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문화를 담는다.
문화를 남다르게 담아낸 국내외 서른 곳의 이야기
재미없는 도시, 할 게 없는 도시는 어떻게 매력적인 도시가 될 수 있을까? 세계의 이름난 도시들은 어떻게 수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을까? 도시의 경쟁력은 언제 어디에서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 이 책은 도시문화 칼럼니스트인 저자가 다양한 국내외 도시들을 찾아다니며 쓴 생생한 기행문이다. 저자는 도시문화 칼럼니스트 특유의 날카로운 시선과 함께 도시재생·문화기획·장소마케팅 분야에 관련이 없는 이들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30곳의 답사기와 더불어 관련 지식을 한 장씩 곁들이며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특히 역사적·지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도시의 특성에서 탈피하기 위해 국내 도시는 비서울 수도권, DMZ 접경 지역, 서울, 중부지역, 남부지역으로 분류하여 소개했다. 그래서 이 책을 보면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들을 기분 좋게 여행 다녀온 느낌이 든다. 또한 국내 사례만으로 모자랄 수 있는 내용에 해외 답사 사례를 추가해 한국 도시 고유의 문화에서 다른 국가의 문화까지 폭넓게 다뤘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PART 1. 다양한 이슈의 수도권 도시들
광명 광명동굴과 이케아의 이질적 동거
하남 스타필드가 던진 명과 암
수원 세계문화유산과 더불어 살아가기
안산 잊지 않기 위한 기억, 生을 위한 공간
평택 그들만의 요새, 미군기지를 품은 도시전략
부천 문화가 일상으로 스민 창의도시
Author’s Diary 새로운 곳은 남보다 먼저, 남보다 빨리
PART 2. 가깝지만 멀었던 DMZ 접경 지역
철원 민통선이 집어삼킨 삶의 역사
파주 안보 최전방의 도시, 평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을까
양구 박수근에서 시작해 문화의 장소로
교동도 대룡시장 유명세로 핫한 민간인 통제구역
연천 전쟁으로 사라진 포구, 역사공원으로 살아나다
백령도 최북단의 섬, 신공항으로 하얀 깃털(白翎) 펼칠까
Author’s Diary 이슈를 잡기 위한 레이더망은 항상 ON
PART 3. 서울! 서울! 서울!
서울식물원 우리에게도 식물이 문화가 될 수 있을까
을지로 밀레니얼 힙스터들이 모이는 곳
노들섬 한강대교 위에 갇힌 섬, 다시 시민의 공간으로
이태원 수많은 박새로이들이 사랑에 빠진 ‘진짜’의 클라쓰
Author’s Diary 내 이름으로 나가는 내 글의 무게
PART 4.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한 중부지역
평창 한국의 두 번째 올림픽 개최지
영주 도시 주도 공공건축물 계획의 좋은 예
대전 노잼 도시에서 트렌드의 중심으로
Author’s Diary “글 좀 써 주실 수 있을까요?”
PART 5. 풍부한 역사자원, 그 이상을 향해가는 남부지역
광주 민주화와 문화, 두 가지 키워드를 모두 갖고 싶은
순천 한국 1호 국가정원, 생태와 개발을 품다
부산 일본 문화 잔재와 피난기 서민문화의 재발견
제주 4.3 사건 70주년,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를 치유하는 법
통영 49년만의 귀향, 윤이상 반기는 푸른 물결
목포 문화재 가득한 구도심, 관광 붐 식지 않으려면
Author’s Diary 기승전 “유튜브 해야겠다”
PART 6. 새로운 자극을 주는 해외도시들
아부다비 루브르 분관에 담긴 문화적 고민
베를린 아픔의 상징이 성찰과 치유의 장으로
싱가포르 김정은이 찾았던 ‘가든스 바이 더 베이’에 담긴 도시 정신
린츠 미디어아트 메카로 거듭난 히틀러의 문화도시
잘츠부르크 코로나 위기 속 음악 축제를 취소할 수 없는 이유
Author
김지나
12살 때 부모님을 따라 베트남에 다녀온 것을 계기로 다양한 나라와 도시의 문화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문화를 공부하기 위해 주변 반대를 무릅쓰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 진학했으며, 졸업 후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하나투어, 경기연구원, 아트센터나비 등 문화를 다루는 일이라면 분야와 직급을 가리지 않고 도전해 오고 있다. 중간중간 학교로 돌아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지역문화가 활용되는 구조를 분석하는 내용으로 조경학석사와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2살 때 부모님을 따라 베트남에 다녀온 것을 계기로 다양한 나라와 도시의 문화에 심취하기 시작했다. 문화를 공부하기 위해 주변 반대를 무릅쓰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 진학했으며, 졸업 후에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하나투어, 경기연구원, 아트센터나비 등 문화를 다루는 일이라면 분야와 직급을 가리지 않고 도전해 오고 있다. 중간중간 학교로 돌아와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지역문화가 활용되는 구조를 분석하는 내용으로 조경학석사와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