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다시 묻다

한국적 정신과 문화의 심층
$12.96
SKU
979118650257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4/18 - Thu 04/2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15 - Thu 04/1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6/07/31
Pages/Weight/Size 140*210*20mm
ISBN 9791186502570
Categories 인문 > 한국철학
Description
한국의 정신, 겨레얼은 무엇인가?
한국적 정신은 계속될 수 있을까?


‘단일민족’이라는 울타리가 해체되는 한편으로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풍미하는 시대상황 속에서 ‘한국정신’ 혹은 ‘겨레얼’의 실상을 인문학적으로 탐구하고 조명한 결과물이다. ‘한국정신’을 고정불변의 것으로 보아, 고수하고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화 시대에 ‘더불어 삶’을 가능케 하는 근본 토대로서의 한국인의 정신, 민족, 문화, 얼 등을 스스로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하고, 세계에 설명할 수 있는 기본 교재라 할 수 있다.
Contents
01 한국의 정신, 겨레얼은 무엇인가?
한국적 정신 겨레얼과 민족성
풍류, 신명, 정한 민족의식과 선비정신
민족종교에서 붉은 악마까지

02 겨레와 민족이라는 최신 언어
주체와 능력 불변의 본질을 넘어
겨레와 민족 민족과 민족의식
민족의식의 한국적 전개 국가의 부재와 민족의식의 강화
조선혼과 조선학

03 겨레, 문화, 신화
우리말이 주는 착각 수용과 변화의 능력
겨레얼과 문화의 구조 겨레얼의 표현 방식, 신화
신화의 메시지, 홍익인간 신화의 종교화

04 풍류도, 신명, 정한
다양성의 근원 홍익인간의 빈틈
포함삼교와 접화군생 불교의 수용과 전개
불교와 풍류의 관계 풍류도와 화랑도
신명과 신기 무교와 정한(情恨)
정한의 사회화

05 조선의 문화와 겨레얼
겨레얼과 언어 문화 국어와 한국적 정신
한글 창제와 훈민정음 선비와 선비정신
선비의 의리 정신 선비적 윤리, 청백리

06 근대 한국의 유교 정신
위정척사파의 선비정신 상소운동의 재해석
유교적 계몽운동가 박은식 저항으로서의 전통 연구
정인보의 양명학과 조선학 조선학 운동과 겨레얼

07 신명의 근대적 개화
조선의 신명과 풍류 신명의 유교화
서학과의 갈등과 수용 개신교의 한국적 전개

08 자생 종교와 풍류도의 다변화
상층과 기층의 만남 풍류 정신의 재현, 최제우
겨레얼의 양극화 자생 종교의 풍류성
기독교의 한국적 특징 대중문화의 풍류성
신명의 쏠림 현상

09 오늘 한국을 말한다는 것
겨레얼의 토발화(土發化) 한국적 정신은 계속될 수 있을까?
위정척사파의 선비정신 상소운동의 재해석
유교적 계몽운동가 박은식 저항으로서의 전통 연구
정인보의 양명학과 조선학 조선학 운동과 겨레얼
Author
이찬수,최준식,황종원,신현승
보훈교육연구원장이다.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종교학과에서 칼 라너의 철학적 신학과 니시타니 케이지의 불교철학을 비교하며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 코세이가쿠린 객원교수, 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난잔대학 객원연구원,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그동안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다르지만 조화한다』 등 100여 편 이상의 책과 논문을 출판했다.
보훈교육연구원장이다.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종교학과에서 칼 라너의 철학적 신학과 니시타니 케이지의 불교철학을 비교하며 박사학위를 받았다. 강남대 교수,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일본 코세이가쿠린 객원교수, 중앙학술연구소 객원연구원, 난잔대학 객원연구원, 한국문화신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그동안 『평화와 평화들』, 『사회는 왜 아픈가』, 『다르지만 조화한다』 등 100여 편 이상의 책과 논문을 출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