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만나러 갑니다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바꾸는 23인의 목소리
$21.60
SKU
979118768562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25
Pages/Weight/Size 148*210*20mm
ISBN 979118768562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서울교육이 함께한 도전과 성취의 주인공들을 만나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다!”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교육, 모두의 가능성을 여는 책임교육, 소통과 공존의 민주시민교육’이라는 3가지 가치 실현을 위해 서울시 교육감 조희연이 만난 23인의 현장 인터뷰 컬레버레이션. 대학교수,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다양한 영역에서 자신의 교육적 신념과 믿음을 지켜나가는 이들의 인터뷰는 왜 ‘교육이 백년지대계’인지를 가슴 깊이 느끼게 한다.

* 미래 교육을 위한 교육감의 목소리

1. 보편적 교육복지의 확대를 넘어 맞춤형 교육복지시대로
2. 코로나와 싸우며 비대면 원격수업의 새로운 길을 개척
3. 기후 위기시대의 생태전환교육
4. 전국 최초로 다양한 ‘공간혁신’ 정책을 시도하고 관련 국가정책을 선도
5. 고졸 성공시대와 특성화고 발전
6. 우리 학생들은 ‘악기 하나, 운동 하나’를 다룰 수 있어야
7. 공교육의 책무성을 확대하여: 장애 학생, 다문화 학생, ‘학교 밖 학생’에 대한 확대
Contents
프롤로그 늦지 않게 만나러 갈 수 있어서 다행입니다

Chapter 1.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교육

코로나 시대의 교육 어벤져스 | 강방식(동북고 교사)
교원학습공동체 ‘내부자들’ | 한얼(창덕여중 교사)
모든 교과가 모여 뮤지컬을 만들다 | 임강온(동구여중 교사)
공차소서 | 전해림(난우중 교사), 김태은(학생), 남채원(학생)
교육 공간 자체가 교육 콘텐츠 | 김승회(서울대 교수)
글로벌현장학습으로 세계로 나아가다 | 구성애(호주 용접사)

Chapter 2. 모두의 가능성을 여는 책임교육

학교 가는 길 | 이은자(강서퍼스트잡지원센터 센터장)
‘정의로운 차등’이라는 안전벨트 | 김영희(대학생)
‘온마을’이 키운 날라리 | 최다솜(대학생)
‘꿈’을 찾다 | 이은지, 어머니
아이들 밥값 1만 원의 꿈 | 남인숙(동원중 교사)
상처받은 아이들의 마지막 보루 | 박주미(성모샘병원 원장·치유학교 샘 교장)

Chapter 3. 소통과 공존의 민주시민교육

이란 난민, 친구들과 자유의 길을 열다 | 오현록(아주중 교사), 김민혁(대학생)
학생의, 학생에 의한, 학생을 위한 학교 | 배성호(송중초 교사)
청소년기후소송에서 생태전환교육까지 | 김소영(성대골에너지전환운동 활동가), 방태령(대학생)
배움은 랜선을 타고 세계로, 세계로 | 박가현(중평중 교사), 신미경(배화여고 교사)
슬기로운 농촌생활, 더 슬기로운 농촌유학 | 이하정(학부모)

부록 교육감의 목소리
Author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
서울특별시교육감. 전북 정읍 출생. 전주 북중학교와 서울 중앙고를 거쳐,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일본 케이센대, 대만 국립교통대, 영국 랑카스터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 등을 역임했다.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이자 민주주의연구소장, 시민사회복지대학원장을 지냈으며 제20·21대 서울특별시교육감이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 『지구화 시대의 국가와 탈국가』 등이 있다. 민주화운동, 시민운동, 교수운동, 학술운동의 경험을 종합하여 한국정치와 사회운동의 역동적 상호관계를 다룬 『투트랙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운동정치의 병행 접근(전 2권)』을 출간한 바 있다. 교육 관련 저서로는, 『병든 사회, 아픈 교육』, 『태어난 집은 달라도 배우는 교육은 같아야 한다』, 『일등주의교육 넘어』, 『교육감의 페이스북: 특별하지 않은 꽃은 없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