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근 시인의 첫 신작 시집 『반을 지운다』는 한마디로 수일한 서정시집이다. 그러나 『반을 지운다』에 실린 시편들은 여느 서정시처럼 저 세계의 물상들을 자신의 비좁은 심경과 제한된 사유 속으로 끌어들여 함부로 탈색하거나, 보통 첫 시집을 펴내는 대다수 시인들의 시가 그러하듯 한정할 수 없는 그래서 도리어 편협한 비명과 위악의 전략적인 자기 고백으로 도색되어 있지 않다. 이범근 시인의 문장들은 다만 담담하다. 그런데 그래서 오히려 그 속내를 감히 짐작하기가 두렵고 떨린다. 또한 그의 수식 없는 시적 진술들은 하늘의 그물과 같아 시인을 포함한 이 세계의 모든 삶의 이력들에 내재한 사연들을 빠짐없이 불러 모은다.
예컨대 이번 시집의 첫 시 마지막에 적힌 “아직 밥상에 없는 사람”(?우기(雨期)?)은 비단 시인이 겪었고 지금도 겪고 있을 개인사의 울적한 서정적 편린에 그치지 않고 이 구절을 읽는 누구나 자신의 생과 몸에 새겨진 상처의 기원을 떠올리게 만들며 그 현장으로 이끈다. 그곳에는 이 시집의 추천사를 쓴 이영광 시인의 말처럼 “늙은 어머니나 어린 고아나 떠난 연인”이 있으며 또한 교육 현장에서 마주한 학생들이 있는데, 그들은 시인과 “한 몸을 이”룬 채 ‘고통을 앓고 있다.’ ‘고통을 앓고 있다’는 ‘고통스럽다’와 그 차원이 전혀 다르다. ‘고통스럽다’는 어떤 상태를 가리키는 형용사다. 이에 비해 ‘고통을 앓고 있다’는 동사에 가깝다. 이 점은 『반을 지운다』가 단지 서정적 자아의 출처 없는 유사 고통을 토로한 바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고통의 주체로 정위한 자의 것임을 의미한다. 어느 정도냐 하면 이범근의 시들은 차라리 “폭삭 내려앉아 생존자 하나 없는/사고 현장이 되고 싶어”(「판타스마고리아 백화점」) 한다.
그러나 이 웅숭깊은 젊은 시인은 이미 잘 알고 있다. “제 뼈까지 다 울어 버린 살”은 바로 그렇기에 비로소 “물속을 흐르는 눈물”(「과수원 수족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반을 지운다』는 요컨대 “한 번도 울어 본 적 없는 울음이 고인 자리”(「눈동자를 간직한 유골을 본 적 없으므로」)이며, “아무도 모르는 유일한/당신”(「아무도 모르는」)들의 “혼자 우는 모임”(「혼자 우는 모임」)이다. 이범근 시인은 한국시에서 전대미문의 울음을 개시하고 있다.
Contents
시인의 말
제1부
011 우기(雨氣)
012 십일월처럼
014 혼자 우는 모임
016 아일랜드식 몽유
018 이름을 위한 종례
020 과수원 수족관
022 그을음과 성에를 위한 미사
024 Mother Tongue
025 간
026 외박
028 백색왜성
030 락토 베지테리언
031 와상
032 발골사
034 생강의 리듬
제3부
067 눈동자를 간직한 유골을 본 적 없으므로
068 환절기
070 티벳 여우의 아침
072 젖과 물
074 내 꿈에 나는 결석하였고
076 아무도 모르는
078 연구개음
079 실로암
080 게이트
081 그루밍
082 마단조 부음
084 뿔과 솜사탕
086 도깨비
088 붉은 수수
090 휴일 수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