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학의 개념과 특성, 전쟁의 원인과 과정,
현대와 미래 전쟁 양상의 변화, 군사전략, 국방정책, 국가 간 동맹,
군사과학기술과 무기체계, 국방조직 및 군사제도,
전시 국가동원제도와 민군관계, 국방경제에 이르기까지
군사학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주제를 담은 입문서
인류는 평화를 염원하며 지속적으로 전쟁을 예방하고 억제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바람과는 달리 전쟁은 인류 역사와 함께 줄곧 존재해왔고, 오늘날에도 도처에서 수시로 벌어지고 있다. 전쟁이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이상, 우리는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전쟁에 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쟁을 이해하는 것이 선결 요건이며, 전쟁에 대한 이해는 곧 군사학 연구의 토대이기도 하다.
Contents
서문
CHAPTER 1 군사학이란 무엇인가 | 박용현(대전대학교 군사학과장)
I. 군사학의 기원과 발전
1. 군사학의 기원 | 2. 전투술과 군사이론의 발전 | 3. 주요 국가 군사학의 발전 | 4. 한국 군사학의 발전
II. 군사학의 특성과 개념
1. 군사관련 용어와 개념의 이해 | 2. 군사학의 학문성 논란 | 3. 군사학의 특성 | 4. 군사학의 개념과 정의
III. 군사학 학술체계
1. 학술체계와 교육체계 이해 | 2. 군사학의 연구대상과 영역
CHAPTER 2 군사학 연구방법론 | 이필중(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군사학에서의 연구방법
II. 군사학의 과학적 이론 정립
1. 과학철학 | 2. 과학 | 3. 과학적 접근방법 | 4.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방법론의 차이점 | 5. 접근방법과 연구방법
III. 군사연구의 방법론
1. 기초 개념 | 2. 연구진행
IV. 군사연구방법의 종류
CHAPTER 3 전쟁의 이해 | 최북진(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전쟁의 본질
1. 전쟁의 정의 | 2. 전쟁의 속성 | 3. 전쟁의 목적과 목표, 수단
II. 전쟁의 분류
III. 전쟁의 원인
1. 수준별 측면 | 2. 경제적 원인 | 3. 문화적 원인 | 4. 종교적 원인
IV. 전쟁의 과정
1. 위기관리 | 2. 전시체제 전환 | 3. 전쟁의 수행 | 4. 전쟁의 종결
CHAPTER 4 전쟁 양상의 변화 | 김정기(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서론
II. 전쟁 양상 관련 이론
III. 전쟁의 시대적 양상 변화
1. 고대의 전쟁 | 2. 중세의 전쟁 | 3. 근세 왕조전쟁시대 | 4. 근대 국민전쟁시대 | 5. 제1차 세계대전 | 6. 제2차 세계대전 | 7. 현대전쟁
IV. 미래전 양상 전망
1. 과학기술과 미래전 | 2. 최근 전쟁 사례 분석 | 3. 미래전 이론의 발전 동향 | 4. 미래전 양상의 주요 특징
V. 한국의 미래전 양상
1. 북한군의 전략전술 | 2. 미래전 양상
VI. 결론
CHAPTER 5 군사전략 | 이종호(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전략이란 무엇인가?
1. 전략의 기원 | 2. 군사전략의 개념
II. 군사전략의 본질
1. 군사전략의 술과 과학 | 2. 군사전략의 구성요소 | 3. 군사전략의 위상 | 4. 군사전략의 유형
III. 억제전략
1. 억제의 개념 | 2. 억제전략의 정의 및 기본개념 | 3. 제재적 억제전략 | 4. 거부적 억제전략 | 5. 총합적 억제전략
IV. 방위전략
1. 방위전략의 개념 및 유형 | 2. 전략태세별 유형 | 3. 방위선별 유형 | 4. 전략수행기간에 따른 유형 | 5. 작전방식에 따른 유형
V. 전·평시 적용되는 전략
1. 접근방법에 따른 유형 | 2. 대응방법에 따른 유형 | 3. 대상기간에 따른 유형
VI. 군사전략기획체계
1. 군사전략기획 | 2. 군사전략기획과정
CHAPTER 6 국방정책 | 박효선(청주대학교 군사학과장)
I. 정책의 개념과 종류
1. 정책의 개념 | 2. 정책의 구성요소 | 3. 정책의 종류 | 4. 정책연구분야
II. 국가정책과 국방정책
1. 국가목적과 국가정책 | 2. 국가안보와 국방정책 | 3. 국방정책의 구성요소 | 4. 국방정책의 유형
III. 국방정책 결정과정 및 집행
1. 정책 결정의 정의 및 중요성 | 2. 정책 결정과정 | 3. 정책 결정 유형 | 4. 정책 집행의 개념 및 평가 | 5. 정책 평가과정 및 유형
IV. 국방기획관리
1. 국방기획 개념 | 2. 국방기획과정 | 3. 국방기획관리
V. 군비통제정책
1. 군비통제 이론 | 2. 한국군의 군비통제정책 | 3. 남북한 군비통제정책 비교
VI. 인사복지정책
1. 국방인사정책 | 2. 국방복지정책 | 3. 국방정책과 병역제도
VII. 국방동원정책
1. 국가동원 개념 | 2. 국가동원의 구성 | 3. 국방동원의 분류 | 4. 국방동원 계획 및 정책
VIII. 국방획득정책
