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에 답 있다

공부도 인생도
$18.40
SKU
979118611623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18/06/20
Pages/Weight/Size 152*212*30mm
ISBN 9791186116234
Categories 인문 > 기호학/언어학
Description
왜 공부도 인생도 ‘국어’에 답이 있을까?
험난한 세상에서 품격과 경쟁력을
잃지 않고 사는 법을 알려주는 허철구 교수의 국어 에세이

우리가 살아오면서 후회되는 일의 대부분은 말과 글에 기인한 것이다. 섣부르게 내뱉은 말, 거칠고 배려 없는 말, 상황과 어법에 맞지 않는 무성의한 글……. 반면에 말하기와 글쓰기의 조심스러움만 깨달아도 인생의 큰 실수는 줄일 수 있다. 바른 말과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쓰는 사람이 인생에 실패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저자인 창원대 국문과 허철구 교수는 “국어에 우리의 삶이 있고, 인생의 답도 있다.”고 말한다. 이는 비단 우리말 교육과 순화 전문가로서의 주장만은 아니다. 말과 글의 영향력은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

자신의 말과 글에 진심을 담기 위해 노력하고, 정확하고 적절한 표현을 위해 심사숙고하는 사람은 삶에도 최선을 다하고 타인의 인생에도 깊이 공감하는 능력을 갖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국어를 올바로 이해하고 제대로 구사할 수 있을까?

『국어에 답 있다』는 우리말의 어법, 맞춤법, 글쓰기의 방법뿐 아니라 우리말의 속살과 말의 뿌리를 살피면서 그 쓰임의 변화를 통해 우리 사회의 변화 양상까지 살펴보고 있다. 이 책은 말과 글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여는 말_ 국어를 잘하면 어느 분야에서나 자기 몫을 해낸다

1장 말이 곧 사람이다 _바른 말에 담긴 마음

어느 노감독의 불편한 마음
어린이 고객은 어린이다
고추도 태양이 도와줘서 말리는 건데
용어 속에 담긴 가치
언어적으로 생각해 보는 동성애
여고생은 있고 남고생은 없다
아내는 집사람일까 아닐까
‘~지 말자요’를 대하는 마음
그 방은 ‘사장님실’이 아니라 ‘사장실’이다
국회의원 ○○○입니다
커피 나오셨습니다
넘치는 말 ‘손님분’
좋은 호칭을 찾으려는 아름다운 노력
청소년끼리는 밝고 가벼운 반말이 어떨까
75초에 한 번꼴로 욕하는 청소년들
걸음은 조용조용, 말씀은 가만가만
지하철 기관사들의 위로의 말
더 좋은 위로의 말 찾기
혐오 발언이 없는 대한민국을 꿈꾸며
두 명의 17세 소년
더 보탤 것도 뺄 것도 없이
즐겁게 보내시길 바랍니당~
어느 마을의 시화전
세상에서 가장 고운 말
인터넷 시대에 돌아보는 속담
막말의 사회를 돌아보며
접두사 ‘처-’의 시대
욕설의 어원을 알고도 쓸까
무섭고 우울한 말 ‘스몸비’

2장 국어를 잘하는 사람이 인정받는다_ 우리말의 어법
‘태양의 후예’가 군대 문화를 바꾸나
‘하실게요’는 틀린 표현
‘-도록 하겠습니다’는 ‘하겠습니다’로
‘같아요’라는 추측성 표현에 대하여
가려 써야 할 ‘~더라고요’
‘~이 되겠습니다’는 ‘~입니다’로 명쾌하게
‘키’는 쥐는 것이 아니라 잡는 것
담배는 피는 것이 아니라 ‘피우는’ 것
알고 나면 똑똑해지는 일상 표현들
햇빛 잘 드는 집
글자는 ‘깨치고’ 잘못은 ‘깨닫고’
지나친 창의성의 오류
‘죄송한 말씀’과 ‘죄송하다는 말씀’은 다른 뜻
문법은 이미 우리 머릿속에 있다
‘그러고 나서’가 맞다
고양이 발톱을 깎이다
지나친 피동 표현 ‘~어지다’
‘~에 의하여’보다 좋은 표현은 많다
‘~에 대하여’를 어찌 할까요
‘○○한테’ 온 전화는 누가 걸었을까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에’와 ‘에게’는 엄연히 다르다
때로는 ‘~와의’가 정확한 표현이다
세 개의 오렌지에의 사랑
조사만 똑바로 써도 글이 좋아진다
‘역전앞’에서 ‘역 앞’으로
껍데기인지 껍질인지
‘청춘하세요’의 일탈
‘떨어짐 주의’에서 발견하는 우리말의 능력
‘~적’이라는 이상한 표현에 대해
접미사 ‘-스럽다’의 진화
갑자기 ‘급~’이 널리 퍼졌다
‘맞다’가 맞지 않을 때
‘수고하십시오’는 누가 쓰나
‘건강하세요’의 현재와 미래
사돈어른, 사장어른

