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t of Print

우산도는 왜 독도인가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사가 들려주는 우리 땅 독도 이야기
$20.52
SKU
9791187312130

 

본 상품은 품절 / 절판 등의 이유로 유통이 중단되어 주문이 불가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25 - Thu 05/1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2 - Thu 04/24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1/3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8731213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고지도 전문 연구자가 말하는 ‘우산도=독도’, 그 실증적 이야기

우리나라 고지도 속 우산도는 독도다. 하지만 우산도가 울릉도 서쪽에 있거나 울릉도 동쪽 가까이에 실제보다 크게 그려져 있어, 독도임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일본은 우리 자료의 이런 약점을 공격하며 ‘우산도=독도’를 부정하는 억지 주장을 편다. 이에 고지도를 포함한 우산도 관련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우산도가 왜 독도인지를 명확히 밝힌다. 그것은, 측량 기술이 발달하지 않은 시대에 지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하나의 섬이 어떻게 국가의 공식 인정을 받고 국가 표준 지리지에 수록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독도인 우산도의 정보가 확보되고 그 지식이 전파되는 과정까지 살핀다. 우리나라 지리 역사에서 우산도와 관련된 중요한 순간을 여덟 장면으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설명해, 누구나 일본에 논리적으로 대항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목록과 찾아보기도 상세하다. 소수출판사의 ‘지락재(至樂齋)’ 두 번째 도서이며,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9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사업 선정작이다.
Contents
글머리에: 명백한 사실의 증명

1장 독도가 우산도로 기록되다

‘쉽지 않은’ 주제, 우산도
『세종실록』 지리지, 우산도가 독도임을 증명하는 가장 중요한 역사적 근거
--1년 6개월 동안 울릉도에서는 독도가 며칠 보였을까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참고 자료로만 다뤄야
독도, 기록되기 어려운 섬
동해 바다 가운데에 무릉(도) 이외의 섬이 상정되다
우산(도)과 무릉(도), 두 섬이 기록되다
--우산도는 울릉도의 다른 이름인가
우산(도)·무릉(도) 두 섬의 이름이 계속 기록되다
전국 지리지 『신찬팔도지리지』를 편찬하다
김인우가 무릉이 아니라 무릉등처의 안무사로 파견된 이유
무릉등처의 안무사 김인우의 조사 보고 내용
동해에 새로운 섬, 요도(蓼島)가 갑자기 등장하다
요도를 또다시 찾아보라 명령하다
결국 찾지 못한 섬, 요도
요도는 기록되지 않았고, 우산도는 기록되었다

2장 우산도가 지도에 그려지다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없는 우산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어떻게 제작됐을까
『고려사』 지리지의 우산(도) 기록
지리지 이외의 『고려사』에 나타난 우산·무릉·우릉·울릉 기록
1402년 이전 『태조실록』의 기록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에 울릉도 한 섬만 그려진 이유
1463년 정척과 양성지의 지도 제작
--근대 이전에 지도를 제작한 두 가지 방법
정척과 양성지의 「동국지도」 계통 속 우산도는 독도인가
우산도는 왜 울릉도 서쪽에 그려졌을까

3장 삼봉도, 그 치열한 조사의 끝과 역사적 의의

삼봉도가 새로 등장하다
중앙정부가 삼봉도의 직접 조사에 나섰으나 실패하다
삼봉도의 재조사 시도가 주춤하다
삼봉도가 다시 등장하다
삼봉도 조사에 대한 논의가 다시 일어나다
중앙정부, 직접 조사를 시작하다가 포기하다
삼봉도 사건과 우산도 기록의 이해

4장 『신증동국여지승람』, 우산도에 대한 국가 표준 정보원

새로운 전국 지리지 『팔도지리지』가 만들어지다
『팔도지리지』의 내용이 『동국여지승람』에 계승되다
전국 지리지의 편찬이 『신증동국여지승람』으로 완성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은 국가의 표준 지리지였다
우산도는 어떻게 기록돼 있는가
기록되지 않은 요도와 삼봉도, 실재하지 않는 섬
우산도, 실재하는 섬 독도
“일설에 우산·울릉은 본래 한 섬이라 한다.” 편찬자들의 투철한 역사 서술
--술이부작(述而不作): 동아시아 역사 서술의 전통
지도에 그려진 우산도
「동람도」식 소형 지도책이 유행하다
1500~1700년대 초반, 그 밖의 지도에 그려진 우산도와 울릉도
--1614년에 『여지승람』은 울릉도가 우리 땅임을 증명하는 표준 정보원이었다