1. 국방정책과 국방획득정책 | 2. 국방획득정책의 결정과정 | 3. 국방획득정책의 집행절차 | 4. 국방획득정책과 방위산업
CHAPTER 7 동맹 | 임채홍(원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개요
1. 동맹의 개념과 의의 | 2. 동맹 형성의 목적 | 3. 동맹의 유형
II. 동맹의 역사
1. 1815년 이전 근대 유럽의 동맹사 | 2. 19세기 유럽의 동맹 | 3. 20세기의 동맹 | 4. 탈냉전기와 21세기 동맹의 변화 양상
III. 현존 지역별 동맹
1. 유럽지역 | 2. 미주지역 | 3. 중동지중해 지역 | 4. 아시아태평양 지역 | 5. 북한, 중국, 러시아 동맹 | 6. 한미동맹
CHAPTER 8 군사과학기술과 무기체계 | 김종열(영남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군사과학기술
1. 군사과학기술 발달사 | 2. 군사과학기술과 무기의 발전
II. 무기체계
1. 무기체계의 정의 | 2. 무기체계의 분류 | 3. 현대 무기체계의 특성 | 4. 무기체계의 효과요소 | 5. 무기체계의 획득
III. 현대 무기체계의 발전과 미래전 양상
1. 무기체계 발전과 전쟁의 변화 | 2. 미래 전장환경 | 3. 미래전쟁 양상 | 4. 군사과학기술의 중요성
IV. 주요 무기체계의 운용 및 발전 추세
1. 지상무기체계 | 2. 해상무기체계 | 3. 항공무기체계 | 4. 대량살상무기 및 유도무기 | 5. 정보통신무기체계
CHAPTER 9 국방조직 및 군사제도 | 김재철(조선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국방조직
1. 국방조직의 개념 | 2. 군정과 군령 | 3. 국방조직의 특성 | 4. 국방조직의 유형 | 5. 한국의 국방조직과 한미연합 군사지휘체제 | 6. 북한의 국방조직
II. 군사제도
1. 군사제도의 개념 | 2. 군사제도의 근원 | 3. 군사제도의 기본원칙 | 4. 군사제도의 분류 | 5. 병역제도 | 6. 참모제도
CHAPTER 10 국가동원 | 권헌철(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교수)
I. 전쟁과 국가동원
1. 전쟁 양상의 변화 | 2. 국가총력전과 국가동원
II. 국가동원의 정의 및 개념
1. 국력과 전력 및 국가동원 | 2. 국가동원의 분류 | 3. 국가동원과 징발 | 4. 경제동원 | 5. 동원대상 자원의 구분
III. 주요 국가의 국가동원제도
1. 국가비상사태의 범위 | 2. 미국의 비상대비제도 | 3. 이스라엘의 비상대비제도 | 4. 스위스의 비상대비제도
IV. 한국의 국가동원제도
1. 비상대비제도 연혁 | 2. 국가동원법의 변천 및 문제점 | 3. 안보 및 비상대비기구와 계획 | 4. 충무계획 | 5. 충무사업 및 훈련
CHAPTER 11 민군관계 | 김병조(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I. 서론
II. 민군관계 연구의 영역과 쟁점
III. 민군관계 이론
1. 안보환경과 민군관계 | 2. 군의 정치개입 이론 | 3. 민주주의 사회의 문민통제 이론
IV. 민군 거버넌스
V. 결론
CHAPTER 12 국방경제 | 신용도(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교수)
I. 국방과 경제
1. 국방과 공공재 | 2. 국방경제학의 발전과정 | 3. 국방경제학 연구주제
II. 국방비와 국민경제
1. 국방재의 최적규모 결정 | 2. 국방비 지출과 국민경제
III. 국방과 방위산업
1. 방위산업의 개념 및 특성 | 2. 방산품 구매를 위한 정책대안 | 3. 방산품 구매의 특성과 계약형태
부록1 주변국의 국방비와 주요 전력 비교
부록2 우리나라의 국가목표, 국방목표, 군사전략목표
참고문헌
Author
군사학연구회
2013년 4월 국방대학교 교수들 및 군과 협약을 체결한 민간 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군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 이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결성한 컨소시엄이다. 군사학 연구와 참고교재 집필에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군사학연구학회’로 발전시켜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에 관한 정책적 연구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나갈 것이다.
2013년 4월 국방대학교 교수들 및 군과 협약을 체결한 민간 대학교 군사학과 교수들이 중심이 되어 군사학의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고 이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결성한 컨소시엄이다. 군사학 연구와 참고교재 집필에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군사학연구학회’로 발전시켜 국방정책 및 군사전략에 관한 정책적 연구로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