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1930년대 이후부터 현대까지 묵자에 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묵자와 묵가 사상의 진면목을 찾고자 진행되었다. 한 사람의 사상가나 학파를 제대로 이해하는 일은 결코 용이한 일은 아니지만 필자가 알고 있는 모든 것들을 책에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책은 크게 Ⅰ부와 Ⅱ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Ⅰ부에서는 오로지 묵자와 묵가의 지혜를 기술하였고 Ⅱ부에서는 묵자와 공자를 중심으로 이들 사상을 현대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담고자 하였다.
묵자가 생존했던 춘추전국시대는 ‘천붕지괴(天崩地壞)’로 묘사되는 대전환기였다. 이러한 시기에 묵자는 윤리적 측면, 사회적 측면, 그리고 과학적 측면에서 창의적인 발상과 방안을 제시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물론 그의 사상이 비록 공맹과 노장의 영향력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사상적 관점과 중국 문화에 끼친 영향은 결코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오늘날 인류가 안고 있는 문제의 대부분은 무엇이 마땅하며 옳은 것인가에 대한 준거의 틀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또 설정되어 있다할지라도 그릇된 가치 판단에서 비롯된 잘못된 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묵자는 “겸상애 교상리”라는 준거의 틀을 제시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였다. 묵자의 이상과 염원이 미완에 그친 것은 사실이지만 그가 제시한 길 이외에는 달리 최선의 방책이 없다는 것 또한 엄연한 사실이다. 서로 사랑하고 서로 나누 것, 그보다 더 좋은 사회 문제의 치유책이 있는가? 우리가 묵자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Contents
머리말 4
1부 묵가의 지혜
01 묵자가 생각한 천인(天人)관계
1. ?천지(天志)?, ?명귀(明鬼)?와 ?비명(非命)?편의 의의
2. ?천지?, ?명귀?와 ?비명?편과 천인(天人)관계
02 묵가의 인식 이론
1. 인식의 연원
2. 인식의 다양한 형태
3. 인식의 세 가지 단계
4. 인식과 관련된 몇 가지 원칙
03 묵자의 교육 사상
1. 교육의 필요성
2. 교육의 방법과 내용
3. 묵가의 제자들
04 묵자의 정치 사상
1. 국가의 필요성과 통치자
2. 통일된 견해와 국가 통치
05 묵자의 경제 이론
1. 절용을 바탕으로 하는 경제 사상
2. 생산 활동의 활성화를 통한 경제 성장
06 묵가의 과학 사상
1. 묵가의 과학 사상과 ??묵경??
2. 물체 운동과 관련된 이론
3. 지레, 도르래, 빗면 원리에 대한 인식
07 묵가의 수학 이론
1. 기본 도형에 대한 이해
2. 각 도형들의 비교와 배열
08 묵가의 광학 이론
1. 묵가 진리 추구의 기본자세
2. 빛과 그림자에 대한 해석
3. 각종 반사면에 대한 이론
4. 묵가 광학 이론의 의의
2부 묵자와 공자, 현대적 적용
01 공자와 묵자의 인간관
1. 공자의 인간관
2. 묵자의 인간관
3. 공자와 묵자 인간관의 동이점
02 공자와 묵자의 개인선과 공동선
1. 개인의 수신을 통한 공동선의 완성
2. 도덕적 개인과 공동체의 도덕성
03 공자와 묵자 의리관
1. 선진 시대 의리관의 특색
2. 공자 의리관의 핵심
3. 묵자의 귀의(貴義)의 본질
04 공자와 묵자의 인재관
1. 공자 교육 사상의 특징과 인재관
2. 묵자 교육 사상의 지향점과 인재관
3. 공자와 묵자 인재관의 동이점 분석
05 유교의 배려 이론과 청소년 인성교육
1. 현대 청소년의 인성 문제
2. 유교의 수신 이론 중의 배려 이론
3. 유교 배려 이론의 인성교육 적용
06 묵자의 겸애사상과 청소년 인성교육
1. 청소년 인성교육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
2. 청소년 인성교육 관점에서 본 묵자의 겸애
3. 겸애를 통한 이기적 인성의 극복
07 묵자의 비판적 사고와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1. 비판적 사고에 대한 정의와 중요성
2. 묵자 비판적 사고의 주요 내용과 특징
3. 비판적 사고 성향의 중시
4. 초등학생 비판적 사고 성향 증진 방안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황성규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인민대학에서 묵가 사상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포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한남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에서 강의를 맡았다. 현재는 보문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墨子的平民學說』(공저, 중국산서출판집단, 2007), 역서로는 『중국불교철학』(공역,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출판사, 2006) 등이 있으며 묵가 및 동양학 분야의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를 졸업하고 중국인민대학에서 묵가 사상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목포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였고, 한남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에서 강의를 맡았다. 현재는 보문고등학교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墨子的平民學說』(공저, 중국산서출판집단, 2007), 역서로는 『중국불교철학』(공역,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출판사, 2006) 등이 있으며 묵가 및 동양학 분야의 많은 논문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