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섬 밥상

해녀 밥상에서 공동체 밥상까지, 섬 음식 인문학
$21.85
SKU
979118743824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12/9 - Fri 12/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12/4 - Fri 12/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25
Pages/Weight/Size 153*210*20mm
ISBN 9791187438243
Categories 인문 > 인문/교양
Description
한국의 섬 음식과 섬 밥상, 그에 얽힌 사람과 이야기를 정리했다. 섬에서 나고 자란 저자 강제윤이 고향 섬을 떠난 뒤에도 20여 년째 섬을 돌아다니며 섬의 역사와 문화, 섬 음식을 기록한 결과이다. 그 과정에서 저자는 섬사람들의 인심 덕에 장고도 공동체 밥상, 하화도 마을 회관 밥상, 남해안 별신굿 제사상, 민박집 밥상 등 섬의 토속 음식 문화를 기록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 책을 통해 섬사람들이 그려낸 소중한 삶의 무늬이자, 우리 음식의 ‘오래된 미래’인 섬 음식과 섬 밥상의 의미를 되새겨보길 바란다.
Contents
프롤로그_ 섬에서 ‘맛난’ 밥상

1부. 섬 밥상

왜 섬의 대표 음식이 국수일까?_ 백령도|고래에게 배운 미역 먹는 법_ 독거도|해삼 하나로 보물섬을 만든 사람들_ 장고도|해적이 살던 보물섬의 보물 밥상_ 소리도|새신랑도 환장하게 만드는 맛_ 도초도|홍어의 성지 대청·소청 바다_ 대청도|숫양파의 비애_ 암태도|한목숨 죽어야 한목숨 살아지는 생애의 한낮_ 병풍도|고등어회에 낮술 안 마시면 반칙_ 욕지도|막배가 끊긴 뱃머리 좌판 술상_ 청산도|장군의 섬에서 맛보는 최고의 약선 음식_ 한산도|마지막 남은 남해안 별신굿 밥상_ 통영 죽도|배를 타고 가는 사막, 섬 속의 사막_ 우이도 돈목|조선시대 세계 여행자, 문순득이 살던 마을_ 우이도 진리|외딴섬에 숨어 사는 사내처럼_ 만재도|보살의 밥상_ 하태도|‘할아버지 한 개 없는’ 할머니들의 노인당 밥상_ 통영 지도|포로수용소가 있던 섬의 저녁 밥상_ 추봉도|고급 시푸드의 향연, 섬 제사상_ 제주도와 울릉도|“우리 섬은 집에서 밥해 먹는 사람이 없어요”_ 여수 하화도|케이크보다 달고 부드러운 퍼플섬의 고구마막걸리_ 반월도|반전의 낙지 요리_ 하의도|중국의 닭 우는 소리 들리는 섬의 맛_ 가거도|그리움이 깊으면 외로움도 깊어라_ 죽변

2부. 섬 음식

포트 해밀턴에서 맛보는 홍합 요리_ 토종홍합|해녀들도 다금바리보다 좋다는 극강의 맛_ 성게식혜|“흑산도 사람들은 삭힌 홍어 잘 안 먹어”_ 홍어|돌김은 왜 돌김이고 김은 왜 김일까?_ 김국|손으로 꽁치를 잡아서 만들어 먹는 물회_ 손꽁치|섬사람들의 백병통치약_ 낙지호롱|서남해 섬사람들의 소울푸드_ 장어탕과 장어간국|까마귀 잡아먹는 도적, 오징어_ 오징어내장탕|슬기로운 민어 탐구 생활_ 민어|첫 사람의 속살만큼이나 투명한 다시마_ 다시마|보리 꽃 필 때 먹는 으뜸 물고기_ 보리숭어|선주집 비장의 해장국_ 굴통국|굴 요리의 최고봉_ 물굴젓|경계에 피는 맛_ 피굴|간을 빼앗긴 토끼의 환생_ 군소무침|선창가 구멍가게 낮술_ 아구찜|더위 먹은 몸의 화기를 빼는 요리_ 청각냉국|보리굴비에는 보리가 없다_ 참굴비|따개비 요리에는 따개비가 없다_ 따개비|해물 육수로 만든 400년 전통의 통영 비빔밥_ 너물밥|바람과 햇빛으로 조리한 마법의 요리_ 과메기|“젯상에 굵은 고기 쓰는 건 자손들 크게 되게 해달라는 뜻이지”_ 상어|거대한 무의 맛_ 개복치|미각의 제국에서 맛보는 특별한 식해_ 밥식해|목숨을 걸고도 먹었던 그 치명적인 맛_ 복어
Author
강제윤
시인, 섬 활동가. 섬을 기록하며 섬 주민의 기본권 신장을 위해 일하고 있다. ‘사단법인 섬연구소’를 설립한 뒤 지심도에서는 거제시가 관광 개발을 이유로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려는 시도를 막고 영구 거주 권리를 보장받게 했다. 관매도에서는 주민들이 기부채납한 폐교를 진도군이 대명콘도에 매각하려던 시도를 저지하고 주민 자산으로 지켰다. 백령도에서는 잘못된 간척으로 썩어가는 천연기념물 사곶해변 지키기 운동을 해 문화재청의 역학 조사를 이끌었다. 여서도에서는 300년 된 문화재급 돌담을 허물고 도로를 내려던 여서도 주민을 설득해 돌담을 지켰다.

