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디지털 혁신

$39.69
SKU
979118599477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8 - Wed 05/14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Wed 05/7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1/11
Pages/Weight/Size 173*245*35mm
ISBN 9791185994772
Categories 사회 정치 > 행정
Description
“새로운 세상에서는 새로운 학문이 필요하다.”
“A new political science is needed for a world itself quite new.”
Alexis de Tocqueville, Democracy in America(1853)


새로운 시대는 새로운 행정학을 필요로 한다. 지금까지의 행정학이 우리의 공적 삶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 시장, 공동체에 얼마나 의존해야 하는가를 주요한 문제로 다루어 왔다면, 새로운 시대의 행정학은 새로운 정보기술과 그 활용에 따라 구성되는 가상 세계를 어떻게 다루고 활용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를 다루어야 한다. 실제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정보기술의 ‘조합’을 선택해야 하며, 정보기술의 기반 위에서 구성되는 가상 세계의 편익을 활용하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실제 세계의 국가, 시장, 공동체가 어떻게 재구성되어야 할 것인지를 분석하는 데 행정학이 기여해야만 할 것이다. 아울러, 새로운 정보기술이 ‘잘못된 손’ 또는 ‘나쁜 손’에 의해 잘못 활용되지 않도록 실제 세계의 거버넌스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야 할 책임과 윤리를 새로운 시대의 행정학은 가르쳐야 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도전에 응전하고자 한다. 이 책은 정보기술의 도입과 활용을 통해 나타나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에 대한 이론과 역사, 다양한 응용과 분석, 그리고 향후 전망을 다룬 연구서이다. 이미 출간된 저자의 관련 연구를 수정·보완하고, 각 장의 주제에 따라 필요한 부분은 새로 집필하였다.
Contents
머리말

제 1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행정혁신의 동인으로서의 정보기술
Ⅱ. 전자정부
1. 전자정부의 정의
2. 전자정부 서비스의 구분
3. 전자정부의 고도화
Ⅲ. 스마트 정부
1. 스마트 정부의 등장 배경
2. 스마트 정부의 개념
3. 스마트 정부의 특성 및 다양한 측면
Ⅳ. 결론
참고문헌

제 2 장 정부의 디지털 혁신: 미국과 한국의 사례
Ⅰ. 서론
Ⅱ. 미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1980년대까지의 정보기술 도입
2. 클린턴 행정부의 전자정부정책
3. 부시 행정부의 전자정부 고도화정책
4. 오바마 행정부의 디지털 혁신정책
Ⅲ. 한국에서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1. 전두환·노태우 정부의 「행정전산망사업」
2. 김영삼 정부의 행정정보화
3. 김대중 정부의 「전자정부 11대 과제」
4.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31대 로드맵사업」
5.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화
6. 박근혜 정부의 「정부 3.0」
Ⅳ. 한국의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 분석
1. 디지털 정부혁신 추진체계의 구성 요소
2. 전두환 정부
3. 김영삼-김대중 정부
4. 노무현 정부
5. 이명박 정부
6. 박근혜 정부
Ⅴ. 결론
참고문헌

제 3 장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영향 요인
Ⅰ. 서론
Ⅱ. 정보시스템 성공의 정의와 측정
1. 성능의 우수성
2. 성숙 수준
3. 가치 창출
Ⅲ. 정보시스템 성공의 영향 요인
1. 기술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행위자 요인
4. 제도적 요인
Ⅳ. 결론
참고문헌?

제 4 장 정보시스템 성공과 영향 요인에 대한 개념적 모형
Ⅰ. 서론
Ⅱ. Fred Davis와 그의 동료들의 기술수용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Ⅲ. William DeLone과 Ephraim McLean의 정보시스템 성공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Ⅳ. Jane Fountain의 기술 구현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Ⅴ. Jane Fountain의 다층 통합 정보시스템 개념틀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Ⅵ. Kenneth Kraemer와 그의 동료들의 컴퓨터활용 변화과정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Ⅶ. 전자정부 성공구현모형
1. 배경
2. 구성개념 및 구성개념 간의 관계
3. 논의 및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제 5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1: 제도적 배열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중요성, 유형
1.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개념
2.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중요성
3.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유형: OECD의 유형 분류
Ⅲ. 분석: 한국과 미국의 정부기능연계모델(BRM) 구축
1. 한국과 미국에서의 BRM 구축 결과
2. 미국 부시 행정부와 한국 노무현 정부의 전자정부 추진체계
3. 정부기능연계모델사업 과정: 전자정부 추진체계의 활동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제 6 장 전자정부 성공 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2: 행위자
Ⅰ. 서론
Ⅱ.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
1. 지식정보사회에서의 공무원의 지적 역량
2. 전자정부 추진과정에서의 행위자에 대한 연구
Ⅲ. 분석
1. 지식중개자(knowledge broker)
2. 분석틀
3. 연구 대상과 방법
4.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제 7 장 소셜미디어 정부
Ⅰ. 서론
Ⅱ. 소셜미디어 정부 개관
1. 소셜미디어의 정의
2. 소셜미디어의 특성
3. 공공부문에의 소셜미디어 도입과 기대효과
4. 소셜미디어의 효과에 대한 찬반 논쟁
Ⅲ. 분석 1: 한국 광역자치단체장의 트위터 활용 분석
1. 정부의 트위터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2. 분석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Ⅳ. 분석 2: 서울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틀
3. 분석 결과
4. 토론
Ⅴ. 분석 3: 성남시의 트위터 활용 및 트위터 네트워크 분석
1. 이론적 배경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4. 토론
Ⅵ. 결론
참고문헌

