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출하는 사람들, 떠나는 사람들, 망설이는 사람들, 돌아오는 사람들, 머무는 사람들, 서성이는 사람들, 한국 청년 세대의 글로벌 이동에 관한 인류학 보고서!
생존이 화두가 된 시대에 대한민국 청년들은 어디에 있는가? 그들은 한국과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또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가? 한국 사회는 그들을 고투에 어떻게 화답할 것인가? 젊은 인류학자들이 생생한 현장 연구를 통해 그들의 고민을 진지하게 성찰한다!
“헬조선”이라는 단어는 외마디 비명이었다. 다른 사람의 비명은 원래 듣기 거북한 법이고, 지금은 너나없이 다들 힘겨운 처지라, 누군가는 그 울음소리에 대고 화를 냈다. “지옥이라고? 어디 나가봐라, 이만한 곳도 없다”고. 『헬조선 인 앤 아웃』은 울음을 참고 대화를 시도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젊은 연구자들은 미국, 인도, 아일랜드, 동남아에서 한국 및 한국계 청년들의 고민을 들었다. 그리고 왜 이렇게 됐을까, 어떻게 해야 할까를 물었다. 우리는 그 대화를 이어야 한다. 제대로만 이어간다면 우리의 이야기는 “나라 타령”을 금세 넘어설 것이다. 이미 어디에서나 국가와 국경은 꽤나 허물어진 상태가 되었다. 우리는 모두 어쩔 수 없이 점점 더 난민이 되어갈 처지에 빠진다. 이 책의 저자들은 그 두려운 미래에 맞서 더 큰 공동체를 상상하자고 주장한다. 그 상상의 현장도 보여준다. - 장강명(소설가)
Contents
서문 청년들의 글로벌 이동성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 민낯과 희원 5
1. “헬조선 탈출”로서의 인도 장기여행 - 이민영
뚜렷한 목적 없이 한국 바깥을 장기여행하는 청년들 21
인도 리시케시의 장기체류자들 24
“헬조선 탈출”로서의 장기여행 28
“탈조선 여행”의 이동 양상 37
인도에서의 “헬조선 해독” 활동 44
“탈조선 여행” 이후의 삶 51
자유로운 영혼과 얽매인 몸 55
참고 문헌 58
2. 글로벌 난민의 삶: 미국 커뮤니티 칼리지 한국 유학생들의 표류기 - 김수정
잠재적 해고자, 대국민 통치전략 64
해외 인력 모집 대행인 “코글로시안” 69
“루저”와 “잉여”, 비국민 콤플렉스 70
“현대화 완성” 프로젝트, 반교육적 배제 74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길을 잃다 88
표류하는 유학생들 91
마치며 94
참고 문헌 95
3. “글로벌”을 살아가는 청년들: 아일랜드로의 “임시 이주”와 글로벌 이동 - 우승현
한국을 떠나는 청년들 99
선택이 아닌 필수로서 해외 경험 100
아일랜드로 떠나는 “임시 이주” 102
잠시 숨 쉴 수 있는 공간을 찾아서 105
불안정한 곳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움직임 114
“냉정하게 보면 실패했지만 후회는 없어요.” 124
“글로벌”과 “청년”을 다시 생각하기 132
참고 문헌 135
4. “대한사람 대한으로”: 피할 수 없는 영주권자 “자원” 입영 - 최희정
영주권자의 군 복무: “글로벌”과 “내셔널”의 사이에서 139
영주권자의 병역: 법적 현실 141
영주권자 등 입영희망원 출원제도 142
글로벌 애국자: 의무가 아닌 의지로 자원입대 143
세 청년의 이야기: 영주권자 한국 군으로 146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해 피할 수 없는 “자원”입대 162
“글로벌”과 “내셔널” 사이에서 165
참고 문헌 169
5. 강제 추방을 중단하라!: 미국의 한인 미등록 청년 운동과 이상적 시민상像의 함정 - 정가영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이주 “신분”의 의미 173
닫힌 이동성 179
이민자 권익 운동에서 대학 교육권 운동으로 182
한국계 미등록 이민자로 살아간다는 것 191
이상적 시민상의 함정 198
초국적 이민/이주자 연대 운동의 가능성 202
참고 문헌 208
6. 국제개발의 문법을 넘어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 조문영
국제개발, 빈곤 논의의 사라짐 혹은 과잉 213
수영의 이야기: 주민(빈민)운동의 글로벌라이제이션 218
세 청년의 이야기: “글로벌 빈곤” 패러다임의 포용성 혹은 도구성 228
“주민의 힘”, 그 불편한 성찰 238
“사회”의 빈곤과 대면하기 246
참고 문헌 251
7. “뻔뻔한” 직접행동: 나의 글로벌 기본소득 운동 이야기 - 김주온
당연한 꿈의 공간이었던 글로벌 무대 255
2010년의 대학 풍경 259
가능한 꿈의 공간으로서 글로벌 262
글로벌 기본소득 장의 비균질성 266
지역에서 싸우며 다시 만나는 글로벌 273
마치며: 나는 왜 운동을 하는가?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