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소아과학회 발간 어린이 정신약리학 공식 지침서
우리나라 어린이 정신 진료를 개선하고, 부모와 가족에게 희망을 주고자
대한아동병원협회와 서울의학서적이 기획한 어린이 발달 및 정신장애 지침서 제2권!
흔한 정신과적 문제를 겪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약물을 처방하고 모니터링하는 일차진료의를 위한 친근하고 권위 있는 지침서. 정신과적 문제를 겪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약물을 처방할 때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인 개념틀은 무엇일까? 어린이 청소년 ADHD, 불안장애, 우울장애는 어떻게 진단하고, 언제 상담하며, 언제 약물을 써야 할까? 어린이 청소년 향정신성 의약품의 제1군, 제2군, 제3군이란 무엇이며, 진료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할까? 치료 조절은 어떻게 하며, 치료가 순조롭지 않을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약물을 올리거나 바꿔야 할 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일차진료의를 위한 교육 자료와 유용한 정보는 어디서, 어떻게 얻을까? 어린이와 청소년 당사자와 부모에게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심리치료의 품질은 어떻게 결정하며, 약물의 유효성 자료는 어디서 얻을까? 이 책은 정신과적 문제를 겪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일차진료의에게 빠르고 명쾌한 지침을 제공한다.
Contents
추천사
이 책을 만든 사람들
소개
- 대상 독자층
- 지금 이 책을 내는 이유
- 이 책의 장점
제1부 처방 전
제1장 시작하며
정신약리학의 기본 원칙
추가적 기본 원칙
구성과 개요
제3판에서 변경 또는 갱신된 사항
제2장 향정신성 의약품 처방의 개념틀
개념틀이 필요한 이유
ADHD, 불안장애, 우울장애에 사용하는 제1군 약물
제2군 약물
제3군 약물
제3장 진단 내리기
개요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 불안장애, 우울장애 등 흔한 장애의 진단
ADHD, 불안장애, 우울에 흔히 동반되는 질환의 진단
다른 정신장애 인지하기
약물치료 적응증 결정하기
의뢰가 필요한 시점을 알기
제4장 기초 작업
개념화
피드백
비약물중재
충분한 설명 후 동의
특수한 동의 문제
승인 외 처방
미 식품의약국(FDA) 박스형 경고
정신과적 및 사회적 응급 시 중증도 기반 환자 분류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방을 위한 주요 고려 사항
제6장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에 사용하는 제1군 약물
개요
제1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SSRI)
제1군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억제제 - 둘록세틴
요약
제3부 제2군 및 제3군 약물
제7장 제2군 약물 - FDA 승인 항정신병제와 기분안정제
이론적 배경
항정신병제
기분안정제 - 리튬
요약
제8장 제3군 약물
기타 항우울제
기타 항정신병제
기타 기분안정제
항불안제
수면 유도제
향후 전망
제4부 처방 후 치료 조절
제9장 치료 조절
치료 재평가
치료 약물 재평가
제1군 약물 중단하기
제1군 약물의 전환
제2군 항정신병제나 리튬 사용을 고려하는 경우
청소년에서 FDA 승인을 받지 않은 제3군 약물 사용을 고려하는 경우
약물 농도 검사 또는 유전자 검사를 고려하는 경우
유전형 분석을 하면 약물 반응을 개선할 수 있을까?