5장 안용복, 우산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다

우산도가 울릉도 동쪽에 그려지다
1693년 안용복과 박어둔, 일본에 강제로 끌려가다
일본인들은 왜 안용복과 박어둔을 강제로 끌고 갔을까
조선의 느슨한 대응과 쓰시마의 ‘울릉도’ 삭제 요청
『여지승람』, 울릉도가 우리나라 땅임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다
1696년 안용복, 일본에 자발적으로 건너가다
일본 측 기록 「원록구병자년 조선주착안 일권지각서」
안용복의 ‘송도=자산도’ 주장은 타당한가
자산도가 우산도로 바뀌다
안용복이 일본에 자발적으로 갔다 온 이유
--안용복, 수모를 당하다
--부정할 수 없는 안용복의 자취

6장 소위우산도(所謂于山島)는 어떤 섬인가

그림식 울릉도 지도 속 소위우산도
소위우산도가 그려진, 전국 그림식 지도책(1720)의 울릉도 지도
울릉도 남쪽에 그려진 다섯 개의 부속 섬
박석창의 「울릉도도형」에 그려진 울릉도 남쪽 다섯 개의 부속 섬
울릉도 남쪽에 다섯 개의 부속 섬이 그려진 이유
박석창의 「울릉도도형」에 담긴 딜레마
1694년 장한상의 울릉도 수토
「울릉도사적」과 박세당의 「울릉도」
장한상의 보고 내용과 소위우산도
--개항기 이전의 조선시대, 울릉도에서 독도를 관측해 기록으로 남은 사람은?
전국 그림식 지도책(1720) 울릉도 지도의 제작 경위
소위우산도와 우산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해동지도』의 울릉도 지도
1794년 울릉도수토관 한창국의 보고 내용
우산도가 그려지지 않은 「울릉도도형」

7장 정상기, 우산도를 울릉도 동쪽에 그리다

「동국대지도」의 울릉도 동쪽에 그려진 우산도
정상기는 어떤 사람인가
정상기의 지도 설명문과 지도의 특징
국가가 필사해 이용할 정도로 유행하다
정상기는 어떤 자료를 기초로 지도를 그렸을까
울릉도 본섬을 그릴 때 참고한 자료
울릉도 본섬의 부속 섬을 그릴 때 참고한 자료
우산도가 울릉도 동쪽에 있다고 기록한 자료
묘지명에 드러난 이익과 정상기의 인간관계
정상기는 이익의 안용복 사건 기록을 보고 지도를 제작했을까
정상기의 지도 속 우산도는 독도다
정상기의 지도 계통 속 우산도의 다양성

8장 신경준, 조선 후기 우산도에 대한 국가 표준 정보를 확립하다

정상기의 지도는 국가의 견해를 대표하지 않는다
정상기의 지도가 수정 보완되다
신경준, 영조의 명을 받아 지도를 제작하다
신경준의 새로운 지도
신경준의 고을 지도책 속 울릉도와 우산도
신경준은 어떤 사람인가
신경준은 어떤 자료를 기초로 지도를 제작했나
울릉도 본섬을 그릴 때 참고한 자료
울릉도 본섬의 부속 섬을 그릴 때 참고한 자료
국가의 견해를 대표하는 『동국문헌비고』 「여지고」 속 우산도
한국은 예로부터 독도를 인식하고 있었다
신경준은 『여지지』를 어떻게 인용했나
국가의 견해를 대표하는 신경준의 지도 속 우산도는 독도다
신경준의 지도책이 이용하기 편리하게 개선되다
『해동여지도』 속 우산(도)도 독도다
김정호의 『청구도』 속 우산도도 독도다
김정호와 우산도
『여재촬요』와 「대한전도」 속의 우산(도)도 독도다
한국의 문헌과 고지도에 보이는 우산도는 독도다

그림 목록
참고 자료
찾아보기
Author
이기봉
1967년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서 태어나 수원 수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2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그 후 현재까지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지리학교실』,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평민 김정호의 꿈』, 『조선의 지도 천재들』, 『근대를 들어올린 거인 김정호』, 『땅과 사람을 담은 우리 옛 지도』, 『슬픈 우리 땅이름』, 『천년의 길』 등이 있다.
1967년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서 태어나 수원 수성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2월부터 2009년 3월까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책임연구원으로 일했으며, 그 후 현재까지 국립중앙도서관 학예연구사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지리학교실』, 『조선의 도시, 권위와 상징의 공간』, 『평민 김정호의 꿈』, 『조선의 지도 천재들』, 『근대를 들어올린 거인 김정호』, 『땅과 사람을 담은 우리 옛 지도』, 『슬픈 우리 땅이름』, 『천년의 길』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