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서는 핵심적인 환경정책 이슈들을 중심으로 정책형성 및 변동 과정을 조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환경행정 50년을 이끈 환경 패러다임에 대해 충분한 담론의 장을 펼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룬 각 분야별 논의들을 통해 환경 패러다임이 어떻게 정책변동을 향도하는지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발간사
머리말
제1편
1장 환경 패러다임 변화와 정책변동 박순애
Ⅰ. ‘지속가능한 발전’은 실현되고 있는가
Ⅱ. 시기별 환경정책 현황
Ⅲ. 시기별 환경 패러다임과 정부의 대응
Ⅳ. 결어
제2편 1장 환경보전을 위한 토지이용의 거버넌스: 제도적 변천과
향후의 과제 김성배
Ⅰ. 문제의 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우리나라 토지이용제도의 변천
Ⅳ. 현행 제도와 국토이용 현황
Ⅴ. 논의의 종합 및 향후 전망
3장 유해화학물질관리정책 역사적 변천과 전망: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을 중심으로 문성진
Ⅰ. 서론
Ⅱ. 유해화학물질관리정책의 시대적 전개 및 변천
Ⅲ. 화평법의 주요 내용과 쟁점
Ⅳ. 결론 : 함의와 전망
4장 우리나라 자연환경보전정책의 변화와 과제(1960~2013년) 문태훈
Ⅰ. 서론
Ⅱ.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대한 기존연구
Ⅲ.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대한 분석의 대상과 관점
Ⅳ. 우리나라 환경정책과 자연환경보전정책 변화 개관
Ⅴ. 정부별 자연환경정책의 변화
Ⅵ. 자연환경보전에 대한 국민의식과 시민단체의 대응
Ⅶ. 자연환경보전정책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Ⅷ. 토론과 앞으로의 과제
5장 물환경정책의 변화와 이슈 문현주
Ⅰ. 서론
Ⅱ. 물환경정책의 발전
Ⅲ. 물환경 상태의 변화
Ⅳ. 물환경정책 이슈와 전망
6장 한국 기후변화정책의 흐름과 쟁점 윤순진
Ⅰ. 서론
Ⅱ. 국제기후변화협상의 전개와 국내 기후변화 대응정책의 전개
Ⅲ.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추세와 국내 기후변화정책 수립의 주요 쟁점
Ⅳ. 결론
7장 한국의 폐기물관리와 자원순환 정책 정회성·이승지
Ⅰ. 서론
Ⅱ. 자원이용과 폐기물관리 문제
Ⅲ. 우리나라 폐기물관리 정책의 변천과정
Ⅳ. 종합 평가와 향후 과제
8장 21세기 대기환경정책의 역사: 도전과 과제 조용성
Ⅰ. 서론
Ⅱ. 시대별 대기오염 원인 및 피해 사례
Ⅲ. 대기환경정책 관련 법 및 행정 조직
Ⅳ. 대기환경보전 관련 주요 정책
Ⅴ. 요약 및 결어