울릉도에서는 마이삭, 하이선 등 연이은 태풍으로 피해가 극심한 데도 외면받던 섬이 특별재난구역으로 지정되도록 했으며, 몇 년째 표류 중이던 전천후 여객선의 조기 취항을 도왔다. 또한 여객선이 끊길 위기에 처한 통영 수우도에 여객선이 다닐 수 있게 했고, 여객선이 없는 여수 추도에 여객선이 다니도록 도왔다.

최근에는 전국 섬에 흩어져 있는 걷기 길을 하나로 모으는 ‘백섬백길’ 프로젝트를 총괄해 관련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든 국민이 섬 길에 대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정부의 섬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제안해 국립 ‘한국섬진흥원’ 설립을 이끌었고, 설립위원과 초대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2012년 인문학습원 ‘섬학교’를 세워 10년 동안 매월 1회씩 총 100회의 섬 답사를 진행해 섬 여행의 새 지평을 열었다. 현재는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섬 택리지』, 『당신에게, 섬』, 『섬을 걷다』, 『바다의 황금시대, 파시』, 『입에 좋은 거 말고 몸에 좋은 거 먹어라』 등이 있다. 2017년 「섬 토속음식 레시피 채록 보고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백 섬백길, 강제윤 사진전], [당신에게 섬], [섬나라 한국], [섬의 무늬] 외 다수의 사진전을 개최했다.

‘페이스북’ 개인 계정 https://www.facebook.com/jeyoon.kang.7
‘백섬백길’ 홈페이지 https://100seom.com/
시인, 섬 활동가. 섬을 기록하며 섬 주민의 기본권 신장을 위해 일하고 있다. ‘사단법인 섬연구소’를 설립한 뒤 지심도에서는 거제시가 관광 개발을 이유로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려는 시도를 막고 영구 거주 권리를 보장받게 했다. 관매도에서는 주민들이 기부채납한 폐교를 진도군이 대명콘도에 매각하려던 시도를 저지하고 주민 자산으로 지켰다. 백령도에서는 잘못된 간척으로 썩어가는 천연기념물 사곶해변 지키기 운동을 해 문화재청의 역학 조사를 이끌었다. 여서도에서는 300년 된 문화재급 돌담을 허물고 도로를 내려던 여서도 주민을 설득해 돌담을 지켰다.

울릉도에서는 마이삭, 하이선 등 연이은 태풍으로 피해가 극심한 데도 외면받던 섬이 특별재난구역으로 지정되도록 했으며, 몇 년째 표류 중이던 전천후 여객선의 조기 취항을 도왔다. 또한 여객선이 끊길 위기에 처한 통영 수우도에 여객선이 다닐 수 있게 했고, 여객선이 없는 여수 추도에 여객선이 다니도록 도왔다.

최근에는 전국 섬에 흩어져 있는 걷기 길을 하나로 모으는 ‘백섬백길’ 프로젝트를 총괄해 관련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모든 국민이 섬 길에 대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정부의 섬 정책이 일관성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 제안해 국립 ‘한국섬진흥원’ 설립을 이끌었고, 설립위원과 초대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2012년 인문학습원 ‘섬학교’를 세워 10년 동안 매월 1회씩 총 100회의 섬 답사를 진행해 섬 여행의 새 지평을 열었다. 현재는 ‘사단법인 섬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섬 택리지』, 『당신에게, 섬』, 『섬을 걷다』, 『바다의 황금시대, 파시』, 『입에 좋은 거 말고 몸에 좋은 거 먹어라』 등이 있다. 2017년 「섬 토속음식 레시피 채록 보고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백 섬백길, 강제윤 사진전], [당신에게 섬], [섬나라 한국], [섬의 무늬] 외 다수의 사진전을 개최했다.

‘페이스북’ 개인 계정 https://www.facebook.com/jeyoon.kang.7
‘백섬백길’ 홈페이지 https://100seo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