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독서량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수준이다. 저자는 그 근본적인 이유가 ‘긍정적인 독서 경험’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학교에서 독서의 즐거움을 경험하지 못한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 책과 친해지기는 어렵다. 이 책은 이른바 ‘책맹’이 늘어 가는 현실에서 학교와 교사가 어떻게 해야 학생들이 능동적인 독자로 성장하도록 도울 수 있을지를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나온 독서 지도서들은 대체로 외국의 이론이나 방법을 번역해서 소개하거나 교실 수업 사례를 소개하는 데 그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이 책은 최신의 독서 이론과 이를 교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와 방안을 함께 제공한다. 핵심 이론이나 방법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친절히 안내하기에 미래 사회에 걸맞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독서 교육을 고민하는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1장 독서의 개념과 독자 반응 이론
문제는 독자다
로젠블랫의 독자 반응 이론
러멜하트의 상호작용 모형
김소월의 「진달래꽃」 읽는 법
2장 스스로 읽기를 위한 교실 환경
스스로 읽지 못하는 아이들
스스로 읽기를 위한 교실 환경
스스로 읽기 능력을 기르는 독서 워크숍
수업 전 10분 책 읽기
3장 학생에게 맞는 책 선택하기
교사는 어떤 책을 선택하는가?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텍스트의 복잡도
자신에게 맞는 책 선택하기
4장 독서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
교사는 전달자인가?
독서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점진적 책임 이양 수업
이육사의 「절정」 다시 읽기
5장 독해 과정 지원하기
독해력 지도의 공백
읽기 활동 지원하기
‘예측하며 읽기’ 지도하기
6장 다른 독자들과 토론하기
왜 다른 독자들과 토론해야 하는가?
협력적 대화를 위한 규칙 만들기
독서토론의 다양한 방식들
배심원식 독서토론 사례 「꺼삐딴 리」
7장 정보 텍스트 읽고 토론하기
정보 텍스트를 읽는 이유
정보 텍스트의 구조 이해하기
정보 텍스트 읽기 전략
「나비 박사 석주명」 추론하며 읽기
8장 문학 텍스트 읽고 토론하기
문학 텍스트 어떻게 읽을까?
읽기에 몰입하도록 지원하기
학생 스스로 읽고 토론하기
『돼지책』 읽고 토론하기
9장 읽기와 쓰기의 연계
읽기와 쓰기, 왜 연계해야 할까?
읽기·쓰기를 위한 작문 원리
읽기와 쓰기를 연계시키는 방법들
글쓰기 워크숍의 실제
찾아보기
Author
김주환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 용곡중, 성내중, 장위중, 도봉고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전국국어교사모임 회장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겸임교수, 시라큐스 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고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실토론의 방법』, 『학생글로 배우는 글쓰기』, 『독서교육론』(공저), 『한 학기 한 권 읽기 어떻게 할까?』(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국어과 교육과정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 용곡중, 성내중, 장위중, 도봉고에서 교사로 근무했으며 전국국어교사모임 회장을 역임했다. 이화여대 겸임교수, 시라큐스 대학교 교환교수를 지냈고 현재 국립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교실토론의 방법』, 『학생글로 배우는 글쓰기』, 『독서교육론』(공저), 『한 학기 한 권 읽기 어떻게 할까?』(공저)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