 분류
나. 진성眞性은 무선악無善惡, 선무악善無惡 중 어느 것일까?
다. 진眞ㆍ망妄이란?
6. 현존하는 삼일신고三一神誥 한문漢文 원문原文의 차이
※ 참전계경 자료의 [비교] 부분 범례凡例
1. 일월日月 - 해와 달.
2. 무극無極 - 무극.
3. 사시四時 - 사계절.
4. 고부顧賦 - 천생天生을 돌아 봄.
5. 양성養性 - 천성天性을 기름.
6. 원희原喜 - 원래 좋아함.
·한문漢文의 특별한 쓰임 및 용어 설명
1. 한문의 특별한 쓰임
2. 문법 용어 해설
3. 한문漢文에서 배수倍數 표시
·한문漢文의 허사虛辭 용법用法 정리
참고문헌
Author
경환
저자 경환耿桓은 삶의 돌파구를 찾던 중 단학丹學을 만나 명상冥想을 시작하였다. 단학에서 명상의 기초를 배웠으며, 그 이후 명상은 제 삶의 일부가 되었다. 명상을 통해 저자의 삶은 밝아졌으며, 심신心身의 건강도 되찾았다. 1998년 여름, 수행에 대한 욕구와 세속적인 삶의 영위라는 근본적인 문제의 대립으로 심신이 극도의 분열 상태에 있을 때, 『천부경天符經』 강천講天(천도天道를 암송) 수행으로 이를 극복하여 강천 수행에 길을 알고, 강천 수행을 하면서 세속에서 삶이 이끄는 대로 살고 있다.
『천부경天符經』해석도 그 삶이 이끄는 대로 구해지는 책을 읽고, 떠오르는 대로 정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저자 경환耿桓은 삶의 돌파구를 찾던 중 단학丹學을 만나 명상冥想을 시작하였다. 단학에서 명상의 기초를 배웠으며, 그 이후 명상은 제 삶의 일부가 되었다. 명상을 통해 저자의 삶은 밝아졌으며, 심신心身의 건강도 되찾았다. 1998년 여름, 수행에 대한 욕구와 세속적인 삶의 영위라는 근본적인 문제의 대립으로 심신이 극도의 분열 상태에 있을 때, 『천부경天符經』 강천講天(천도天道를 암송) 수행으로 이를 극복하여 강천 수행에 길을 알고, 강천 수행을 하면서 세속에서 삶이 이끄는 대로 살고 있다.
『천부경天符經』해석도 그 삶이 이끄는 대로 구해지는 책을 읽고, 떠오르는 대로 정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