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중심의 기술 혁신이 급격히 일어나는 AI 시대,
빅데이터 제국의 노예가 되지 않기 위한 빛나는 통찰!
지금과 비교해보면 30여 년 전인 1990년대만 해도 ‘구석기 시대’ 같다. 지금은 너무나 당연한 인터넷도 없던 시절, 스마트폰도 없던 시절, 챗GPT도 없던 시절이니 말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지난 30년간의 새로운 기술 변화는 현기증이 날 정도로 빨랐다는 것이다. 과연 이런 폭발적인 기술 진보가 인간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면서 우리를 유토피아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게 해줄 것인가? 이런 희망적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술혁명이 가져올 수 있는 부작용을 정확히 인식해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매우 중요하고 귀하다. 이 책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중심으로 한 기술 혁신이 디스토피아를 가져다줄 다양한 가능성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며 경고음을 울려주는 매우 드문 책이기 때문이다.
이 책이 울리는 경고음은 ‘기술 봉건주의’라는 어구로 집약된다. 21세기 최첨단 기술을 논하면서 1,000년 전 중세 봉건주의에 빗댄 어구는 자못 역설적이면서도 시적이기도 하다. 이 책은 그러면서도 엄밀한 경제학적 이론들에 바탕을 두고 논증하고 있어 설득력이 탁월하다. 논증을 위해 이용하는 경제학 이론들도 존 스튜어트 밀 같은 고전파 경제학자부터 마르크스와 베블런은 물론 케인스, 하이에크, 현대 주류 경제학자들까지 포괄함으로써 좌우와 시공을 가리지 않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설득력을 더해준다. 이 책을 챗GPT로 대표되는 새로 도래한 AI 시대에 이 땅을 살아가는 근로자·기업인·학생 포함, 모든 이에게 강력히 추천한다. 아주 재미있는 책이다! 꼭 읽어야 할 책이다! _김세직(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Contents
서론
| 1장 | 캘리포니아 이데올로기의 빈곤
실리콘밸리 합의
새로운 자본주의의 다섯 가지 역설
공적 영역의 재봉건화
| 2장 | 디지털 지배
정복의 시대
알고리즘 기반 통치와 감시 자본주의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농토
사회적 통제의 자동화
| 3장 | 무형 자산의 임대료 수익자
세계화와 지적 독점화
지대 메커니즘
독점의 혼란
| 4장 | 기술 봉건주의 가설
봉건주의란 무엇인가?
기술 봉건주의의 논리
결론 · 사회화의 행운과 불행
부록 I · 생산성과 물가지수, 매우 정치적인 질문들
부록 II · 힙스터 반독점과 시카고
아마존의 역설 | 경쟁의 한계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Author
세드릭 뒤랑,주명철
프랑스의 경제학자로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제네바 대학교에서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화, 금융화, 지식재산권의 독점화 등 현대 경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고 있다. 최근에 펴낸 『기술 봉건주의: 빅데이터 제국에 포획된 현대 경제와 민주주의Techno-feodalisme: Critique de l′economie numerique』는 오늘날 점점 강고해지는 디지털 경제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적 지배를 봉건주의와 상세히 비교하며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디지털 플랫폼의 독점과 사용자 의존성 등을 다루며 현대 경제구조의 변화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이 책은 흥미로운 내용으로 가득하며,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핵심을 명징하게 풀어냈다.
프랑스의 경제학자로 현대 자본주의의 변화를 연구하고 있다. 제네바 대학교에서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세계화, 금융화, 지식재산권의 독점화 등 현대 경제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고 있다. 최근에 펴낸 『기술 봉건주의: 빅데이터 제국에 포획된 현대 경제와 민주주의Techno-feodalisme: Critique de l′economie numerique』는 오늘날 점점 강고해지는 디지털 경제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적 지배를 봉건주의와 상세히 비교하며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디지털 플랫폼의 독점과 사용자 의존성 등을 다루며 현대 경제구조의 변화를 심도 있게 탐구하는 이 책은 흥미로운 내용으로 가득하며,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핵심을 명징하게 풀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