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한국의 동백

$32.20
SKU
979118612726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10
Pages/Weight/Size 153*225*20mm
ISBN 9791186127261
Categories 자연과학
Description
“한국은 아름다운 동백자생지이다! ”
이 동백꽃들이 우리나라 고유의 자원임을
세계에 알리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늦겨울 한낮, 따사로운 햇볕 아래 진녹색의 윤기 흐르는 잎 사이로 환하게 얼굴을 내민 붉은 동백꽃은 참으로 매력이 있다. 청초하고 싱그러운 잎새와 방금 피어난 타는 듯한 붉은 꽃 위에 흰 눈이 소복이 내려 쌓이면 그야말로 금상첨화다.” 이 책은 우리나라 동백자생지를 찾아 돌아보면서 그 지역의 특성에 따라서 그 지역에서 보여주는 특유의 동백꽃에 대한 사진과 특성을 조사·기록하였다. 꽃의 색, 모양, 크기 등을 위주로 조사하여 기록한 것을 내용으로 다루었다.

그동안 한국의 동백자생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우리 고유의 자원으로서의 동백을 널리 알리고 싶은 생각으로 몇 년 여에 걸쳐 동백 탐사를 진행해 온 저자들은 우리 동백을 찾아냄과 동시에 외관이 화려한 도입 외래종이 점차 많이 심어지고 있는 실정과 백동백 등 특이자원 중에서도 관리가 안 되어 덩굴식물에 뒤덮여 고사 위기에 처했거나, 외딴 섬 지역에서는 염소나 토끼에 의해 뜯어 먹혀 자생 동백군락이 고사 위기에 처한 곳도 알려주고 있다. 모두의 관심 속에 우리 동백이 번성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Contents
펴내는 글
동백자생지인 한국의 아름다운 동백-한국토종연구소장 매우(梅友) 안완식
“동백꽃 필 무렵”-흙살림연구소 소장 윤성희

014 아름다운 우리 동백

030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및 한국 동백의 자생지
세계의 동백나무 분포 / 한국 동백의 자생지 / 동백의 관찰 포인트

043 자생지에서 관찰한 동백꽃
제주특별자치도 044 위미리 동백나무 군락 054 신흥리 동백나무 군락
056 선흘곶 동백동산 060 카멜리아힐 수목원
064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066 제주 수산초등학교 내 교정의 백동백
068 제주 성산면 삼달1리 암홍동백 070 제주 환상숲 가을 동백
경상남도
거제도 074 동부면 학동리 동백나무 숲 082 공곶이둘레길
084 거제면 외간리 동백나무 086 거제시 지심도
통영시 098 충렬사 동백나무 102 우도 106 두미도
울산광역시 112 울산광역시청 및 울산광역시 중구청 학성공원
전라남도
여수시 120 돌산도와 오동도 122 금오도·안도 동백
광양시 128 광양시 옥룡사지
장흥군 132 천관산수목원
강진군 140 백련사 동백군락
완도군 148 군외면·약산면 156 완도 은초록식물원
158 보길면 보길도 세연정 일원 동백
168 보길도 공룡알해변과 보옥마을 동백
172 보길도 정자리 고택 동백 176 보길도 황원포항 인근 동백
180 보길도 부황리 김성우 씨 정원과 부용동 마을
182 보길도 예송리 상록수림 동백
183 보길도 망끝전망대 분홍동백
나주시 184 금사정 동백
전라북도
고창군 186 선운사
군산시 194 고군산 방축도, 광대도 동백
충청남도
서천군 198 마량리 동백정
보령시 212 외연도 상록수림
태안군 220 옹도 동백나무 224 근흥면 도황길 민가
228 근흥면 근흥중학교 교정 230 안면읍 내파수도
경기도
234 동백 분한계 대청도
경상북도
242 울릉도
244 저동리 계곡과 태하등대 일대 248 저동항과 내수전 전망대 부근
에필로그│이 동백꽃들이 우리나라 고유의 자원임을 세계에 알리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부록│특성조사표
Author
안완식,윤성희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사가 되어 세계의 식물자원연구소를 돌아보며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깨달은 뒤, 한평생 ‘우리 땅에는 우리 씨앗을 심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살았다.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 『내 손으로 받는 우리 종자』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등을 펴냈다.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원으로서 멕시코 국제맥류옥수수연구소, 일본 농생물자원연구소, 미국 오리건대학교 연수를 마치고 돌아와 밀 육종과 식물 유전자원 연구를 했으며, 여러 차례 식물 유전자원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유전자원과장 및 책임연구관으로 있었으며, 한국생물다양성협의회 운영위원과 한국토종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토종연구회 고문, 토종 씨드림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1999), 『내 손으로 받는 우리종자』(2007),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2009), 『식물유전자원학』(공저, 200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국의 농업유전자원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에 있어서 작물재래종의 소멸 경향 연구」, 「지속적 농업을 위한 식물유전자원의 확보」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사가 되어 세계의 식물자원연구소를 돌아보며 유전자원의 중요성을 깨달은 뒤, 한평생 ‘우리 땅에는 우리 씨앗을 심어야 한다’는 신념으로 살았다.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 『내 손으로 받는 우리 종자』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등을 펴냈다.

194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을 거쳐 강원대학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농촌진흥청 연구원으로서 멕시코 국제맥류옥수수연구소, 일본 농생물자원연구소, 미국 오리건대학교 연수를 마치고 돌아와 밀 육종과 식물 유전자원 연구를 했으며, 여러 차례 식물 유전자원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유전자원과장 및 책임연구관으로 있었으며, 한국생물다양성협의회 운영위원과 한국토종연구회 회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토종연구회 고문, 토종 씨드림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종자』(1999), 『내 손으로 받는 우리종자』(2007), 『한국토종작물자원도감』(2009), 『식물유전자원학』(공저, 2004)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한국의 농업유전자원 연구 현황과 발전 방향」, 「한국에 있어서 작물재래종의 소멸 경향 연구」, 「지속적 농업을 위한 식물유전자원의 확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