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3~4월 타이완의 해바라기 운동, 2014년 9~12월 홍콩의 우산혁명, 2015년 7~9월 일본의 안보법안 반대 시위, 2016년 10~12월 대한민국의 박근혜 정권 퇴진 촛불집회. 동아시아 각국의 연쇄적인 시위와 집회를 지켜본 사람이라면 한번쯤 이런 질문을 떠올렸을 것이다. 과연 우연이라 볼 수 있는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모두 우연이 아니다. 그동안 기득권 세력에 의해 사회적 희생양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었던 청년들의 절망감과 분노다. 최근 신자유주의적 변화들과 함께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청년들의 암울한 현실이 자리잡고 있는 셈이다.
이 책은 동아시아 청년학자들이 모여 떠안을 수밖에 없는 청년들이 어떠한 정동을 느끼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문화적 실천을 하며 맞서거나 순응하면서 살아가고 있는지, 또한 이는 어떠한 사회적 및 문화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 등에 관한 문제들을 다루었다.
Contents
이 책을 읽기 전에
1부 도론
1장 새로운 정동의 정치화를 위하여 _ 백원담
1. 자본과 도시, 그 경험의 소우주
2. 도시화의 연대기
3. 전지구화시대 삶의 공간으로서의 도시, 그리고 청년 정동의 전환
2부 슬픈(靑) 봄(春)들의 군상(群傷)
2장 헬조선의 N포세대와 노력의 정의론 _ 정정훈
1. ‘서연고서상한중경외시건동홍국숭세단명광한상’을 아시나요?
2. 이것이 헬조선이다
3. 갑을관계와 전도된 경제외적 강제, 새로운 신분제의 등장?
4. 노력의 정의론
5. 헬조선의 N포세대가 포기한 것은 무엇인가?
3장 도시 구조 속의 ‘개인의 비애’ _ 뤄샤오밍
1. ‘나쁜 시대’의 ‘좋은 소설’
2. 어떠한 ‘개인적 비애’인가?
3. ‘비애’의 사회적 의의
4. ‘사회적 비애’의 가치 절하
4장 노동과 활동의 사이, 유예된 노동을 말하다: ‘청년혁신활동가’에 대해 _ 장봄
1. 들어가며
2. 새로운 존재양식으로서 ‘청년혁신활동가’의 등장
3. 청년혁신활동가의 조건
4. 노동과 활동의 경계지대
5. 나오며: 유예된 노동
5장 훼손된 정체성(Spoiled Identity) _ 정성쉰
6장 힐링하는 사회: 2010년대 초반 동아시아의 행복, 위로, 안녕 담론 _ 박자영
1. 어떤 질문
2. 불안은 현재를 잠식한다
3. ‘위로’에서 ‘힐링’으로
4. 나오며: 안녕을 묻다
7장 도시 뒤에 가려진 그늘: 농촌에 남겨진 부녀자의 일상생활 _ 주산제
1. 들어가며
2. 마을의 개괄적인 상황
3. 중노동자들
4. 번민에 빠진 사람들
5. 주체적인 역할과 매체의 묘사
6. 남겨진 이야기
3부 청춘들의 일상 정동·실천
8장 ‘단사리(斷舍離)’에서 ‘쓰레기’의 생산을 보다 _ 왕신란
9장 21세기 동아시아 루저, 혹은 ‘띠아오스(?絲)’론 _ 윤영도
1. 들어가며
2. 루저문화, 그 기원과 계보에 관하여
3. 띠아오스, 문화현상이 되기까지
4. 루저와 띠아오스의 사회적 맥락들
5. 정동의 리좀
6. 나오며
10장 광장댄스(廣場舞)를 추는 젊은이들 _ 구리
1. 광장의 군무(群舞)
2. 연구 동기
3. 공간적인 위치
4. 춤
5. 음악, 사운드, 공간
6. 위기
7. 팀원
8. 나오며
4부 동(動)하는 아시아의 청춘들
11장 2008, 2016 촛불시위와 사회운동 _ 김연수
1. 촛불시위와 민주주의, 그리고 사회운동
2. 2008 촛불시위와 사회운동
3. 2016 촛불시위와 사회운동
4. 투 트랙 민주주의: 제도정치와 사회운동의 병행 접근
12장 ‘일국 평화주의’의 균열: SEALDs의 운동과 정동 _ 조경희
1. 들어가며
2. ‘공허한 주체’에서 벗어나기
3. 2000년대 사회운동의 맥락
4. ‘전후’를 보수(保守)하는 운동
5. 서로 다른 ‘평화’: SEALDs를 둘러싼 갈등
6. 나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