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피티는 정해진 형식이 없고 소재의 선택이 자유로워 쉽고 편안하게 시도해볼 수 있다. 커다란 벽면을 내가 그리고 싶은 것, 내가 표현하고 싶은 것들로 채워나가는 기분은 말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멋진 일이다. 낙서가 갖는 잠재된 해방감과 장난스러움에 빠져보고 싶은 분, 공공장소를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일상 속 작은 즐거움을 주고 싶은 분, 본인의 생각이나 넘치는 상상력을 커다란 벽에 자유롭게 표현하고 싶은 분들에게 이 직업을 프러포즈한다.
Contents
그라피티작가 최성욱의 프러포즈
첫인사
그라피티작가란
그라피티란 무엇인지 알려주세요
어떻게 이 직업이 생겼는지 궁금해요
그라피티작가라는 직업에 대해 소개해주세요
그라피티작가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나요
남녀비율은 어떻게 되나요
외국의 그라피티작가와 다른 점이 있을까요
이 분야에 대한 수요가 많은가요
이 직업만의 매력과 장점은 무엇인가요
이 직업의 단점에 대해 알려주세요
그라피티작가의 미래는 어떨까요
그라피티작가의 세계
그라피티작가가 일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작품에서 주로 다루는 주제가 있나요
작가의 입장에서 좋은 작품이란 어떤 것인가요
그라피티가 우리의 삶에 어떤 의미가 될 수 있을까요
그라피티작가의 일과는 어떻게 되나요
시간이 날 때는 어떤 일을 하나요
일을 잘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 있나요
그라피티작가이기 때문에 겪는 애로 사항이 있나요
일을 하면서 받는 스트레스는 어떻게 해소하나요
그라피티작가는 국내보다는 해외에서 더 좋은 대우를 받나요
그라피티작가로서 성취감을 느끼는 순간이 있나요
그라피티작가가 되는 방법
그라피티작가가 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그라피티작가가 되려면 어떤 과정이 필요한가요
그라피티작가가 되기에 유리한 전공이 있나요
학창시절에는 어떤 준비를 하면 좋을까요
그라피티작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자격이 있나요
외국에서 공부해야 하나요
그라피티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자질을 갖추어야 하나요
그라피티작가가 되면
새로운 콘텐츠를 끊임없이 개발해야 할 것 같아요
수입은 어느 정도 되나요
작업 시간을 정해놓고 일하나요
근무 여건은 어떤가요
노동 강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직업병이 있나요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은 무엇인가요
전시회도 하나요
다른 분야로 진출이 가능한가요
레오다브의 그라피티 세계
그라피티는 범죄인가요, 예술인가요
그라피티가 유희에서 예술이 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궁금해요
낙서로 취급받던 벽화가 문화 코드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것 같아요
표현할 수 있는 공간만 있다면 어디에든 그릴 수 있는 건가요
스프레이로만 그림을 그리나요
방독면 착용은 필수인가요
그라피티와 힙합은 어떤 관련이 있나요
어디에 가면 그라피티를 쉽게 볼 수 있나요
그라피티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주요 소재나 주제는 무엇인가요
떠오르는 아이디어나 메모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작품이 되나요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얻는지 궁금해요
창의성은 어떻게 훈련해야 하나요
다른 작가들과의 차별점은 무엇인가요
작품에서 특별히 강조하는 부분이나 시그니처가 있나요
나도 그라피티작가
태그네임 만들기
태그네임 그려보기
그라피티 따라해보기
그라피티작가 업무 엿보기
그라피티 작품이 만들어지는 과정
그라피티 용어사전
굿즈가 된 작품
그라피티작가 최성욱 스토리
그라피티 아카이브
Author
최성욱
1998년에 그라피티를 시작했으며 레오다브LEODAV라는 태그 네임Tag name을 사용하고 있다. 2003년부터 2012년까지 Rutin Crew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L.A.CLeodav Art Crew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첫 개인전인 [작가의 방]을 시작으로 다수의 개인전 및 특별전을 열었으며, 그라피티 스쿨이나 예술캠프, 대학 등에서 특강을 하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2014년에는 한류힙합문화대상 그라피티 아티스트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1998년에 그라피티를 시작했으며 레오다브LEODAV라는 태그 네임Tag name을 사용하고 있다. 2003년부터 2012년까지 Rutin Crew로 활동하다가 현재는 L.A.CLeodav Art Crew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첫 개인전인 [작가의 방]을 시작으로 다수의 개인전 및 특별전을 열었으며, 그라피티 스쿨이나 예술캠프, 대학 등에서 특강을 하며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2014년에는 한류힙합문화대상 그라피티 아티스트 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