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식품안전 사건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국민들의 높아지는 건강한 삶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식품안전 관련 법령도 갈수록 정치(精緻)해 지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식품안전 관련 규정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구조도 더욱 복잡하게 되어 관련 분야 종사자들 까지도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정도가 되었다. 주목할 점은 안전관리의 패러다임이 사후관리’에서 ‘사전예방’, ‘안전’에서 ‘안심’, ‘영업자 위주’에서 ‘소비자 위주’로 전환되었다는 것인데, 식품안전 관리 규정도 이러한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식품위생안전법규와 제도』는 “우리나라의 식품의 안전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라는 질문에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답변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국가의 관리규정과 시스템은 유기체와 같이 늘 변화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해답뿐 아니라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는다. 식품안전 관리가 지도라고 하면 지도의 구역 하나하나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지도를 보는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식품을 전공하는 학생들뿐 아니라 정부, 교육, 산업, 또는 연구부문 종사자들도 식품안전 관리에 사전 지식이 없어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Contents
머리말
추천의 글
서론
제1부 식품안전 관리
제1장 식품안전 관리 체계
제2장 식품위생법
제3장 식품안전 관리 주요제도
제2부 식품등의 표시·광고 관리
제4장 식품등의 표시·광고 관리
제5장 식품등의 세부 표시기준
제6장 원산지 표시
제3부 기준 및 규격 관리
제7장 식품 기준 및 규격 체계
제8장 비의도적 또는 잔류 오염물질 기준 관리
제9장 식품첨가물과 살균소독제 기준 및 규격
제10장 기구 및 용기·포장의 관리
제11장 위생용품의 안전관리
제4부 수입식품의 안전관리 등
제12장 수입식품등의 안전관리 체계
제13장 식품 관련 국제기구
부록 WTO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의 적용(SPS)에 관한 협정
참고문헌
색인 INDEX
Author
진은숙
고려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5년간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근무하였으며, 식품안전국장,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등을 역임하였다. 우리나라 최초로 북경 주중대한민국대사관의 식품·의약품 분야 해외주재관으로 근무하며 중국과 인연을 맺었다. 이를 계기로 중국의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중국문화와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빙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25년간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근무하였으며, 식품안전국장,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장 등을 역임하였다. 우리나라 최초로 북경 주중대한민국대사관의 식품·의약품 분야 해외주재관으로 근무하며 중국과 인연을 맺었다. 이를 계기로 중국의 예술가들과 교류하며 중국문화와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된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빙교수로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