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기호 예학 연구

$29.16
SKU
979118774628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9/02/25
Pages/Weight/Size 150*224*30mm
ISBN 9791187746287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이 책은 『조선후기 기호 예학』은 관혼상제와 관련한 행례의절만을 다루고 있는 기존의 예학서적과는 달리, 그 행례 의절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정립되었으며, 또한 예학사적으로 어떤 특징이 있는가라는 근본 문제를 다루면서, 18~19세기 예학의 주류를 담당해 왔던 기호 예학을 전체적으로 개괄하고, 그 주요 예설 논제들의 특징적인 면모를 밝혔다.

학단은 크게는 학파 별로 작게는 사승(師承)관계를 중심으로 구분했으며, 각 예학가들의 예설을 개괄하여 그 규모를 도표로 정리하여 알기 쉽도록 하였다. 특히 이 가운데 기호 예학가들이 중요하게 다루었던 몇 가지 논제들을 추출하고, 그 논제에서 그들이 주장한 합당한 예론(禮論)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드러내려고 했다. 또한 기호 예학가들이 예를 논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성향을 파악하여, 그들의 예설(禮說)을 중심으로 논증했다.제2장에서는 18세기 기호 예학가들을 호론계(湖論系)와 낙론계(洛論系), 기타 예학가, 제3장에서는 19세기 기호 예학가들을 호락(湖洛)학단과 신진(新進)학단, 그리고 기타 예학가들로 구분하여 그들의 사승 관계와 주요 예설을 개괄했다.

제4장에서는 기호 예설의 주요 논제 중 국가전례(國家典禮) 중심으로 왕실(王室)의 복제(服制), 국상의절(國喪儀節), 대보단(大報壇)제향, 의제개혁(衣制改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기호 예설의 주요 논제 중 사족예제(士族禮制)를 중심으로 가례(家禮)의 보정(補正), 행례규범(行禮規範)의 정세화(精細化), 예설(禮說) 변통과 전범(典範) 수립이라는 논제를 중심으로 기호 예설을 개괄 정리하였다.제6장에서는 기호 예설의 논례(論禮) 성향을 [가례(家禮)]의 절대적 존신(尊信), 선유설(先儒說)의 옹호와 절충, 화이론(華夷論)의 예제(禮制) 적용이라는 관점에서 기호 예설의 전제적인 특징을 밝혔다.
Author
정길연
경성대학교 외래교수(현),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고전강독 강사(현), 저역서로는 <국역 가례증해>(공역)와 <한자로 읽는 부산과 역사>(공저)가 있다.
경성대학교 외래교수(현), 부산교육대학교 부설 평생교육원 고전강독 강사(현), 저역서로는 <국역 가례증해>(공역)와 <한자로 읽는 부산과 역사>(공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