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예식 표준총서’는 장례에 관한 모든 예식과 절차는 물론 사후 행정적 처리를 포함하여 망자에 대한 각별한 예우를 바탕으로 누구나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풀이함으로써 본 학문을 전공하는 전공자는 물론이거니와 일반인들까지도 망자에 대한 우(결례)를 범하지 않도록 하였다.
Contents
제 1장 상·장 례
1. 통과의례(通過疑禮) - 관혼상제(冠婚喪祭)
가. 관례(冠禮) /18
나. 혼례(婚禮) /19
다. 상례(喪禮) /19
라. 제례(祭禮) /20
2. 죽음의 의미
가. 죽음이란? ?21
나. 죽음의 학문적 분류 ?21
다. 인간이 받아들인 죽음 /22
3. 종교별 장례의식
가. 유교 장례의식 /32
나. 불교 장례의식 /50
다. 개신교 장례의식 /55
라. 천주교 장례의식 /58
마. 원불교 장례의식 /60
바. 천도교 장례의식 ?62
사. 천리교 장례의식 /70
아. SGI 장례의식 /80
자. 통일교 장례의식 /82
4. 장례 연출
가. 장례연출의 개념 /92
나. 장례연출의 종류 /94
다. 장례연출의 활성화 /95
5 . 장례 상담
가. 장례상담 ?97
나. 장례상담의 종류 /98
다. 초기접수 /98
라. 장례일정 상담 /99
마. 장례절차 방법안내 /100
바. 용품상담 /100
사. 장사행정 및 사후관리 /101
아. 기타 서비스 /101
자. 유족상담 기법 /101
6. 현대 장례 예식
가. 현대 장례의 흐름 /103
나. 현대장례절차 /104
다. 현대장례와 전통장례 비교 /110
라. 일본·중국 장례 문화 특징 /113
마. 장례의 문제점 및 개선책 /114
바. 다양한 미래의 장법 제시 /115
제2장 장례 산업 보건
1. 시신의 위생적 관리와 감염
가. 시신의 사후 변화 /123
나. 시신으로부터 감염 위험성 /126
다. 시신관리의 필요성 /128
라. 사망자 수 /130
마. 사망 원인과 감염성 시신 /131
2. 산업보건과 질환
가. 산업보건의 목표 /132
나. 직업성 질환 /132
3. 장례업 종사자의 질병예방
가. 장례업과 보건위생 /136
나. 장례업에서의 유해인자 /136
제 3장 장사 관련 법규
1.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의 개요
가. 장사법의 기본방향 /144
나. 주요 내용 ?145
2.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가. 목적 /146
나. 장례식장 영업 /146
3. 장례식장 표준약관
장례식장 표준약관 /150
4. 시체 해부 및 보존에 관한 법률
가. 목적 /155
나. 유족의 승낙 /155
다. 시체에 대한 예의 /157
5. 산업안전보건법
제1장 총칙 /158
제5장 근로자의 보건관리 /161
제6장의 2 산업안전지도사 및 산업보건지도사 /165
제 4장 부록
1. 전국 화장 시설 현황 / 190
2. 전국 공원 묘원 현황
가. 공설묘지 / 193
나. 사설묘지 / 205
3. 전국 공설 및 사설 봉안 시설 현황 / 211
4. 제수 진설과 명정 및 지방 서식
가. 제수진설 / 217
나. 명정 서식 / 228
다. 지방 서식 / 230
라. 입관길시 및 하관길시 / 234
5. 한국의 성씨 일람 / 241
6. 각종 서식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