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성의 미학: 세계화와 한국 미술

$26.08
SKU
979118810883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hu 05/3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1 - Thu 05/2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9/07
Pages/Weight/Size 165*235*20mm
ISBN 9791188108831
Categories 인문 > 미학/예술철학
Description
한국의 성공적인 디아스포라 미술가들에 대한 현장 연구

“보편성으로서의 미술”은 이미 우리에게 익숙한 모더니즘 시대 미술가들의 명제이기도 하다. 또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포스트모던 시대 미술가에게 미술은 지역 문화에 기초한 다양성의 시각 언어였다. 그렇다면 세계화 시대 한국 미술가들이 추구하는 보편성은 어떻게 특징지을 수 있을까? 그것이 과거 모더니즘 시대 추상주의로서 국제 양식을 추구하였던 보편주의와 어떻게 다른 것인가?

이 책은 세계화 시대 한국 미술가들이 보편성으로서의 미학을 추구하는 과정에 대한 심층 묘사이다. 다시 말해 동양의 사고체계에 익숙한 한국 미술가들이 서양의 문화와 타협하고 적응하고 조화시키면서 새로운 한국성을 탐색하고 발견하게 되는 긴 여정을 묘사하고 해석하였다. 한국 미술가들이 보편성을 찾아 작품을 만드는 실천 과정에 대한 파악은 동시에 그들이 사는 세계화 시대의 삶의 조건을 이해하도록 할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 미술가들과 함께 떠나는 이 여정은 독자들에게 세계화 시대 보편성으로서의 미술이 어떠한 이유에서 이 시대 삶의 표현으로서의 미술인지를 이해시켜 준다.
Contents
머리말

제1장 세계화 시대의 한국 미술가들
세계화: 21세기의 삶
보편성의 미술: 한국 미술가들의 담론
이론적 배경
저술의 내용 개요

제2장 한국 미술가들의 작품, 예술적 의도, 미적 가치
초문화적 공간에서의 한국 미술가들과의 현장 연구
요약

제3장 탈영토화와 정체성
정체성과 미술의 실천
탈영토화를 시도하면서
뿌리에 대한 요구
재영토화
의미 체계로서의 한국 문화
한국성의 무의식적, 우연적 표현
요약

제4장 기관 없는 몸과 창의성
기관 없는 몸
제3의 공간에 위치한 기관 없는 몸
틈새(사이)에서의 차이
틈새에서의 첩화
요약

제5장 보편성의 미학을 개념화하면서
보편성의 고원에 올라서
배치체
다양체
요약

제6장 세계화 배경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미술
세계화에 내재한 특수성/개별성 대 일반성의 관계
한국 미술의 세계화: 독창성을 통한 보편성의 성취
Author
박정애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학위를, 동 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술교육을 전공하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서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 『미술과 교육』의 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InSEA(International Society for Education through Art) 발행 학회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through Art(IJEA), 『미술과 교육』 등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포스트모던 미술, 미술교육론』, 『의미 만들기의 미술』, 『보편성의 미학: 세계화와 한국 미술』, 그리고 『현대 미술교육의 이론과 쟁점』(공저)과 영문판 편저 Art Education as Critical Cultural Inquiry가 있다. 번역서로는 『미술교육의 역사』, 『래디컨트: 니꼴라 부리요의 현대미술이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라보는 아동미술발달』(공역) 등이 있다. 미술교육, 문화연구, 한국 미술에 관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한 A&HCI급 논문과 해외 학자들과의 공동 저서가 다수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60여 편의 글을 게재하였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에서 학사학위를, 동 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술교육을 전공하여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영국 서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공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 『미술과 교육』의 편집장을 역임하였으며, InSEA(International Society for Education through Art) 발행 학회지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through Art(IJEA), 『미술과 교육』 등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포스트모던 미술, 미술교육론』, 『의미 만들기의 미술』, 『보편성의 미학: 세계화와 한국 미술』, 그리고 『현대 미술교육의 이론과 쟁점』(공저)과 영문판 편저 Art Education as Critical Cultural Inquiry가 있다. 번역서로는 『미술교육의 역사』, 『래디컨트: 니꼴라 부리요의 현대미술이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바라보는 아동미술발달』(공역) 등이 있다. 미술교육, 문화연구, 한국 미술에 관한 학제 간 연구를 바탕으로 한 A&HCI급 논문과 해외 학자들과의 공동 저서가 다수 있으며,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60여 편의 글을 게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