3장 국문법을 공부해 두면 평생 자산이 된다_ 맞춤법 이야기

맞춤법의 탄생
알고 보면 아름다운 맞춤법의 원리
띄어쓰기의 첫걸음
‘되’와 ‘돼’에 대하여
‘낫다’와 ‘낳다’는 하늘과 땅 차이
자꾸 ‘쎄’지는 우리말 표현
귀가 아닌 눈을 위한 글쓰기
행사를 치루겠다
‘부딪치다’로만 써도 된다
‘띄어’ 쓸까, ‘띄워’ 쓸까
‘금새’가 아니가 ‘금세’
적는 법도 가물거리는 ‘하오체’
‘어떻게요’와 ‘어떡해요’
‘처’와 ‘쳐’는 구별해야 한다
‘촛불’의 사이시옷
‘로서’와 ‘로써’ 제대로 쓰기
숫자 쓰기와 읽기
‘피시방’과 ‘PC방’
‘만 원의 행복’만큼 중요한 ‘만 원’의 띄어쓰기
‘~는데’의 띄어쓰기
‘만하다’와 ‘만 하다’
‘우리나라’는 어느 나라인가
‘빌려주다’와 ‘빌려 주다’
‘한잔’과 ‘한 그릇’
두 가지 외래어, ‘걸크러쉬’와 ‘옐로이쉬’
‘쥬시 후레쉬’의 과거와 현재
‘후지 산’에서 ‘후지산’으로
문장 부호 몇 가지

4장 표준어를 쓰면 좋은 점이 많다_ 표준어 이야기

표준어가 무엇인가요
표준어를 써야 교양 있는 사람인가
표준어의 새 식구 ‘이쁘다’
우리말샘을 아시나요
애완동물의 출입을 ‘삼가’ 바란다고
‘비껴가다’와 ‘비켜 가다’
‘맞히다’와 ‘맞추다’
먼지는 떨고, 신발은 털고
모둠회 드실까요, 모듬회 드실까요
어두운 방 안엔 바알간 숯불이 피고
임을 위한 행진곡
누리통신망(SNS) 시대의 국어
대중이 선택한 말은 ‘너’가 아닌 ‘니’
나는 자랑스런 태극기 앞에
금이 서 돈일까, 세 돈일까
‘수놈’일까 ‘숫놈’일까
‘갈려고 한다’는 틀린 말
‘ㅎ’소리가 사라졌어요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김빱’ 좋아하시나요

5장 외국어보다 국어가 먼저이다_ 우리 말글 사랑

서러운 마음에 텅 빈 풍경이 불어온다
욜로(You Only Live Once)
표현의 맛 살리기
품격이 있는 상호 짓기
국어에 없는 소리들
수정궁은 어느 팀
언어 권력 조심하기
‘삼디 프린터’의 논란에 대하여
국어 기본법, 문제없다
조선에서 자랑할 것이 무엇인가
한글은 왜 쉬운 글자인가
‘한글’이라는 이름은 누가 지었나
‘그, 느, 드’라는 글자 이름
‘짜장면’과 한글
행복한 삶을 위한 ‘쉬운 말’ 쓰기
한자성어 대신 속담 쓰기
‘옥상’의 ‘일광욕 의자’
여름철에 만나는 우리말
‘곤색’을 다시 마주하며
잘못 꿴 첫 단추, ‘서울러’
‘갠톡’을 보는 두 개의 시선
국어사전과 친해지기
빗방울이 듣다
‘동북부’와 ‘북동부’
치과병원 이름에 ‘이빨’이 없는 이유
‘해보내기’의 아쉬움

6장 국어를 잘하는 사람은 다른 것도 잘한다_ 문장, 이렇게 쓰자

읽기 쉬운 문장이란
더 잘게 나누어 쓰기
중복 표현 피하기
간결하게 쓰기
번거로운 ‘~에 대하여’
‘~을 통하여’ 가려 쓰기
‘~ㄹ 수 있을 것이다’라는 표현
문법에 맞게 문장 쓰기
주어를 꼭 확인하세요
실과 바늘의 관계,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에 어울리는 말
주어와 서술어는 찰떡궁합으로
제 짝을 찾습니다
접속 성분과 서술어
잘못 쓰는 ‘~시키다’
수식어의 중복 피하기
명사 위주의 문장은 딱딱하다
쉼표, 이렇게 쓰면 좋다
잘못된 접속이 문장을 망친다
단락 쓰기는 꼬리에 꼬리를 물듯이

맺는 말_ 우리의 관심이 국어를 더 아름답게 만든다

Author
허철구
국립국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우리말의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를 순화하는 일을 했다. 현재는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를 아끼는 한마음으로 일간지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글을 써왔으며, 국어심의회 위원 등으로 우리말을 보살피는 활동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말 규범의 이해』, 『단어와 어휘부』(공저), 중학교 『국어』(공저) 교과서 등이 있다.
국립국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우리말의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를 순화하는 일을 했다. 현재는 창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에게 국어 문법을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를 아끼는 한마음으로 일간지를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글을 써왔으며, 국어심의회 위원 등으로 우리말을 보살피는 활동도 해왔다. 지은 책으로는 『우리말 규범의 이해』, 『단어와 어휘부』(공저), 중학교 『국어』(공저) 교과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