제 8 장 모바일 전자정부: 공공 모바일 앱
Ⅰ. 서론
Ⅱ. 모바일 전자정부의 개요
1. 모바일 전자정부의 정의와 특성
2. 모바일 앱의 정의와 기술적 특성
3. 모바일 앱의 등장과 보편화
4. 공공부문에서의 모바일 앱의 도입과 활용
Ⅲ. 한국의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및 성숙 수준
1.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현황
2. 모바일 전자정부 활용 성숙 수준
Ⅳ. 분석
1. 선행연구 검토
2.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3. 지방자치단체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의 결정 요인 분석
4. 중앙행정기관의 공공 모바일 앱 성숙 수준 영향 요인에 관한 질적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부

제 9 장 스마트 워크
Ⅰ. 서론
Ⅱ.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유형
1. 스마트 워크의 개념과 등장 배경
2. 스마트 워크의 유형
Ⅲ. 스마트 워크의 확산과 사례
1. 미국과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2. 한국 정부의 스마트 워크 도입과 활용
Ⅳ. 분석
1. 스마트 워크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접근법
2. 선행연구 결과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스마트 워크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정보공개제도와 공공데이터 개방
Ⅰ. 서론
Ⅱ. 정보공개제도
1. 정보공개를 통한 행정의 투명성 제고
2. 한국의 정보공개제도
Ⅲ. 공공데이터 개방
1. 데이터 개방의 개념
2. 데이터 개방의 등장 배경
3. 데이터 개방의 효과
4. 한국의 공공데이터 개방
Ⅳ. 분석: 공공데이터 개방의 결정 요인-지방자치단체의 경험을 중심으로
1. 이론적 배경: 데이터 개방의 장애 요인과 성공 요인
2. 선행연구의 검토: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성공의 결정 요인
3. 한국 광역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퍼지집합분석의 적용
4. 한국 기초자치단체의 데이터 개방 결정 요인 분석:
다변량회귀분석의 적용
Ⅴ. 결론
참고문헌

제11장 지능정보시대의 정부의 디지털 혁신
Ⅰ. 서론
Ⅱ. 지능정보시대의 주요 기술과 특성
1. 주요 기술 개관
2. 가상 세계와 실제 세계의 역동
Ⅲ. 지능정보시대의 행정의 변화 전망
1. 기술 중심적 낙관론
2. 기술과 사회의 공진화를 강조하는 시각
Ⅳ. 무엇을 할 것인가?
1. 정부의 디지털 혁신을 위한 거버넌스 역량 강화
2. 정부의 데이터 및 정보자원 관리체계의 정비
3. 개인정보의 활용과 보호의 균형
4. 기술혁명에 대응하는 포용적이고 책임 있는 리더십
Ⅴ.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연구 내용의 출처
Author
엄석진,김준형,최낙범,황한찬,정희정,서교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및 한국행정연구소 겸무연구원.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계획 및 보급 장교, LG CNS Entrue Consulting Partners에서 컨설턴트로 실무 경력을 쌓았고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의 National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에서 Doctoral Fellow,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원, 순천향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를 역임하였다. 2017년 서울행정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가 주관하는 DG.O 2020 Conference의 Program Co-Chair (2019-2020)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지능정보시대의 민주주의, 한국 행정의 역사적 변화와 연속성, 행정이론 간의 충돌과 논쟁 등이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8: 공저),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6: 공저), 「일본 국가기구의 변화와 연속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공저) 등이 있다(sjum21@snu.ac.kr).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및 한국행정연구소 겸무연구원. 서울대학교 농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와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민국 공군에서 계획 및 보급 장교, LG CNS Entrue Consulting Partners에서 컨설턴트로 실무 경력을 쌓았고 미국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의 National Center for Digital Government에서 Doctoral Fellow,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원, 순천향대학교 행정학과 전임강사를 역임하였다. 2017년 서울행정학회 학술상을 수상하였으며, 미국 Digital Government Society가 주관하는 DG.O 2020 Conference의 Program Co-Chair (2019-2020)로 활동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정부의 디지털 혁신과 지능정보시대의 민주주의, 한국 행정의 역사적 변화와 연속성, 행정이론 간의 충돌과 논쟁 등이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는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of Seoul, Korea”(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8: 공저), “The use of smart work in government: empirical analysis of Korean experiences”(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2016: 공저), 「일본 국가기구의 변화와 연속성」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공저) 등이 있다(sjum21@s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