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교사

$27.00
SKU
979118685377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Tue 06/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4 - Tue 05/2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22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86853771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한국도교란 무엇인가? 이 책은 삼국시대 발해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한국도교의 끊어질 듯 끊어지지 않고 이어온 장구한 흐름을 살펴본다. 나아가 고구려벽화로부터 조선 말의 민간도교와 신종교의 관계 그리고 북한 도교 그리고 오늘날 불사의 의미까지를 탐구한다. 2천여 년 넘게 도교는 동아시아 사유와 문화의 한 부분을 담당해 왔지만, 한국 안에서는 오랫동안 유교와 불교에 비해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하지만 한국 역사의 굽이굽이마다 도교는 자연재해와 전쟁 극복을 위한 제의로, 죽은 자와 살아가야 할 자들을 위한 장생불사의 염원으로, 20세기 이후 민족의 위기 속에서는‘단군’을 포괄하는 신종교이자 때로는 민중항쟁의 시작으로, 그리고 오늘날에는 웰빙의 양생법으로 수없이 모습을 바꿔왔다.

그러한 한국도교의 연속성에는 이 공간을 살아간 수많은 삶들의 절박한 마음들이 녹아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절대 권력의 폭압적 정치 아래에서 무위와 자유의 경지를 논의하기도 하고, 생노병사의 인간 육체의 한계를 벗어나 장생하고 불사하는 무릉도원을 꿈꾸기도 하고, 무엇보다 새벽이면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 놓고 북두칠성에게 자녀들의 건강과 안녕을 기도하던 할머니, 뭇별에게 가족의 안위를 기도하던 이들 말이다.

이 책은 한국의 역사서와 『노자』 『장자』의 주석서 및 각종 도교 서적들 조선시대 백과사전 등의 문헌자료를 통해 한국도교의 여정을 탐색한다.‘한국도교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동아시아 그리고 한국의 사상와 문화의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이 책이 작은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
Contents
■ 머리말

제I편 한국도교사 서설

1 한국도교 연구의 두 가지 방향성
2 한국도교, ‘선도’의 특수성과 보편성
3 한국도교의 범위

제II편 삼국· 발해· 고려시대의 도교

1 삼국시대 도가와 도교 그리고 황노학과 금단도교
2 삼국시대 고구려벽화와 금단도교
3 삼국시대 도교와 『의심방』
4 발해의 도교, 이광현의 『백문결』
5 고려시대 재초의식과 도가와 도교

제III편 조선 전기의 도가사상과 수련도교

1 조선전기의 도가사상
2 조선 전기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노자’의 변용
3 조선시대 구결서 연구: 용호비결
4 조선시대 구결서 연구: 『단서구결』과 『동국전도십육결』

제IV편 조선 후기 도가사상

1 서명응의 『도덕지귀』의 태극론과 음양론
2 이광려의 「독노자오칙」의 유무론
3 이충익의 『초원담로』의 유무론과 선악론
4 신작의 『노자지략서』
5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의 인의의 문제
6 조선시대 노자 주석서의 주자 이해
7 조선시대 노자 장자의 이상향

제V편 조선 후기 민간도교와 신종교

1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도교관
2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3 조선후기 민간도교와 신종교
4 최초의 교단도교, 무상단
5 모리스꾸랑 『한국서지』 속 조선 도교

제VI편 오늘날 북한의 도교와 21세기 도교

1 북한의 도교 연구, 도교의 변용
2 AI시대, 몸의 변형과 도교의 불사

■ 참고문헌
■ 찾아보기
Author
김윤경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에서 한국 사상의 정체성에 대해 탐문하기 시작하였고, 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노자사상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국민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원 및 런던대학교 SOAS 대학 Center of Korean Studies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윤리교육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박사논문으로는 ?하곡학파의 노자 해석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주요논문으로는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에 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신화?, ?Aspects of Korean Folk Daoism?이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초원담노-양명학자 이충익의 노자 읽기??가 있다. 현재는 동아시아를 넘어 서아시아를 포괄하는 도교문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에서 한국 사상의 정체성에 대해 탐문하기 시작하였고, 동대학원에서 조선시대 노자사상 연구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덕성여대 국민대 성균관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원 및 런던대학교 SOAS 대학 Center of Korean Studies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인천대학교 윤리교육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박사논문으로는 ?하곡학파의 노자 해석에 관한 연구?가 있으며, 주요논문으로는 ?조선후기 민간도교의 발현과 전개?, ?모리스꾸랑의 ??한국서지??에 수록된 도교경전 연구?,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신화?, ?Aspects of Korean Folk Daoism?이 있으며, 주요 저술로는 ??초원담노-양명학자 이충익의 노자 읽기??가 있다. 현재는 동아시아를 넘어 서아시아를 포괄하는 도교문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