자문 또는 이차 소견을 구해야 할 때
제10장 치료가 순조롭지 않을 때
진단 재평가
심리사회적 발현이 복잡하게 얽힘
전문가의 자문이나 의뢰
부록 A 평가도구와 증상 모니터링 도구
어린이용 증상 점검표
밴더빌트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 평가척도
어린이 불안 관련 정서장애 선별도구(SCARED)
청소년 버전 환자건강설문(PHQ-9)
기타 평가도구 및 모니터링 도구
부록 B 임상의를 위한 정보 출처
임상 진료지침
진료 준비
도구 모음
AAP 정신건강 리더십 워크그룹 알고리듬
신경과학 기반 명명법(NbN2)
미 식품의약국(US FDA) 포장 내 설명서 환자 상담 섹션
전미 소아정신의학 접근 프로그램 네트워크(NNCPAP)
공통 요소 도구(HEL2P3)
부록 C 임상의를 위한 교육 자료
미국 소아과학회
REACH 연구소
부록 D 심리치료의 품질 등급과 약물의 유효성 자료
PracticeWise 〈근거 중심 어린이 및 청소년 심리사회적 중재〉
제1군 약물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연구(표 D-1)
부록 E 보호자를 위한 정보 출처
미국 소아과학회 관련 출처
Facts for Families
전미 어린이 정신건강 가족연합(National Federation of Families for Children’s Mental Health)
부록 F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 특정 질환 진단기준 전문(全文)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범불안장애
주요우울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분리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
Author
마크 리들,대한아동병원협회
존스홉킨스 대학 정신의학과 및 소아과학 교수로 어린이 정신의학 중재연구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어린이 정신약리학, 특히 약물 부작용에 중점을 두고 연구, 강의, 임상 진료를 수행한다. 그간 200편이 넘는 학술 논문과 종설을 발표하고, 학술서 집필과 편집에 참여했다. 미 국립어린이보건복지연구원에서 후원하는 ‘어린이를 위한 최상의 의약품법(Best Pharmaceuticals for Children Act)’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와 REACH 연구소 일차 어린이 정신약리학 운영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미 국립정신보건연구원 후원 ‘항정신성 의약품 투여 후 체중이 증가한 어린이를 위한 다기관 중재연구의 시험책임자(PI)이자, ADHD 약물 치료를 받은 학령 전기 어린이의 최근 6년 추적 연구의 시험기관 연구자이다.
리들 박사 연구팀은 최근 미국소아과학회 ‘청소년의학 최신 지견 리뷰 (Adolescent Medicine: State of the Art Reviews)’에 일차진료 어린이 정신약리학에 대한 접근법을 발표했으며, 미국소아과학회 어린이 진료 교과서(AAP Textbook of Pediatric Care) 제2판에 이 접근법의 확장 버전을 수록했다. 리들 박사는 1993~2009년 존스홉킨스 대학 어린이 청소년 정신의학과장과 미 국립정신보건연구원 ‘어린이와 가족이 겪는 질병에 대한 중재 리뷰 위원회(Interventions Review Committee for Disorders Involvi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초대 위원장, ‘어린이를 위한 최상의 의약품법’ 및 ‘어린이 연구형평성법(Pediatric Research Equity Act)’에 따라 수행된 어린이 연구의 의약품 리뷰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존스홉킨스 대학 정신의학과 및 소아과학 교수로 어린이 정신의학 중재연구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어린이 정신약리학, 특히 약물 부작용에 중점을 두고 연구, 강의, 임상 진료를 수행한다. 그간 200편이 넘는 학술 논문과 종설을 발표하고, 학술서 집필과 편집에 참여했다. 미 국립어린이보건복지연구원에서 후원하는 ‘어린이를 위한 최상의 의약품법(Best Pharmaceuticals for Children Act)’ 데이터 모니터링 위원회와 REACH 연구소 일차 어린이 정신약리학 운영 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 미 국립정신보건연구원 후원 ‘항정신성 의약품 투여 후 체중이 증가한 어린이를 위한 다기관 중재연구의 시험책임자(PI)이자, ADHD 약물 치료를 받은 학령 전기 어린이의 최근 6년 추적 연구의 시험기관 연구자이다.
리들 박사 연구팀은 최근 미국소아과학회 ‘청소년의학 최신 지견 리뷰 (Adolescent Medicine: State of the Art Reviews)’에 일차진료 어린이 정신약리학에 대한 접근법을 발표했으며, 미국소아과학회 어린이 진료 교과서(AAP Textbook of Pediatric Care) 제2판에 이 접근법의 확장 버전을 수록했다. 리들 박사는 1993~2009년 존스홉킨스 대학 어린이 청소년 정신의학과장과 미 국립정신보건연구원 ‘어린이와 가족이 겪는 질병에 대한 중재 리뷰 위원회(Interventions Review Committee for Disorders Involving Children and Their Families) 초대 위원장, ‘어린이를 위한 최상의 의약품법’ 및 ‘어린이 연구형평성법(Pediatric Research Equity Act)’에 따라 수행된 어린이 연구의 의약품 리뷰 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