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책 읽어주기와 문학토의를 연계한 수업’의 철학적 기반과 세부적인 준비 사항, 의미 있는 실천 사례, 앞으로 나아갈 방향 등 초등학교 문학수업의 이론과 실천 방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개별 문학 텍스트가 지닌 고유한 미적 특성과 주제 의식을 반영하는 질문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텍스트 분석과 질문 구성 과정을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그러한 질문을 토대로 실행한 문학토의에서 나타나는 이 시대 아동 독자들의 반응을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들이 수업의 방향을 가늠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히 이 책은 자아와 타자가 서로를 존재 기반으로 하여 대화적 관계 속에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내는 바흐친의 대화주의를 사상적 토대로 하고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과 긴밀한 관련을 맺는 비계(scaffolding) 이론을 방법론으로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수업의 이론적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있다. 그러한 이론적 기반 위에서 읽기 전-중-후 활동 및 문학토의를 위한 언어적 비계 등 구체적인 실천 방법을 논의하고 나아가 실제 수업에서 제출된 아동의 문학반응과 그 교육적 가치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Contents
책머리에
I. 새로운 문학수업의 토대
1. ‘가능성의 탐구’로서의 문학수업
2. 탐구의 맥락과 대상
3. 문학수업의 대화주의적 토대와 대화적 주체
4. 책 읽어주기와 문학토의의 연계
더 읽어볼 이론: 독백적 수업과 대화적 수업
II. 새로운 문학수업을 위한 준비
1. 아동문학의 독자 되기
2. 책 읽어주기의 준비
3. 문학토의의 준비
더 읽어볼 이론: 비계의 개념과 특징
III. 책 읽어주기의 실천
1. 책 읽어주기를 통한 아동의 윤리적 가치 탐구
2.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서사능력
더 읽어볼 자료: 아동문학, 어떤 책을 읽을까?
IV. 문학토의의 실천
1. 아동이 주도하는 문학토의 수업의 구조화를 위한 연구 설계
2. 결과 분석
더 읽어볼 자료: 2015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영역 성취기준
V. 문학교육의 미래로 향하는 길목에서
1. 어린이책을 읽는 예비교사들
2. “학습할 수 있는 순간”을 중심으로 한 교과서 제시 형식의 변화
3. 아동 주도 문학토의의 정착을 위한 교사의 다양한 위치 설정
4. 즐거운 독자, 생애의 독자를 기르기 위해
더 읽어볼 이론: illiterate에서 aliterate으로 이동하는 독서 실태의 문제
부록1. 수업 담화의 전사 원칙과 부호화(coding)의 예시
부록2. 연구 참여 동의 안내문 양식
부록3. 문학토의 수업에 대한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