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자원을 다루는 공적 섹터 및 사적 섹터에 대해, 제도와 함께 경영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네트워크 사회가 구축되고, 네트워크 그 자체가 정보를 축적하고, 필요에 따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식하면서, 실제로 이 분야는 정보 시장과의 관계에서 구축된 도서관 제도 및 도서관 경영이 중심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그것을 바탕으로 장들을 구성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정보 자원을 둘러싼 이념과 제도에 대해, 정보 자원의 형성, 정보 시장의 방식, 지식 경영(knowledge management), 유통 센터, 정부의 역할과 같은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제도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법률로서, 저작권법을 중심으로 하면서 개인정보보호법, 공문서관리법, 정보공개법까지도 대상으로 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공적 기관을 중심으로 한 정보 자원 경영ㆍ관리의 상황에 대해, NPM(New Public Management)의 관점을 중시하면서 인적 자원을 포함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종래에는 개별적으로 논의되는 경우가 많았던 국립도서관,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에 대해, 정보 자원 경영이라는 관점에서 동일한 장에서 각각 검토하고자 한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 문헌정보학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온 공적 섹터에 속하는 도서관 이외의 관련 영역으로서, 전문도서관, 공문서관과 MLA(박물관, 도서관, 문서관) 제휴에 대해서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래에는 인쇄 미디어만을 다루어온 도서관에 대해 전환을 압박하는 전자책의 상황에 대해 다루면서, 도서관이 다루어야 하는 ?정보 자원?은 무엇인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Contents
제1장 정보·지식 자원 제도의 구조
1.1. 정보·지식 자원과 정보 시장
1.2. 정보·지식 자원의 관리 / 24
1.3. 지식 자원 관리의 방식
1.4. 정부와 지식 정보 기반
1.5. 도서관의 역할과 제도적 구조
제2장 정보 자원 관리의 법적 관계
2.1. 들어가며
2.2. 정보 자원 관리의 법적 관계의 개관
2.3. 저작권 법제와의 관계
2.4. 개인 정보 보호 법제와의 관계
2.5. 공문서 관리법·정보 공개법과의 관계
제3장 정보 자원 경영의 기초
3.1. 도서관과 경영
3.2. 도서관의 계획
3.3. NPM과 도서관
3.4. 인적 자원 관리
3.5. 도서관 평가
제4장 정보 자원 경영 각론 Ⅰ
4.1. 국립도서관
4.2. 자치 단체 도서관
4.3. 대학도서관
4.4. 학교의 정보 자원 경영
제5장 정보 자원 경영 각론 Ⅱ
5.1. 도서관의 제상: 전문도서관과 시설도서관
5.2. 공문서관
5.3. MLA 제휴
5.4. 전자책과 도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